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0)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NIE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리터러시 독서 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 신문읽기 이벤트 미디어 스마트폰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기자 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언론진흥재단(547)

  • SNS로 침투해야 뉴스가 산다-다변화되는 언론사 뉴스유통 플랫폼

    2015.06.11
  • 인터넷 정보 차단의 유혹

    2015.06.11
  • 다독다독 블로그의 혁신, 4기 대학생 기자단

    2015.06.10
  • 스토리의 빅뱅을 가져온 SNS 또는 소셜 미디어들

    2015.06.10
  • 교보문고 베스트셀러 <5월 5주> 출판계 정체 현상 언제까지?

    2015.06.09
  •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6월 1주)

    2015.06.09
SNS로 침투해야 뉴스가 산다-다변화되는 언론사 뉴스유통 플랫폼

성전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기사를 트위터로 처음 접하다 얼마 전 국내 언론에선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온라인에서 입소문을 타고 읽혔던 기사가 있었습니다. 대중문화와 패션 등을 주로 다루는 월간지 6월호의 표지 모델 때문이었습니다. 주인공은 안면윤곽술로 여성의 외모를 갖게 된 65세의 케이틀린 제너(Caitlyn Jenner)였습니다(성기 제거 수술은 받지 않았답니다). 성전환 전까지 브루스 제너(Bruce Jenner)로 알려졌던 이 여성은 올림픽 표어(Citius, Altius, Fortius: 더 빠르게, 더 높이, 더 강하게)를 가장 잘 구현한 ‘만능 스포츠맨’ 중 한 사람이었습니다. 1976년 캐나다 몬트리올 올림픽 10종 경기(decathlon: 100m 달리기, 멀리뛰기, 포환던지기, 높이뛰..

2015. 6. 11. 14:00
인터넷 정보 차단의 유혹

메르스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은 모든 감각 기관을 열어놓고 온라인, 오프라인을 가리지 않고 정보를 탐색할 정도로 높아져있는데 정부는 발생 병원과 지역에 대해서 비공개 원칙을 내세우기도 했었습니다. 그리고, 유언비어에 대해서는 엄벌하겠다는 엄포를 놓았습니다. 하지만, 오랜 시간이 지나지 않아 정부 발표 없이도 상당수 국민들은 해당 정보를 모두 알게 되었고 결국 국민은 집단지성을 발휘해 메르스 지도(http://mersmap.com)를 만들자 정부는 뒤늦게 병원명과 위치를 공개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인터넷 정보 차단 사례 한국 정부는 인터넷에서 정보를 차단하기 위해 다른 어떤 나라의 정부보다 부지런했습니다. 우리나라는 인터넷이 대중화되기 이전인 1996년 11월 Geocities 전체를 차단한 적이 있었습니..

2015. 6. 11. 09:00
다독다독 블로그의 혁신, 4기 대학생 기자단

무릇 기자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분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선별해 국민들에게 진실을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인터넷의 발전으로 꼭 기자라는 직함을 갖고 있지 않아도 소셜 미디어를 통해 다양한 정보와 이야기를 주고 받고 있습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운영하는 다독다독 블로그도 독자들과 만나는 하나의 소통창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죠. 여러분들과 더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면서 신문을 비롯한 읽기문화 확산을 위해 다독다독 대학생 기자단을 선발했습니다. 사실. 젊은 청년들과 더 많은 소통을 위해. 젊은 청년들의 생생한 기운을 얻고자! 도움이 필요하기도 했지요.^^ 다독다독 대학생 기자단 선발에 있어서 가장 중요했던 건 사회·문화 현상에 관심이 많고 글쓰기를 ..

2015. 6. 10. 14:00
스토리의 빅뱅을 가져온 SNS 또는 소셜 미디어들

이야기하는 동물인 호모나랜스(homo-narrans)들은 이야기를 찾아 돌아다니며 관심사가 같은 사람들과 언제 어디서나 이야기를 나눕니다. 인간을 생각하는 사람, 즉 호모싸피엔스(homo- sapiens)로 정의하는 것은 인간을 이성적 창조물로 보고 그렇게 강제하던 시각에서 비롯됩니다. 하지만 이야기하는 동물인 호모나랜스들은 끊임없이 관계를 형성하며 상호작용하는 활동을 본능처럼 수행합니다. 디지털과 인터넷 혁명에서부터 스마트폰과 SNS로 이어지는 기술 혁명의 과정은 이야기하는 동물들의 활동을 시간과 공간으로부터 해방시키고 그들의 관계 형성과 상호작용을 통해 교환되는 이야기의 빅뱅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이 글은 이야기의 빅뱅을 만들어낸 기술 혁명의 이정표 역할을 하고 있는 SNS 또는 소셜 미디어가 무엇이..

2015. 6. 10. 09:00
교보문고 베스트셀러 <5월 5주> 출판계 정체 현상 언제까지?

이번 주 베스트셀러는 지난주와 비교해 1위부터 10위까지 조금의 변동도 없는 차트를 보여줍니다. 혹시 지난 주 차트를 잘못 열어 본 건 아닌가 하는 착각이 들 정도입니다. 16주 연속 정상을 차지한 기시미 이치로의 『미움받을 용기』를 선두로 채사장의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신영복 작가의 『담론』 등이 인기를 끕니다. 이런 출판계의 정체 현상은 언제까지 계속 될까요? 돌아보면 도서정가제 이후 독자들의 관심을 끌만한 출판계 이슈가 없었던 것도 사실입니다. 간혹 ‘색칠북’, ‘공부법’과 같은 키워드가 반짝 유행을 타면 비슷한 종류의 책을 우후죽순 쏟아낼 뿐, 출판계 판도를 이끌기엔 역부족해 보입니다. 독자들을 사로잡을 다양한 장르의 책과 참신한 소재 발굴, 책을 접할 다양한 플랫폼의 개발 등 ..

2015. 6. 9. 14:00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6월 1주)

서평 전문기자들이 선정한 새로 나온 책 TOP 3. 마음을 다스리는데 책만 한 것이 없습니다. 이번 주에 뽑힌 신간들은 한국사회를 돌아보고 앞으로의 대안은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되는 책들이 많았는데요. 한 권 한 권 깊이가 있는 책들이오니 자세하게 읽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1위는 군인과 군대에 대한 3000년 인류의 역사 “군인”, 2위는 18세기 유럽 계몽주의의 정신적 토대가 된 공자 열풍 “공자, 잠든 유럽을 깨우다”, 3위는 이코노미스트 특파원이 본 한국정치 “익숙한 절망, 불편한 희망”입니다. 1위 : 군인볼프 슈나이더 지음 | 열린책들 | 2015년 06월 05일 출간 우리에게 군인은 국가의 안전을 위해 힘쓰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교육과 훈련을 받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전투를 ..

2015. 6. 9. 09:00
1 ··· 50 51 52 53 54 55 56 ··· 9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