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1)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읽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신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리터러시 뉴스리터러시 다독다독 책 스마트폰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교육 뉴스 NIE 기자 언론진흥재단 이벤트 독서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89)

  • 정상에 서기 위한 꿈의 시간, 1만 시간의 법칙

    2013.08.06
  • 신문 키워드로 재조명해 본 남성연대 성재기 대표 사건

    2013.08.05
  • 도로 위를 달리는 도서관이 있다?

    2013.08.05
  • 우린 ‘지식’을 얻기 위해 ‘만화’를 본다

    2013.08.02
  • 북한 신문, 어디에 가면 볼 수 있을까?

    2013.08.01
  • 시대상을 반영한 1990년대 베스트셀러 살펴보니

    2013.08.01
정상에 서기 위한 꿈의 시간, 1만 시간의 법칙

1만 시간이란 도대체 얼마나 긴 시간일까요? 길다면 길겠지만 한 사람의 인생 전체를 놓고 봤을 때는 투자할만한 가치가 있는 시간이기도 하지요. 그런데 왜 하필 1만 시간이냐고요? 지금 소개하려는 책의 제목이기도 한 ‘1만 시간의 법칙(The 10,000-Hours Rule)’은 신경과학자 다니엘 레비틴이 내놓은 연구결과로서, 어떤 분야에서든 최고 전문가로 인정받으려면 1만 시간은 쏟아 부어야 한다는 이론입니다. 다니엘 레비틴 이외에도 몇몇 학자들에 따르면 한 분야의 정상에 오른 사람들은 모두 (최소한)1만 시간 이상 해당 분야에 공을 들였다고 합니다. 하루 3시간씩 10년이면 대충 1만 시간인데, 어느 분야든 정상에 오르기 위해서는 이 정도의 시간을 써야 한다는 것이지요. 이 법칙은 타고난 재능도 중요하..

2013. 8. 6. 10:12
신문 키워드로 재조명해 본 남성연대 성재기 대표 사건

천만 감독 봉준호의 최신 대작 설국열차가 박스오피스 1위를 달리는 가운데 신인 감독의 첫 메이저 영화이자 먹방 없는 하정우 영화인 더 테러 라이브가 2위로 따라 붙고 있습니다. 서울의 마포대교를 폭파한 테러범이 폭파된 다리 위에 남은 사람들을 인질로 잡고 그 테러를 자신이 지목한 한 방송사의 앵커와 실시간 생방송으로 진행하는 내용인데요. 아무리 영화지만 그래도 방송사가 다리에서 사람이 죽는 모습을 생방송으로 내보낼 리가 있느냐는 비판을 받았는데, 며칠만에 현실은 허구를 뛰어 넘었습니다. 지난주에 있었던 남성연대 성재기 대표도 방송국 카메라가 도착한 가운데 마포대교에서 투신했고, 실종 후 결국 시신으로 발견되었기 때문입니다. 평소 소신 있는 문제 발언으로 지지자와 함께 안티도 많았던 그의 죽음을 기사는 어..

2013. 8. 5. 14:16
도로 위를 달리는 도서관이 있다?

여러분이 선호하는 독서 장소는 어디인가요? 책과 나 자신만 존재하는 방 한 구석?, 여러 사람이 머무는 카페? 아님 은밀한 화장실 안? 이렇듯 책을 읽는 장소는 책장 안 빼곡한 책의 숫자만큼이나 다양할 텐데요, 그렇다면 길 한복판에서 책을 읽어 보신 적, 있으신가요? 도시의 생생함이 녹아든 여러 소음, 바삐 움직이는 사람들 틈에서 책을 읽는 다는 게 상상이 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이를 실천하고 있는 곳이 있었습니다. 송파구는 독서의 해로 지정된 2012년 ‘책 읽는 송파'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의 취지는 일상 속에 책을 두어 자연스럽게 독서를 유도하는 것인데요, 이에 송파구는 조금은 '특별한' 공간을 이용해 읽기문화 진흥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책장 밖, 길거리로 나온 책. 그 발걸음을 따라가..

2013. 8. 5. 11:44
우린 ‘지식’을 얻기 위해 ‘만화’를 본다

과거 아이들 학습 방법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학습만화’를 기억하시나요? 부터 까지 만화를 통해 전달하는 다양한 지식을 아이들은 스폰지처럼 쑥쑥- 흡수했었습니다. 글보다 전달력이 빠르고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만화는 좋은 학습 방법 중 하나로 자리 매김 했었죠. 그런데 요즘 학습 만화를 위협하는 새로운 매체가 등장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그 위협적인 존재는 바로 ‘웹툰’인데요. 과거 학습 만화가 아이들 교육에만 국한 되었다면 ‘웹툰’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다양한 지식을 전달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학습만화의 새로운 신흥강자로 떠오른 ‘웹툰’, 그 속내를 함께 파헤쳐 볼까요? 재미뿐만 아니라 지식의 전달체계로 주목받는 웹툰 웹툰의 선풍적인 인기는 오래전부터 익히 지속되어져 왔습니다. 탄..

2013. 8. 2. 10:49
북한 신문, 어디에 가면 볼 수 있을까?

북한 신문은 어디에서 볼 수 있을까요? 학교 과제나 연구를 목적으로 북한 자료를 찾고 싶지만 인터넷 검색에서도 찾을 수 없어 막막할 때가 있습니다. 자, 이제는 고민 끝! 가깝지만 먼 곳 북한의 신문과 책을 볼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국립중앙도서관 5층에 위치하고 있는 북한자료센터인데요. 이곳은 북한의 신문뿐만 아니라 북한의 교과서와 주요 잡지 등을 볼 수 있고 원하는 신문의 일부는 복사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북한의 신문과 책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지금부터 집중해주세요! 북한자료센터는 어떻게 생기게 되었을까? 북한자료센터의 창립은 88올림픽과 연관이 깊습니다. 당시 성대한 올림픽을 위해서 북한을 비롯한 사회주의권 나라들을 모두 포용해야했는데요. 이를 위해 전 노태우대통령은 북방정책의 일환으로..

2013. 8. 1. 14:45
시대상을 반영한 1990년대 베스트셀러 살펴보니

며칠 전 유홍준 명지대 교수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일본편 1·2권을 동시에 펴냈습니다. 1993년 제 1권 ‘남도답사 일번지’를 시작으로 북한편 2권(제 4·5권)을 포함 지난 해 나온 제 7권 ‘돌하르방 어디 감수광’까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는 20년간 330만권이 팔린 밀러언셀러이지요. 이른바 ‘문화유산 답사’라는 새로운 문화를 일궈내며 출판 산업에 활기를 불어넣어주었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출판계는 지금 이 기세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기대와 긴장감으로 시선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유행어를 낳으며, 문화유산의 길잡이 노릇을 한 이 책은 1990년대의 베스트셀러 신화로 불리기까지 하는데요.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를 시작으로 베스트셀러를 넘어 밀러언셀러 열풍이 가득했던 1990..

2013. 8. 1. 11:02
1 ··· 251 252 253 254 255 256 257 ··· 29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