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기자 스마트폰 뉴스 NIE 뉴스리터러시 공모전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교육 다독다독 독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 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언론진흥재단 이벤트 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81)

  • 디스패치의 특종 보도, 파파라치일까 탐사보도일까?

    2013.07.25
  • ‘예술이 된 신문광고’ 개성만점 신문광고 살펴보니

    2013.07.24
  • 13억 중국인 스승에게 배우는 인생철학

    2013.07.24
  • 영화평론가 이동진이 욕조에서 책을 읽는 이유

    2013.07.23
  • 신문 헤드라인으로 살펴본 해병대 캠프 참사

    2013.07.23
  • 소셜 저널리즘, 소셜뉴스 위키트리를 살펴보니

    2013.07.22
디스패치의 특종 보도, 파파라치일까 탐사보도일까?

얼마 전에 제대한 월드스타 비와 국민배우 김태희의 연애 소식과 최근 원빈과 이나영 커플의 비밀 데이트 현장까지 잡아내어 보도한 디스패치. 최근 굵직굵직한 연예관련 사진들은 연예전문매체인 디스패치에서 보도했는데요. 이 때문에 디스패치는 짧은 커리어에도 불구하고 대중의 주목을 받는 매체가 되었습니다. 출처 – 서울신문 새해 첫날 김태희와 비의 열애설을 보도한 온라인 연예매체 디스패치(dispatch)에 네티즌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일 이른 새벽부터 국내 주요 포털 사이트에는 디스패치가 검색어에 오르며 네티즌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매체명이 검색어로 오른 것은 이례적인 일. 디스패치가 시선을 끌기 시작한 것은 새해 첫날 특종을 보도하겠다고 예고한 31일부터다. 디스패치는 지난 31일 이병헌과 이민정..

2013. 7. 25. 10:59
‘예술이 된 신문광고’ 개성만점 신문광고 살펴보니

우리는 현재 수많은 광고 홍수 속에서 살고 있습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미국인들은 하루 평균 3000개의 광고를 본다고 하는데요. 단순히 제품의 정보를 전달하고 소비를 촉구하던 과거 광고의 모습을 지나, 오늘 날의 광고는 ‘creative의 원천’을 상징하는 것이 되었습니다. 많은 젊은이들이 ‘광고쟁이’를 꿈꾸고 있으며, ‘30초 예술’이라는 별칭까지 가지게 된 광고. 영상미디어가 발달하게 되면서 ‘광고’의 주된 매체는 지면에서 영상으로 넘어가게 되었지만 여전히 지면광고의 중요성을 간과 할 수는 없는데요. 종이 한 장 안에 소비를 촉구하기 위한 감각적인 이미지와 카피를 고안해 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죠. 오늘은 광고의 가장 기본이 되는 지면광고의 대표적 매체인 ‘신문’ 속 광고들을 살펴보려 합니다. 광..

2013. 7. 24. 15:12
13억 중국인 스승에게 배우는 인생철학

루쉰에 비견되는 작가 왕멍 중국은 대국이지만 한동안 저평가된 나라였다. 그 이유는 경제와 정치체제의 후진성 때문이다. 싸구려 공산품과 위험한 식재료를 수출하는 나라, 혹은 빈부격차와 공직부패가 흔한 사회가 바로 중국이다. 하지만, 전통 문화와 오랜 역사적 측면에서 보면 역시 중국은 대국이라 불러야 마땅하다. 그 중국이 요즘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G2(글로벌 2개국)로 부상하면서 많은 작가들이 한국 독자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다. 2012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작가 모옌이나 해외에서 더 유명세를 타며 뛰어난 소설들을 써낸 위화는 더 이상 설명이 필요치 않다. 그런데 왕멍이란 작가를 아는 이가 있을까? 왕멍은 1934년 베이징에서 태어나 올해로 팔순에 이른 작가다. 우리에게 익숙지 않지만, 왕멍은 오늘날 ..

2013. 7. 24. 10:57
영화평론가 이동진이 욕조에서 책을 읽는 이유

바야흐로 스크린의 시대. 하루 종일 손에서 놓지 않는 스마트폰과 이제는 가장 흔한 취미로 자리 잡은 영화감상까지 화면 속 짧고 쉬운 문장에 익숙해져 책을 멀리하고 있지는 않으신가요? 지난 17일 열린 ‘독(讀)한습관’ 두 번째 강연의 연사인 영화평론가 이동진씨는 영상으로 인해 단조로워진 생각을 능동적으로 만드는 방법으로 독서를 강조했는데요. 정동 세실극장에서 열린 이번 강연은 극장의 모든 좌석과 계단을 꽉 채우고도 자리가 부족해 무대 구석에 앉아 들어야 할 만큼 인기가 대단했습니다. 과연 이 많은 관객을 사로잡은 영화평론가 이동진의 독(讀)한 습관은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독한습관 첫 번째 강연 소설가 김영하편 [바로가기] “왜” 책을 읽는가? 1. 독서는 쾌락이다.영화평론가 이동진씨는 독서는 즐길 수 있..

2013. 7. 23. 14:49
신문 헤드라인으로 살펴본 해병대 캠프 참사

노량진 수몰 사고가 일어난지 얼마 되지 않아 해병대 캠프에 참여했던 공주사대부고 학생 5명이 파도에 휩쓸려 사망한 사고가 있었습니다. 이 해병대 캠프는 제대로 된 안전장비도 없이 아르바이트 교관들이 학생들을 위험한 바다로 밀어 넣고 제대로 된 구조 활동도 하지 못했습니다. 선생님들은 그 시간 술판을 벌이고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고요. 전 국민이 분노했습니다. 이 어처구니 없는 사고 앞에 대통령은 위로를 전했고 여당 대표는 모든 것이 인재라며 국민에게 사과했습니다. 야당 대표는 위로를 전하며 학생들에게 상명하복의 병영문화 대신 창의적 꿈을 줄 수 있도록 교육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고요. 이처럼 여러 입장과 시선이 보이는 이번 사건, 과연 신문 기사는 어떤 표현으로 보도했을까요? 출처 - 서울신문 해병대 ..

2013. 7. 23. 11:21
소셜 저널리즘, 소셜뉴스 위키트리를 살펴보니

시민참여형 프로그램인 ‘우샤히디’ 프로그램을 아시나요? 스와힐리어로 ‘증언’을 의미하는 ‘우샤히디’는 사람들로부터 트위터와 휴대폰 문자 등의 정보를 받아 웹상의 지도에 보도 주제 유형별로 구분해 표시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우샤히디’ 프로그램이 시민참여형 프로그램으로 전 세계에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단순히 시민들의 제보를 통해 정보 누리집이 구성되기 때문이 아닙니다. 웹프로그래밍을 다룰 줄만 안다면 누구나 직접 프로그램을 받아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시민참여형 프로그램으로 각광받고 있는 것이죠. 재난피해와 같이 신속한 정보 전달이 필요로 하는 사건에서 올해 ‘우샤히디’는 제 역할을 톡톡히 해내었는데요. 요즘 전 세계는 ‘우샤히디’와 같이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뉴스..

2013. 7. 22. 13:00
1 ··· 252 253 254 255 256 257 258 ··· 29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