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독서 뉴스 스마트폰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 신문읽기 NIE 뉴스리터러시 다독다독 미디어 기자 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언론진흥재단 이벤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81)

  • ‘김태평’은 안 되고 ‘현빈’은 왜 뉴스가 될까?

    2011.04.20
  • ‘보고 싶은 것만 보게 되는’ 온라인 뉴스의 문제점

    2011.04.18
  • 신문기사에서 터득하는 블로그 글쓰기 노하우는?

    2011.04.18
  • 신문 스크랩으로 국장이 된 신문홀릭, 그 사연은?

    2011.04.15
  • 글쓰기가 힘이 되는 시대, ‘신문활용교육’ 아시나요?

    2011.04.14
  • ‘아프니까 청춘이다’ 김난도의 꿈 탐색법은?

    2011.04.13
‘김태평’은 안 되고 ‘현빈’은 왜 뉴스가 될까?

우리가 사는 세상은 많은 사람들이 함께 어울려 살며, 하루에도 많은 사건들이 생기게 됩니다. 그렇게 생기는 사건 중 어떤 사건은 다른 사람에게 알려지고, 어떤 사건들은 알려지지 않는데요. 그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바로, 알려진 사건에는 알려지지 않은 사건보다 다른 사람들의 관심을 끌만한 어떤 요건이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뉴스에 대해 흔히 ‘그 날 일어난 새로운 일’이라고 합니다. 다르게 말하면, ‘하루에 일어난 일 중에 가장 중요하고 흥미로운 것’ 이라고 할 수도 있겠는데요. 이처럼 뉴스란 신문기자가 많은 사람들에게 중요하거나 흥미로운 사건을 신문에 실어 놓은 모든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가 사람을 물면 뉴스가 되지 않지만, 사람이 개를 물면 뉴스가 된다” 라고 말했던 저명한 언론인 찰스 대너..

2011. 4. 20. 09:08
‘보고 싶은 것만 보게 되는’ 온라인 뉴스의 문제점

대한민국 신문사의 연합체, 신문협회에서는 2006년부터 격년으로 신문이용에 관한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독자 프로파일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지난 2010년 세 번째 프로파일 조사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방식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이번 조사에는 종이신문뿐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뉴스 콘텐츠를 접하는 온라인 독자들까지도 집계에 포함시켰는데요. 모든 매체들이 디지털화되고 있는 요즘, 기존 종이신문의 위기가 오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무엇 때문에 신문의 위기가 찾아온 것일까요? 그런 물음에 대한 답을 얻고자 이번 신문 독자 조사는 기존의 포괄적 의견이나 태도를 묻는 여론조사 방식이 아닌, 개별 신문기사 및 광고를 독자들이 직접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했는데요. 신문 이용 행태와 관..

2011. 4. 18. 13:30
신문기사에서 터득하는 블로그 글쓰기 노하우는?

“블로그 글을 잘 쓰려면 어떻게 하면 되나요?” 블로그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이 흔히 하는 질문입니다. 개인 미디어라는 특성상 블로그 글이라 하면 ‘일정한 형식이 없는 자유로운 글’을 뜻했는데요. 하지만 블로그 문화가 어느 정도 정착단계에 접어든 지금은 일기처럼 가볍게 쓰는 글이 아닌, 어느 정도 정제된 글쓰기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포털사이트 메인을 장식하는 파워블로거들의 글을 읽어보면 전문기자를 능가하는 글솜씨와 논리정연함에 놀라게 되는데요. 그럼 이렇게 ‘읽을만한 글’을 쓰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이 글을 읽을까 말까? 리드문이 90%를 좌우해 최근 나오는 가요들은 대부분 클라이막스 부분을 도입부에 배치해 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노래를 다운 받기 전 30초 간의 미리듣기를 통해 이 노래를 구입할..

2011. 4. 18. 09:34
신문 스크랩으로 국장이 된 신문홀릭, 그 사연은?

“세상일 신문에 안 나는 것 없습니다. 그 속에 부와 성공의 지식이 널려 있는데 그것을 받아들이려면 스크랩이라는 노력없이 안된다는 것이 저의 경험이죠” 경상남도의 진주시 농업기술원. 이곳에는 누구보다도 신문이 주는 힘을 잘 아는 분이 계십니다. 바로 신문 스크랩을 통해 오늘의 자리까지 왔다고 하는 신문 스크랩의 장인, 노치웅 국장인데요. 현재 농업기술에 대한 연구분야를 총괄하며 농업인들의 꿈과 희망을 마련해 가고 있는 노치웅 국장의 신문예찬을 들어보겠습니다. 신문은 곧 나의 삶입니다 20대 초반부터 시작된 노치웅 국장의 신문활용은 벌써 30년도 훌쩍 넘었습니다. 공무원 시험을 치렀을 당시, 고향인 산촌에서는 합격자 발표 소식을 접할 신문이 없었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수소문 끝에 어느 대학의 수위 아저씨가..

2011. 4. 15. 09:28
글쓰기가 힘이 되는 시대, ‘신문활용교육’ 아시나요?

4월 11일 서울 양천구평생학습센터. 오후 2시가 되자 초등학생 아이들이 하나 둘 모이기 시작합니다. 아이들이 들어서자 조용하던 강의실은 어느새 놀이터 마냥 활기가 넘치기 시작하는데요. 삼삼오오 모여있는 아이들의 책상 앞에는 종이신문이 하나씩 놓여 있습니다. 방과 후 아이들은 매주 무슨 일로 이곳에 찾아 올까요? 이곳에서는 매주 월요일, 신문을 활용한 ‘어린이 NIE 논술교실반’을 운영하고 있는데요. 요즘은 각종 이모티콘과 인터넷 신조어로 인해 아이들의 언어 사용 습관이 많이 거칠어져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런 아이들에게 바른 언어쓰기 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개설된 과목이 바로 ‘신문활용교육(NIE)’인데요. 그 현장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신문 스크랩 시간, 아이들도 현빈앓이? “자기가 제일 좋아하는 ..

2011. 4. 14. 14:25
‘아프니까 청춘이다’ 김난도의 꿈 탐색법은?

20대 ∙ 대학생 ∙ 청춘 이런 단어들은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밝고 명랑하고 희망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었는데요. 하지만 언젠가부터 이런 단어들을 우리 20대 대학생들에게 적용하기 어렵게 되었습니다. ‘대학생이 되면 애인도 만들 수 있고, 너 하고 싶은 것 다 할 수 있어’라는 부모님의 말씀이 이제는 더 이상 통하지 않는 사회가 된 듯 합니다. 오히려 대학 입학과 동시에 꿈을 잃고 자신감을 잃어가는 것이 지금의 대학생일지도 모르겠네요. 그런 아픈 현실을 살아가고 있는 청춘들을 위해 4번째 강연자로 김난도 교수가 나섰습니다. 김난도 교수는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아프니까 청춘이다’를 통해 힘들어하는 젊은이를 위한 희망 레시피를 전했는데요. 현장 등록을 위해 긴 줄을 선 학생들을 보며 인기를 실감할 수 있..

2011. 4. 13. 13:34
1 ··· 293 294 295 296 29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