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1)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기자 스마트폰 미디어교육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읽기 다독다독 독서 신문 이벤트 책 미디어리터러시 NIE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 뉴스리터러시 공모전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미디어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82)

  • 리더를 꿈꾸는 아이들의 남다른 학습비법, NIE

    2011.04.28
  • 엄마가 꼭 알아야 할 ‘아이에게 좋은 책’ 고르는 방법

    2011.04.28
  • 기업이 원하는 사회 흐름 짚어내는 인재되려면?

    2011.04.26
  • 우리나라 사람들이 책 안 읽는 이유, 통계로 알아보니

    2011.04.25
  • 우리 시대 신문은 왜 '지상 최후의 미디어'인가

    2011.04.22
  • 100대 1 경쟁 뚫은 신입기자의 신문활용 노하우는?

    2011.04.21
리더를 꿈꾸는 아이들의 남다른 학습비법, NIE

요즘 학생들은 책이나 신문보다 디지털 매체에 더 익숙한데요. 하지만 같은 내용이라도 액정화면을 통해 보는 것보다 지면에 인쇄된 ‘글’을 읽음으로써 더 자세하게 이해할 수 있고, 능동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유는 너무 많은 정보를 단시간에 보는 것보다, 정제된 정보를 천천히 음미할 때 뇌가 집중력을 발휘하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요즘 많은 학교에서 종이신문을 활용한 교육, 신문활용교육(NIE)을 도입하고 있답니다. 충남 부여여자고등학교의 NIE 동아리 ‘Reader&Leader’의 라은선 선생님과 학생들은 이런 신문활용교육을 통해 사제간의 정을 나누고, 큰 꿈을 키우고 있는데요. “아는 만큼 세상이 보이듯이 많이 읽는 자만이 세상의 리더가 될 수 있습니다”라고 말하는 라은선 선생님의 신문활용교육..

2011. 4. 28. 13:34
엄마가 꼭 알아야 할 ‘아이에게 좋은 책’ 고르는 방법

세상에는 참 많은 책들이 있습니다. 아니, ‘참 많은’이라고만 표현하기에는 부족한 어마어마한 양의 책들이 출판되어 있고, 지금도 따끈따끈한 온기가 채 가시지 않은 수많은 책들이 독자들에게 선보이고 있습니다. 대한출판문화협회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에서는 3만5천여 개의 출판사가 약 30여 분야의 책을 매일 1권씩 출판할 것이라고 하네요. 우리나라에서만 하루에 3만5천권이 넘는 책이 나온다는 이야기입니다. 1년 동안에는 무려 1270만 타이틀의 책이 나오는 셈이에요. 서울시 인구가 1천만 명이라고 하는데, 그보다도 많은 책이 출판되고 있는 거지요. 어릴 때 학교 도서관에 가면 ‘이 도서관에 있는 책을 다 읽어야지’라는 욕심을 내곤 했었습니다. 왠지 빈약한 서가였지만, 그래서 어린 저의 도전의욕을 불태..

2011. 4. 28. 09:11
기업이 원하는 사회 흐름 짚어내는 인재되려면?

신문 읽기의 중요성에 대해 칼럼을 의뢰받고 한참 고민했습니다. 사실 요즘 신문을 등한시하고 있기 때문에 양심에 찔렸기 때문이죠. 저도 한 때 언론사에 소속되어 하루에 10여종의 신문과 방송을 매일 몇 시간씩 몇 년간을 보았기 때문에 요즘의 공백은 좀 아이러니하기도 합니다. 요즘 신세대와 같이 대학생활을 하다 보니 나도 모르게 신세대물에 들어서 그런 것일까요? 아니면 워낙 디지털 미디어가 발전해서일까요. 사실 엄청난 디지털 매체 발전에 따라 신문 읽기의 필요성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추세입니다. 저는 블로그 매체라는 곳을 통해 매일 하루 한 개 이상의 글을 쓰고 있습니다. 지금 현재로는 제 역할이 콘텐츠 소비자로서의 생활뿐 아니라 콘텐츠 생산자로서의 역할이 더 중요해졌기 때문이기도 한데요. 어찌 보면 창피..

2011. 4. 26. 13:18
우리나라 사람들이 책 안 읽는 이유, 통계로 알아보니

최근 등장한 새로운 디지털기기와 첨단기술은 문화 콘텐츠 시장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변화는 출퇴근 시간에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인데요. 스마트폰 하나만으로도 새로운 뉴스 소식은 물론 게임과 책, 영화까지 즐길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죠. 이런 추세 때문에 자연스레 신문과 책을 읽는 사람들은 점차 줄어들고 있고, 젋은 세대에서는 전자책(E-Book)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어 종이책 위주의 독서 방식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천명과 초•중•고등학생 3천명을 대상으로 ‘2010년 국민 독서실태조사’를 실시했는데요. 그 결과 만 18세 이상 성인의 연평균 독서율은 2009년보다 6..

2011. 4. 25. 09:15
우리 시대 신문은 왜 '지상 최후의 미디어'인가

“장마가 그치면 햇살 뜨거운 날들이 오리라는 것을 알듯이, 그렇게 세상의 흐름을 환하게 알고자 원했다.……민주화가 실현되면, 올림픽이 끝나면, 대통령이 바뀌면, 네티즌의 세상이 되면, 상업대중문화가 아이들의 영혼을 빼앗는다면 세상이 어떻게 될까 나름대로 생각도 해보고, 예측도 해보려 했다. 그러나 그동안 나는 늘 잘 알지도 못하는 거대한 흐름에 휩쓸려서, 미래를 예측하기보다는 내가 있는 자리가 어딘지도 알기 어려웠다. 세상의 변화는 과속이었고, 과격하였다.” 1980년대 이후 세상변화를 지켜봐온 한 50대 지식인의 고백이 와 닿습니다. 문학평론가 이남호의 책 (생각의나무, 2004)에서 털어놓은 말인데, 대중사회로의 변동, IT 정보화 사회로의 이동 이후 사람들은 기꺼이 휴대전화의 노예가 되었습니다. 사..

2011. 4. 22. 13:36
100대 1 경쟁 뚫은 신입기자의 신문활용 노하우는?

요즘 대학생들이 가장 관심 있어하는 분야 중 하나는 언론과 미디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래서 ‘신문방송학과’같은 언론분야 학과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만큼 큰 뜻을 품고 좀 더 열정적으로 자신의 가치를 빛내고 싶어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아닐까요? 그래서 언론인이 되고 싶어하는 많은 학생들을 위해 이제 막 대학을 졸업하고 기자라는 꿈을 이룬 언론인을 만나봤는데요. 서울신문의 김소라 기자(26)를 만나 기자가 되기 위해 준비한 과정을 물어보고, 기자의 하루 일과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미래의 언론인을 꿈꾸는 후배들에게 어떤 말을 들려줬는지 김소라 기자의 이야기를 들어볼까요? ^^ 힘든 만큼 보람도 큰 일이 기자 아닐까요? 작년 10월 4일 입사해 정신없던 6개월간의 수..

2011. 4. 21. 13:27
1 ··· 292 293 294 295 296 29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