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6)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읽기 미디어교육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신문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리터러시 스마트폰 공모전 다독다독 미디어 기자 미디어리터러시 책 언론진흥재단 NIE 독서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89)

  • 광고, 취재, 경쟁이 없는 북한신문

    2011.05.06
  • 신문 멀리하게 되는 원인은 기자 때문이다?

    2011.05.04
  • 예비언론인들에게 들어본 언론고시 합격 전략은?

    2011.05.04
  • 의외로 쉽다, 신문재활용으로 만든 나만의 편지함

    2011.05.03
  • 신문의 새로운 발견, 조금 특별한 NIE 수업 현장

    2011.05.02
  • 신문 광고를 해야 하는 4가지 이유

    2011.05.02
광고, 취재, 경쟁이 없는 북한신문

안녕하십니까. 동아일보 기자 주성하라고 합니다. 오늘부터 북한 신문에 대해서 여러 회로 나눠 연재하려 합니다. 북한이라는 사회의 특성상 신문이라는 것도 보나마나 뻔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싶지만, 의외로 그 뻔해 보이는 북한 신문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 많지 않은 것 또한 현실입니다. 북한의 신문은 존재 목적 자체가 한국을 비롯해 세계의 대다수 신문과는 다릅니다. 우리의 신문은 말 그대로 새로운 소식을 전하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하지만 북한의 신문은 새 소식 전달보다는 노동당 정책을 선전하고 사람들을 교육시키려는 목적이 더 큽니다. 존재 목적뿐 아니라 구독 행태와 배달 방식, 신문사 운영 방법 등도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신문과는 많이 다릅니다. 우리의 눈에 때론 황당하고, 때론 웃기고, 때론 진지하..

2011. 5. 6. 09:00
신문 멀리하게 되는 원인은 기자 때문이다?

많이 읽든(다독多讀) 잘 읽든(정독精讀) 무엇인가 읽는다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입니다. 읽지 않고서는 판단을 한다든가 행동을 한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시대에 우리가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점에서 읽는 행위는 불가피하게 거의 모든 인간 행위의 출발점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정말 그럴까요? 한 번 더 생각해보면 읽는 행위에 앞서는 것이 하나 더 있습니다. 아주 명백하게 그렇습니다. 그것은 제대로 쓰는 행위입니다. 글이 제대로 쓰여야 제대로 읽는 것도 가능하지 않겠습니까? 비문(非文)과 알아듣기 힘든 암호로 점철된 글을 주고서 “이거 정말 중요한 것이니 잘 읽어보라”고 신신당부 해봐야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그건 거의 고문이나 다름없을 겁니다. 읽어봐야 남는 것도 없을 것이구요..

2011. 5. 4. 13:14
예비언론인들에게 들어본 언론고시 합격 전략은?

요즘 대학생들 사이에서는 같은 목적을 가진 사람들끼리 모여서 공부하는 스터디 모임이 대세입니다. 학원을 안 다녀도 많은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힘든 공부지만 여럿이 함께 하니 덜 힘든 장점도 있는데요. 이렇게 같은 목표를 향해 자발적으로 노력하는 모습이 참 보기 좋은 것 같습니다. ^^ 토익, 면접, 영어회화 등. 정말 다양한 스터디 모임 중에서 이번에 만나본 모임은 비교적 다른 스터디에 비해 대중화(?)되지 않은 언론고시 스터디 모임이었는데요. 미래의 언론인을 꿈꾸는 대학생들의 진지함이 느껴졌던 그들만의 수업현장을 소개해볼까 합니다. 언론고시의 막막함, 스터디 모임에서 해결하다 언론사 시험은 ‘언론고시’라는 말이 있듯이 예로부터 높은 경쟁률과 난이도를 자랑하는데요. 정작 목표를 잡고 열심히 노력하려 ..

2011. 5. 4. 09:05
의외로 쉽다, 신문재활용으로 만든 나만의 편지함

신문을 보고 난 후에 여러분들께서는 어떻게 하세요? 폐품을 주우러 다니시는 어르신들을 위해 지하철 선반 위에 올려놓기도 하고, 재활용을 위해 신문을 분리 수거함에 넣기도 하는데요. 신문지를 돌돌 말아 작은 막대형태의 기둥을 만들면 보기보다 튼튼한 재활용 소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릇은 물론 작은 수납함까지 만들 수 있으며, 공작소재로도 다양하게 사용할 수가 있죠. 이번에 블로거 데코트리님께서는 신문을 활용해 예쁜 편지함 만드는 법을 전수해 주셨는데요. 한번 볼까요? 신문지 1부, 고체풀, 목공풀, 가위, 칼, 자, 연필, 아크릴물감, 젯소, 바니쉬, 붓 먼저, 신문지 1장당 4등분을 해서 잘라둡니다. 그 후에 끝부분에 붓이나 가느다란 펜을 끼워서 돌돌 말아주고, 끝에 고체풀을 발라 접착시켜 주는데요. 이..

2011. 5. 3. 13:43
신문의 새로운 발견, 조금 특별한 NIE 수업 현장

“선생님, 어떻게 해야 사람들이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덜어낼 수 있어요?” 태백 상장초등학교 6학년 1반의 반장, 다임이는 지난 4월 20일 장애인의 날에 관한 신문기사를 읽고 선생님에게 찾아가 질문을 했습니다. 요즘 많은 학교에서 신문활용교육(NIE)이 이루어지고 있는데요. 이날 찾아간 태백 상장초등학교의 NIE 수업은 다른 수업들과는 조금 다르게 신문으로 수학을 공부하고 계기교육도 하고 있었답니다. 계기교육이란? 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되지 않은 특정 주제에 대해 이루어지는 교육으로 특정 기념일 또는 시사적 의미를 주는 주제를 다루는 교육. 예들 들어 한국전쟁 기념일을 맞이해 한국전쟁에 대해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 등이 대표적인 계기교육이다 이렇게 신문을 활용해 조금 다른 수업방식을 생각한 사람은 6학년..

2011. 5. 2. 13:20
신문 광고를 해야 하는 4가지 이유

TV, 인터넷, 최근에는 스마트폰 광고까지 광고의 채널은 점차 다양해지고 있는데요. 이에 반해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는 신문 광고의 입지는 점점 좁아지고 있다는 이야기가 들리고 있습니다. 광고를 의뢰하는 광고주도 이런 대세에 맞춰 신문 광고 보다는 다른 매체를 통해 광고를 하곤 하는데요. 물론 매체마다 각기 다른 장점이 있겠지만, 신문 광고는 신문 지면에서만 얻을 수 있는 특장점이 많습니다. 지난 4월 미국신문협회(NAA)에서는 신문 매체가 갖는 다양한 특장점을 내세워 ‘신문광고를 꼭 해야 하는 이유’를 발표했는데요. 뉴미디어가 가지지 못한 신문 광고만의 장점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첫 번째, 광고주가 가장 선호하는 계층이 신문을 읽는다 미국에서는 평일 약 1억 명 이상의 성인이 신문을 읽고 있으..

2011. 5. 2. 09:16
1 ···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