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다독다독 NIE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기자 이벤트 한국언론진흥재단 책 독서 신문읽기 미디어 미디어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뉴스리터러시 신문 미디어교육 스마트폰 공모전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2326)

  • 아이를 '윤후'처럼 만드는 교육법 살펴보니

    2013.03.06
  • 대학생 100시간 릴레이 신문읽기, 나비효과 될까?

    2013.03.05
  • 교재 저작권 포기 운동, 대학가 봄바람 될까?

    2013.03.05
  • 3년째 출산율 증가, 그 속내 살펴보니

    2013.03.04
  • 고전에서 배우는 ‘대학생 새학기 증후군’ 극복법

    2013.03.04
  • 3.1절에 펼쳐보는 독립 신문! 응답하라 1919

    2013.02.28
아이를 '윤후'처럼 만드는 교육법 살펴보니

새로운 주말 예능 강자로 떠오른 M본부 의 윤후 때문에 요즘에 ‘후야앓이’ 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후야’가 유독 사랑받는 이유는 일곱 살 답지 않은 풍부한 어휘력과 상대방을 배려하는 예쁜 마음가짐, 그리고 풍부한 감성을 지녔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데요. 이런 후야의 모습이 바로 EQ가 높은 아이가 가지는 특징이라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EQ가 높다는 것은 인간관계에서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 하고, 스스로가 느끼는 감성이 풍부한 것을 말합니다. 어떻게 하면 우리 아이가 ‘후야’처럼 풍부한 감성을 가진 사랑받는 아이로 자랄까요? 오늘 다독다독에서 살짝 알려드릴게요. [출처-서울신문] 아이 EQ 높이려면, 신문을 가까이! 보통 EQ 발달을 위해서 가장 좋은 방법은 다양한 문화 활동을 참여해 보는..

2013. 3. 6. 09:45
대학생 100시간 릴레이 신문읽기, 나비효과 될까?

“신문, 언제 읽으셨어요?” “오늘 아침에 보셨다고요?!” “아니요~ 소리 내 읽으면서, 30분 동안이요!” 기억하시나요? 소리내 신문을 읽어본 기억. 지난 3일, 서대문역에 위치한 한 레지던스에서는 30분마다 다른 목소리가 흘러나왔습니다. 신문기사를 읽어내려 가는 소리였는데요. 2013년 3월, 오롯이 종이 신문만이 가지고 있는 따뜻함을 전달하기 위해 20대 청년들이 직접 나섰다고 합니다. 바로 국내최초, 세계최초! 대학생 100시간 릴레이 신문읽기에 도전한 것입니다. 그 도전 속으로 다독다독이 함께했습니다. “컴퓨터 모니터로 보는 것, 스마트 폰으로 읽는 것, 종이로 읽는 것들은 물론 차이가 있고 가독성 또한 다릅니다. 그러나 종이로 읽는 것들이 더 잘 읽힌다는 걸 모두들 잘 알고 있지 않아요?” 청..

2013. 3. 5. 11:14
교재 저작권 포기 운동, 대학가 봄바람 될까?

어려운 입시와 허리가 휘는 등록금을 내고 드디어 대학에 입학! 이제 대학 생활의 낭만을 즐기고 열심히 공부만 하면 될 줄 알았는데 웬걸, 난관이 하나 더 남아 있었네요. 바로 교재 값입니다. 시간표 맞춰 전부 다 사자니 교재 값만 학기에 2~30만 원이 넘어가게 생겼어요. 결국 친구들과 십시일반 돈을 모아 교재를 사서 복사를 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이마저도 녹록치 않게 되었습니다. 최근 대학을 상대로 저작권 소송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죠. 이를 둘러싸고 많은 논의와 운동이 벌어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대학가의 저작권 분쟁 실태와 대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출처-서울신문] 대학가 저작권 비상 사태! 올 2월 저작권 강화로 대학가에서 공공연하게 묵인 되어 온 교재 복사, 동영상 상영 등 강의를 위한 행동..

2013. 3. 5. 10:27
3년째 출산율 증가, 그 속내 살펴보니

우리 아이들이 성인이 된 후에 명절은 어떤 모습일까 생각해 봤습니다. 아직은 베이비붐 세대가 사회를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베이비붐 세대의 많은 형제들이 모여 온 가족이 함께 명절을 보냅니다. 하지만 요즘 아이들의 형제관계를 보면 많게는 둘. 셋 정도의 형제를 가지거나 또는 외동인 아이가 대부분입니다. 이런 아이들의 명절 풍경은 어떻게 변하게 될까요? 일 년 중 두 번 북적북적 거리는 가족들 틈새에서 서로의 가족애를 확인하고, 친목을 다지는데 의미를 두었던 명절의 의미가 아이들 세대에는 어떻게 전달이 될지 걱정스럽습니다. [출처-서울신문] 2013년 뜻밖의 희망적인 소식이 들려왔는데요. 2009년 이래로 최저출산율을 극복하고 3년째 출산율이 꾸준히 늘고 있다는 통계 발표가 있었습니다. 2009년 1.14..

2013. 3. 4. 11:02
고전에서 배우는 ‘대학생 새학기 증후군’ 극복법

전쟁 같은 수강신청 기간이 지나고 3월 4일 드디어 긴 겨울 방학의 종지부를 찍는 개강 날이 찾아왔습니다. 다들 들뜬 마음으로 새 학기를 맞이하셨겠지만, 주변 친구들을 살펴보면 막상 그렇지도 않은 것 같습니다. 처음 대학에 입학하는 새내기 친구들은 새 친구 사귈 걱정으로. 졸업을 앞둔 친구는 취업걱정으로. 그리고 군대 제대 후 복학하는 친구들은 다시 학교에 적응할 걱정으로 학교 가기를 많이 두려워합니다. 마냥 기분 좋은 설렘으로 마음이 부푸는 개강 날이 기다려지는 것이 아니라, 한치 앞을 모르는 학교생활 때문에 두려움을 느끼는 것이 바로 새학기 증후군입니다. 새학기 증후군이란 새로운 환경에서 나타나는 부적응 양상으로 새로운 환경과 조화로운 관계를 이루지 못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이전까지는 보통 처음 학생..

2013. 3. 4. 10:06
3.1절에 펼쳐보는 독립 신문! 응답하라 1919

내일은 역사적인 함성이 되살아나는 3.1절입니다. 3월 1일은 1919년 수많은 열사들이 독립을 위한 열망으로 온 마음과 몸을 던지며 아우내 장터로 나섰던 날입니다. 그 후에도 6.10만세 운동과 같은 독립운동이 지속되었지요. 그런데 어떻게 그 많은 사람들이 아우내 장터 한 곳으로 모일 수 있었을까요? 전화기도 없던 그 시대에 말이죠. 그 비결은 바로 ‘신문’에 있습니다. 이라는 신문에 기고된 글을 보고 사람들은 3.1운동이후 지속적으로 독립운동에 대한 정보를 알고 모이게 된 것입니다. 이와 같이 민중들의 힘을 필요로 했던 여러 독립운동 힘의 원천은 바로 신문에 있던 것입니다. 그리하여 오늘은 돌아오는 3.1운동맞이 일제 치하 속에서 신문들은 어떤 상황 속에서 어떤 행보를 겪었는지 한 번 살펴볼까합니다...

2013. 2. 28. 13:30
1 ··· 271 272 273 274 275 276 277 ··· 38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