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 책 뉴스리터러시 신문읽기 뉴스 미디어 NIE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 다독다독 이벤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스마트폰 독서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2326)

  • 내가 좋아하는 뉴스만 보기를 원한다면

    2016.08.19
  • 사색하는 독서법, 독서노트 작성하기

    2016.08.18
  • '뉴스 트러스트'가 뭐냐고요?

    2016.08.18
  • D- 92 수험생 스트레스 극복법

    2016.08.17
  • 혐오표현(hate speech)에 대하여

    2016.08.17
  • 혼자서도 잘하는 씩씩한 당신을 위한 책

    2016.08.16
내가 좋아하는 뉴스만 보기를 원한다면

정형근, 정원여자중학교 교사 [요약] 뉴스 이용이 개인화되며 생겨난 개인 맞춤형 뉴스큐레이션 서비스와 자신의 신념과 일치하는 정보는 받아들이고 신념과 일치하지 않는 정보는 무시하는 필터 버블(Filter Bubble) 현상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내가 좋아하는 뉴스만 보기를 원한다면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에서 제공하는 맞춤형 뉴스를 이용하면 된다. 보통 큐레이터는 작품을 전시 목적에 따라 수집하고 전시하는 역할을 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이와 유사하게 뉴스 큐레이터는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에 따라 뉴스를 분류하고 배포하는 일을 수행하는데,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이 바로 뉴스-큐레이터이다. #뉴스큐레이션과 필터 버블 요즘 왜 뉴스-큐레이션이라는 용어가 여기저기에서 회자되는 것일까? 그것은 홍수처럼 쏟..

2016. 8. 19. 11:00
사색하는 독서법, 독서노트 작성하기

이혜인,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독서는 다만 지식의 재료를 줄 뿐이다.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은 사색의 힘이다." 깊이 있게 책을 읽고 생각을 정리하는 독서노트 작성법을 소개합니다. "사색 없는 독서는 소화되지 않는 음식을 먹는 것과 같다." 아일랜드의 정치사상가 에드먼드 버크의 말입니다. 독서는 책을 끝까지 읽음으로써 끝나는 게 아니라, 책의 내용에 대해 사색하고 자기 생각을 정리해야 비로소 끝난다는 것입니다. 영국의 철학자 존 로크 역시 비슷한 말을 했습니다. "독서는 다만 지식의 재료를 줄 뿐이다.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은 사색의 힘이다." 버크의 말과 같은 맥락으로, 책을 읽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책 속에서 얻은 지식과 교훈을 그저 흘려보내는 것..

2016. 8. 18. 17:00
'뉴스 트러스트'가 뭐냐고요?

#뉴스 트러스트가 뭐냐고요? 오세욱,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 숫자는 컴퓨터가 세상을 받아들이는 방법이다. 우리는 컴퓨터에 문자를 입력하지만, 컴퓨터는 입력된 문자를 숫자화해 받아들인다. 가령, ‘언론’이라는 단어가 있다. ‘ㅇ’은 국제 표준 문자코드인 유니코드에 따라 ‘3147’이다. ‘ㅓ’는 ‘3153’, ‘ㄴ’은 ‘3134’, ‘ㄹ’은 ‘3139’, ‘ㅗ’는 ‘3157’이다. 그래서 컴퓨터는 ‘언론’이라는 문자를 ‘314731533134313931573134’로 받아들인다. 컴퓨터는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문자를 인식한다. 뉴스는 기본적으로 문자로 기록되며, 기록된 문자는 모두 컴퓨터에서 숫자로 인식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시대 모든 뉴스가 숫자로 치환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프로야구 순위처럼 뉴스도..

2016. 8. 18. 11:40
D- 92 수험생 스트레스 극복법

[요약] 어느덧 대입수능이 92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폭염에 지치고 수능에 대한 압박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을 수험생들을 위한 스트레스 극복법을 알려드립니다. #아침 챙기기 바쁘다고 혹은 소화가 잘 안된다고 아침을 거르는 수험생들이 많을텐데요. 그럼에도 아침식사는 꼭 챙겨야 합니다. 미국영양학회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침을 먹는 학생이 거르는 학생보다 집중력, 학습능력, 창의력이 높다고 합니다. 아침을 먹지 않으면 허기진 느낌 때문에 오전에 집중이 되지 않고, 점심 이후 과식으로 이어져 식곤증에 시달리기 쉽기 때문입니다. 또, 아침 대신 마시는 커피나 에너지 음료는 오히려 심장 박동을 빠르게 해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쉽게 예민해져 집중이 안 되고 혈압이 오를 수 있다고 합니다. 모..

2016. 8. 17. 17:00
혐오표현(hate speech)에 대하여

박아란,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양정애,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 [요약] 최근 발생한 강남역 살인사건은 우리 사회에 '여성혐오'와 관련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과연 '여성혐오라는 것이 존재하는가'라는 질문에서부터 '여성혐오는 여성대상 범죄를 일으키는 원인인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그에 따른 갑론을박이 있었다. 한국사회에서 혐오표현이란 무엇을 의미하며 특히 여성혐오에 대한 인식은 어떨까? #혐오표현과 여성혐오에 대한 인식 사실 혐오표현(hate speech)은 여성혐오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회 구성원들 중 소수자 내지 약자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차별표현을 의미하는 혐오표현은 역사적으로 봤을 때 세계 각국에서 문제가 돼 왔다. 특히 유럽에서는 유태인에 대한 나치의 혐오표현이 제2차 ..

2016. 8. 17. 10:26
혼자서도 잘하는 씩씩한 당신을 위한 책

[요약] 무엇이든 씩씩하게! 혼자서도 잘하는 당신을 위한 책을 소개합니다. #, 마스다 미리 저자 ‘마스다 미리’는 일본 싱글 여자들의 정신적 지주와 같은 존재입니다. 그 이유는 의 등장하는 주인공 ‘수짱’ 때문입니다. ‘수짱’은 30대 초반의 독립한 싱글여성 캐릭터로 사회적으로 대단한 성공을 거두지도 않았고, 재력과 미모를 갖춘 골드미스도 아닌 흔히 옆에서 볼 수 있는 평범한 여성입니다. 바로 이 점이 ‘수짱’이 인기가 있는 이유입니다. 그녀는 앞서나가 잘난 척하며 인생의 팁을 알려준다거나, 뒤처져서 징징거리지 않습니다. 훌륭하다고 평가받는 사람들의 이야기에도 결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자신이 경험한 일을 통해 느낀 것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삶을 꾸려갑니다. 그리고 스스로의 삶의 가치를 긍정합니다. 이..

2016. 8. 16. 15:00
1 ··· 40 41 42 43 44 45 46 ··· 38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