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독서 다독다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 한국언론진흥재단 공모전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이벤트 NIE 미디어교육 신문읽기 기자 언론진흥재단 뉴스 뉴스읽기뉴스일기 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출근길 신문광고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보는 것은?

    2011.07.11
  • 한국에 영어마을 있다면 일본에는 독서 마을이 있다

    2011.07.08
  • 워터게이트 사건이 오늘날 던지는 메시지는?

    2011.07.07
  • 매일 신세한탄 하던 A군, 좌절의 늪에서 빠져나온 방법

    2011.07.07
  • 가짜 마을 포템킨 마을로 본 인터넷 시대의 신문

    2011.07.06
  • 기업과 신문사가 전용서체를 사용하는 이유는?

    2011.07.06
출근길 신문광고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보는 것은?

광고를 집행하는 광고주들은 궁금하다. 정말로 소비자들은 이 광고를 보는 것일까. 지금 지불하는 광고비는 과연 적절하게 책정된 것일까. 말 그대로 ‘헛돈’ 날리는 것은 아닌가 하는 걱정이다. 때문에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거둘수 있는 과학적인 광고 운영과 이에 대한 객관적 검증을 요구하는 광고주들의 목소리는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는 비단 광고주만의 문제가 아니다. 광고주라는 ‘고객’을 유치해 매출을 올려야 하는 언론사에도 광고 효과에 대한 검증은 민감하고 중대한 사안이다. 영업 전략을 수립하는 단계에서는 그 매체가 지닌 효과와 소구점이 타당한 근거를 바탕으로 검증 및 활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영업 현장에서도 마찬가지다. 광고주를 설득하기 위해서는 수립된 영업 전략이 객관적으로 입증될 수 있어야만 한..

2011. 7. 11. 09:18
한국에 영어마을 있다면 일본에는 독서 마을이 있다

일본에서 최초로 '독서 마을'을 선포한 곳이 있습니다. 지방자치제도가 발달한 일본에는 별의별 '~마을'이 있지만, 마을 모든 주민이 활발한 책읽기 활동을 펼치는 '독서 마을'은 바로 이바라기현 북서부 '다이고 마치'입니다.(일본에서 ‘마치'는 한국의 읍이나 면을 뜻합니다). ▲'독서 마을' 다이고 마치 풍경 도서관과 서점이 각각 한 곳뿐으로 문화 소외지역이었던 다이고 마치가 일본에서 최초로 독서 마을을 선포한 것은 지난 2007년 6월입니다. 다이고 초등학교와 다이고 서중학교 등 관내 학교가 수업 전 아침 독서 활동을 벌이고, 가정에서 가족이 모두 책을 읽는 '집안 독서' 운동까지 펼치고 있습니다. ▲'독서 마을' 다이고 마치의 추천 도서목록 인구 약 2만 2천명의 작은 마을 다이고 마치의 이러한 시도는..

2011. 7. 8. 09:19
워터게이트 사건이 오늘날 던지는 메시지는?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진정한 기자의 모습이란 어떤 것인가요? 묻혀진 진실을 파헤쳐 세상 밖으로 드러내는 정의로운 수퍼맨과 같은 모습을 생각하지 않나요? 바로 그런 기자정신에 사람들은 감동을 받고, 찬사를 보내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 거대한 진실을 밝히는 수퍼맨 같은 기자의 모습이 담긴 영화 한편을 소개할까 합니다. 실화를 바탕으로 했기에 더 흥미로운 영화인데요. 바로 이라는 제목의 영화입니다. 1976년 만들어진 이 영화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유명한 ‘워터게이트 사건’을 밝혀낸 두 기자가 사건을 밝히기까지의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과연 이 영화에서 기자들은 어떻게 진실을 밝혀냈고, 그들이 보여주는 진정한 기자의 모습은 어떤 것일까요? ※워터게이트 사건※ 1972년 6월 대통령 R.M.닉슨의 재선을 획..

2011. 7. 7. 13:18
매일 신세한탄 하던 A군, 좌절의 늪에서 빠져나온 방법

독서치유프로그램 4단계로 우울함에서 긍정으로 변화하자. 요즘 주변에서 너무 지치고 힘들다는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좌절과 힘겨움, 절망과 우울함의 늪에 빠져있을 때 어떤 책을 골라야 하고 어떻게 이겨내야 할까요? 책을 통해 우울함을 이겨내고 자기 자신을 찾고 좌절과 절망을 이겨낼 방법을 찾아 소개해 봅니다. A군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20대 후반인 A군은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 이곳저곳 구직사이트를 기웃거리며 면접도 보지만 매번 낙방하고 맙니다. 합격한 곳은 적성에 맞지 않아 금세 그만두고 매일 좌절과 자신의 신세한탄을 하며 가슴 아파하고 우울해합니다. ‘하루하루가 답답하기만 하다. 무엇을 해도 왠지 의욕이 없고 어떤 자기계발서가 말하는 대로 행동해도 열정이 살아나지 않는다. 자꾸만 우울함에 빠..

2011. 7. 7. 09:08
가짜 마을 포템킨 마을로 본 인터넷 시대의 신문

제정 러시아 시대에 ‘포템킨 마을’(Potemkin villiange)이라고 있었습니다. 이곳은 외부 방문 인사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일종의 가짜 마을이었습니다. 1787년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여제는 새로 합병한 크림 반도로 시찰을 갔습니다. 당시 그 지역 지사인 그레고리 포템킨은 빈곤하고 누추한 마을 모습을 감추기 위해 가짜 마을을 만들어 훌륭하게 개발된 것처럼 눈속임을 했던 것입니다. 이후 ‘포템킨 마을’은 실상을 속이고 겉만 번지르르한 것을 가리키거나 임시 방편적인 것을 지적할 때의 용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대에도 또 다른 의미의 ‘포템킨 마을’은 존재합니다. 심지어 뉴미디어가 ‘포템킨 마을’ 수준까지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유사한 방식을 통해 전쟁의 합리화 등의 목적을 위해 교묘하게 이용되고 있음을..

2011. 7. 6. 14:52
기업과 신문사가 전용서체를 사용하는 이유는?

현대카드, 올레 KT, 포털 사이트 네이버. 우수한 마케팅 사례를 꼽을 때 빠지지 않고 들어가는 단골 브랜드인데요. 강렬한 메시지 전달력, 사람들의 눈길을 끄는 시각적 광고 효과 외에 이들 브랜드는 한 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전용서체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지요. 전용서체는 최근 많은 기업과 기관들이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데요. 앞서 언급한 현대카드의 '유앤아이(Youandi)', SK텔레콤의 '뫼비우스', 하나금융그룹의 '하나체', 서울시의 '서울남산체' 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힙니다. 송성재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부회장은 “기업•기관들이 전용서체를 개발하는 이유는 인쇄, 방송,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기업의 통합된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하고 일반인들에게 적극적으..

2011. 7. 6. 09:18
1 ··· 157 158 159 160 161 162 163 ··· 17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