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다독다독 뉴스리터러시 스마트폰 기자 뉴스 NIE 한국언론진흥재단 이벤트 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미디어 신문 뉴스읽기뉴스일기 독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리터러시 책 공모전 미디어교육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정주영, 이병철, 워런 버핏의 공통점 ‘리딩으로 리드하라’

    2011.07.27
  • 장학퀴즈 퀴즈지존이 말하는 독서의 힘이란?

    2011.07.26
  • 책 리뷰 모아서 책 낸 파워블로거의 신문예찬

    2011.07.26
  • 청소년 유해매체는 다름 아닌 온라인 신문이다?

    2011.07.25
  • 신문에서 본 카카오 공장의 불편한 진실

    2011.07.25
  • SICAF에서 만난 ‘로봇 찌빠’의 아버지, 신문수 화백

    2011.07.22
정주영, 이병철, 워런 버핏의 공통점 ‘리딩으로 리드하라’

『리딩으로 리드하라』 서평 기본으로 돌아가자(Back to the Basic) 이지성씨가 저자인 『리딩으로 리드하라』는 “세상을 지배하는 0.1퍼센트의 인문고전 독서법”이란 부제가 붙어 있다. 아인슈타인, 처칠, 에디슨이 사고뭉치에서 위대한 천재로 탈바꿈한 비결은 뭐였을까? 또한 둔재들만 가던 삼류 학교 ‘시카고 대학’이 노벨상 왕국이 된 사연은 과연 뭘까? 그리고 카네기, 워런 버핏, 이병철, 정주영이 황금 손이 될 수 있었던 밑바탕과 알렉산더 대왕, 세종, 정조 등 희대의 국가 경영자들의 공통점은 어디에 있을까? 이 모든 것의 해답이 바로 인문고전 독서에 있다. 0.1퍼센트(%)가 세상을 지배할 수 있었던 비결이 바로 인문학에 빠졌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인문고전은 인류의 역사를 새로 쓴 진정한 천재들..

2011. 7. 27. 09:28
장학퀴즈 퀴즈지존이 말하는 독서의 힘이란?

우리나라 퀴즈 프로그램 중 ‘가장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프로그램’이라고 하면 여러분들은 어떤 프로그램이 떠오르시나요? 아마 많은 분들이 ‘장학퀴즈’를 쉽게 떠올리실 텐데요. 1973년 처음 시작해 올해 1900회가 넘었다고 하는 장학퀴즈는 다양한 에피소드를 만들어낸 국민 퀴즈프로그램 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요. 퀴즈를 푸는 학생들과 함께 문제를 맞춰보고 우승자가 탄생하기까지 가슴 졸이며 텔레비전 앞에 앉아있었던 추억은 누구나 있을 것 같습니다. ^^ 이렇게 역사를 자랑하는 장학퀴즈이지만, 지금껏 퀴즈지존은 단 세명 뿐이었다는 사실, 아시나요? 얼마전 퀴즈지존에 네번째 이름을 올린 학생이 있어 화제가 됐었는데요. 바로 서대전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김황순 군이었습니다. 장학퀴즈는 본선 및 파이널 라..

2011. 7. 26. 13:35
책 리뷰 모아서 책 낸 파워블로거의 신문예찬

저는 블로그를 시작한 지 벌써 10년째가 되었습니다. 오랫동안 블로그에서 책 리뷰를 쓴 덕분에 꽤 알려져서 지난해에는 (교보문고)라는 책도 출간하게 되었죠. 이 모든 것을 ‘신문’ 덕분으로 돌리고 싶습니다. 그렇습니다. 저는 지금까지 20년 넘게 종이신문을 고집하는 열혈 신문구독자입니다. 사실 블로그도 신문 덕분에 알게 되었습니다. 2003년 10월 어느 신문에서 “지금 미국에서 블로그blog가 뜬다"는 기사를 읽고, 그 날 저녁 블로그를 만들었습니다. 만든 목적은 바로 신문기사를 스크랩해 놓는 ‘온라인 스크랩북’을 만들기 위해서였습니다. 1995년 군복무를 마치고 대학을 복학한 후 제가 가장 먼저 한 것은 신문 스크랩이었습니다. 제대 후 세상물정을 몰라도 너무나 모르는 제 현실이 안타까워 전공 교수님께..

2011. 7. 26. 09:15
청소년 유해매체는 다름 아닌 온라인 신문이다?

“공부하고 있는 아이에게 간식을 주려고 방에 들어가보니, 컴퓨터에 앉아 아들이 보고 있는 건 였어요. 그런데 가까이서 보니 옆에 보기 민망할 정도의 적나라한 광고가 있어 깜짝 놀랐죠” 중학교 2학년 아들을 둔 전업주부 권정민(47세) 씨의 이야기입니다. 권씨는 한참 사춘기일 시기에 인터넷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아들을 보면 걱정이 앞선다고 합니다. 지난 통계청 자료를 보면, 2010년 10대 청소년의 97.3%가 하루 1회 이상 인터넷을 사용한다고 밝혔는데요. 특히, 중•고등학생 중 ‘성인용 간행물’을 보고 ‘온라인 음란물’을 이용하는 비율이 각각 38.3%로 2009년 비해 증가했다고 합니다. 이처럼 아직 판단력이 부족한 청소년들에게 인터넷에서 보여지는 유해광고들은 간혹 범죄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 위험하기..

2011. 7. 25. 12:57
신문에서 본 카카오 공장의 불편한 진실

신문을 읽으면 세상이 달라 보인다. 그러나 다르게 보는 것은 불편한 일이다. 지난달 초, 여자친구가 모니터를 들여다보며 울상을 지었다. 초콜릿 값이 작년에 비해 무척 올랐기 때문이다. 나는 밸런타인데이에 초콜릿을 주지 말라고 부탁했다. 매년 밸런타인데이마다 초콜릿을 직접 만들어왔다던 그녀의 표정이 어두워졌다. 그녀가 물었다. “왜 남들은 다 받는 사랑의 증표가 받기 싫다는 거야?” 나는 얼마 전에 신문에서 읽은 이야기를 그녀에게 전했다. 초콜릿 원료 카카오의 학명은 ‘신의 음식’이다. 고상한 이름과 달리 카카오 나무는 아이들의 고통을 먹고 자란다. 서아프리카 지역 카카오 농장에서 25만 명에 이르는 아이들이 하루 두 끼만 먹으며 12시간을 일한다. 아이들은 단돈 15달러에 부모의 손에서 팔려간다. 노예에..

2011. 7. 25. 09:21
SICAF에서 만난 ‘로봇 찌빠’의 아버지, 신문수 화백

예전 일본의 독서문화에 대한 한 사설에 이런 내용이 있었습니다. “일본사람들이 책을 많이 읽는다고 해서 어떤가 봤더니, 지하철에 타보니 절반 이상이 만화책을 읽고 있더라” 이 사설에는 일본의 독서문화가 생각보다 많이 부풀려져 있고, 만화는 진정한 책으로 볼 수 없다고 무시하는 늬앙스가 담겨 있었는데요. 지금은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한 때 우리나라에서 만화는 ‘아이들에게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유해 매체’로 인식되어 마치 불량식품처럼 다루어진 적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일찍이 유럽에서는 만화를 ‘제9의 예술’이라고 지칭하며 신문만평이나 캐리커처를 통해 사회를 풍자하는 도구로 활용했고, 그림을 통해 쉽게 의미가 전달되는 만화의 강점을 파악한 일본에서는 만화를 적극적으로 발전시켜 오늘날 ‘망..

2011. 7. 22. 13:23
1 ··· 154 155 156 157 158 159 160 ··· 17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