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0)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 이벤트 기자 책 독서 뉴스읽기뉴스일기 언론진흥재단 미디어 스마트폰 공모전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다독다독 NIE 뉴스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웹진<미디어리터러시>(103)

  • [밑줄 긋는 시민 기획위원] 디지털 공간 속 시민의식이 중요한 이유

    2023.04.20
  • 「미디어리터러시」 2023년 봄호(24호)

    2023.04.03
  • [미디어 리터러시 셀프 체크] 기사형 광고 알아채기

    2023.03.31
  • 안전한 디지털 환경, 플랫폼-부모-공동체 협력해야 가능

    2023.03.16
  • 인간을 위한 AI 첫걸음, ‘개발자&이용자 윤리 교육’

    2023.03.10
  • 세상에 격려와 기쁨을 주는 따뜻한 네트워크

    2023.03.09
[밑줄 긋는 시민 기획위원] 디지털 공간 속 시민의식이 중요한 이유

밑줄 긋는 시민 기획위원 「안전한 디지털 환경, 플랫폼-부모-공동체 협력해야 가능」을 바탕으로 ​ written by. 한지유 (계간 ≪미디어리터러시≫ 시민 기획위원)​ 이번 ≪미디어리터러시≫ 2023년 봄호(통권 제24호) ‘미·리·Talk’에는 타미 바우믹(Tami Bhaumik) 로블록스(Roblox) 시민의식 및 파트너십 부사장(이하 타미 바우믹 부사장)과의 대담이 실렸다. 로블록스는 세계적인 메타버스(mataverse) 플랫폼이다. 실제 세상이 아닌 ‘온라인 세상’인 메타버스 플랫폼을 운영하는 기업이 왜 시민의식을 중요하게 여기는지 선뜻 이해되지 않기도 한다. 이번 에서는 로블록스가 왜 디지털 시민의식을 중요하게 여기는지, 어떻게 시민의식을 일깨우는지 살펴본다.​ 안전한 디지털 환경, 플랫폼-부..

2023. 4. 20. 13:02
「미디어리터러시」 2023년 봄호(24호)

한국언론진흥재단은 2023년 3월 미디어 리터러시 봄호(통권 24호를 발행하였다. 미디어 리터러시 봄호에서는 주제로 유아 미디어교육의 흐름과 우리 앞에 놓인 과제를 살펴보았다. ​ ​ ​ ​ ​ ​ I. 특별기획 :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 김낙흥 / 우리 아이 디지털 첫걸음, 막지 말고 손잡아줘야 동풀잎 / 놀면서 배우고, 탐색하고, 성장하고 최원석 / 20년간 쌓은 리뷰 4만 건 어린이 콘텐츠 품질 평가에 진심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팀 / 부모가 먼저 미디어 이용 모범을 보여주세요 ​ ​ ​ II. 인터뷰/대담 : 미·리·Talk ​ 최숙 / 안전한 디지털 환경, 플랫폼-부모-공동체 협력해야 가능 ​ ​ ​ Ill. 교육현장 : 미디어교육, 들여다보기 ​ 김예현 / 인간을 위한 AI 첫걸음,..

2023. 4. 3. 14:09
[미디어 리터러시 셀프 체크] 기사형 광고 알아채기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 ​ ​ 기사형 광고! 오늘날 인터넷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이러한 광고는 내러티브 광고의 일종인데요. 내러티브 광고는 재미있는 이야기를 통해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광고로, 광고 회피를 최소화하려는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이 기사의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상업적 의도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불공정한 설득이 일어날 수 있죠. ​ ​ ​실제로 기사 형식으로 제시된 광고의 경우 일반 성인도 광고로 인지하는 경우가 매주 낮다고 하는데요. 와 함께 기사형 광고의 유형을 체크해볼까요? ​ A. 정보와 홍보성 내용을 병치하는 기사 한강뷰 아파트 ○○건설, ‘△△ ○○아파트 한강’ 3일 1순위 청약 최근 ‘마지막 남은 한강뷰’ 지역으로 알려진 △△시의 아..

2023. 3. 31. 11:00
안전한 디지털 환경, 플랫폼-부모-공동체 협력해야 가능

TalkTalk : 미디어톡톡 인터뷰 - 타미 바우믹 로블록스 시민의식 및 파트너십 부사장 ​ written by. 최숙 (타이밍포올 CEO) 1) https://www.timing4all.com/ ​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 기업들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용자들의 리터러시에 대한 책임이 단지 개인에게만 있지 않다는 점에서 기업의 자발적 활동과 관심은 반갑다. 특히 자신이 속한 기업의 긍정적인 이미지 제고만을 위해서가 아닌, 더 나은 미래 세상을 향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확대를 위해 활동하는 기업인을 만나기는 쉽지 않다. 지난 2월, 한국을 찾은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Roblox)의 시민의식 및 파트너십 부사장 타미 바우믹(Tami Bhaumik)을..

2023. 3. 16. 11:32
인간을 위한 AI 첫걸음, ‘개발자&이용자 윤리 교육’

미디어교육 현장 초등학교 인공지능 수업 어떻게 할까?​ written by. 김예현 (백마초 교사) ​ 인공지능 챗봇 ‘챗GPT’로 전 세계가 술렁인다. 1초만에 에세이를 뚝딱 써내고, 증권사 보고서도 단숨에 분석해내는 똑똑한 인공지능의 출현이 인류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의견이 분분하다.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인공지능이 존재하지 않던 시간으로 되돌아갈 수는 없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인공지능과 함께 살아갈 우리 아이들에게 무엇을 가르쳐야 할까? 인공지능 시대를 대비한 학교 수업을 고민해 본다. ​ 인공지능 윤리 수업을 할 때 학생들이 인공지능 기술 자체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져서는 안 된다. 인공지능 윤리를 배우는 까닭은 인공지능 개발자와 이용자가 인공지능 기술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

2023. 3. 10. 14:26
세상에 격려와 기쁨을 주는 따뜻한 네트워크

기획연재: 미디어 바로알기 '공동체 미디어' 이해하기 ​ written by. 강진숙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 ​ 2004년 처음 시작된 공동체 라디오는 각 지역에 특화된 정보를 신속히 전달하고 지역 결속에 기여해 온 공동체 미디어의 대표 사례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광의의 공동체 미디어는 단순히 한 마을의 미디어나 라디오를 넘어 더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보다 깊은 의미를 지닌다. 네 번째 순서로 ‘공동체 미디어’를 들여다본다. ​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속적으로 ‘미디어교육 학습공동체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학습 공동체를 통해 주체성을 지닌 다중들의 미디어교육 실천이 이루어진다면 주체적인 미디어 이용과 공동체 참여가 활성화될 것이다. 공동체 미디어가 비난과 악플이 아닌 ..

2023. 3. 9. 14:38
1 ··· 5 6 7 8 9 10 11 ··· 1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