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4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2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독서 뉴스 신문읽기 이벤트 공모전 책 뉴스읽기뉴스일기 스마트폰 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NIE 기자 미디어교육 뉴스리터러시 다독다독 신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웹진<미디어리터러시>(119)

  • <돈 룩 업>, <댓글부대>가 그리는 여론 조작 메커니즘

    2025.11.05
  • 벨기에 미디어교육 현장에서 찾은 한국 미디어교육의 미래

    2025.10.29
  • 미디어 세계의 항해를 돕는 나침반

    2025.10.22
  • 미디어 리터러시의 확장과 지속 가능성을 논하다

    2025.10.15
  • 깨어 있는 시민을 기르는 교육 시민다운 교육자로부터 시작돼야

    2025.10.08
  • 미디어, ‘그냥 보지 않는’ 사람으로 성장하기

    2025.10.01
<돈 룩 업>, <댓글부대>가 그리는 여론 조작 메커니즘

ㅣ배동미(씨네21 기자) / 사진((주)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넷플릭스 제공)ㅣ 어디까지가 허구고 어디까지가 진실일까. 간혹 영화를 보면 헛갈릴 때가 있다. 보고 난 후 떠오르는 사건이나 현상을 새로운 시각으로 되짚어보게 만드는 영화들이 있다. 과 , 두 편의 영화를 통해 우리 사회의 여론 조작 메커니즘과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확인해 본다. ‘하늘을 보지 마라’는 명령, 누구의 진실인가 망원경으로 별을 관찰하고 기록하던 천문학과 박사과정 수료생 디비아스키(제니퍼 로렌스)는 어느 날 밤, 그전까지 보지 못한 혜성 하나를 발견한다. 궤적을 살펴보니 지구를 향해 정면으로 날아오는 중이고, 6개월 뒤면 충돌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발견자 이름을 딴 디비아스키 혜성이 지구와 충돌할 확률은 99.78%...

2025. 11. 5. 10:00
벨기에 미디어교육 현장에서 찾은 한국 미디어교육의 미래

ㅣ박소현(옥길산들초등학교 교사)ㅣ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진 현재, 한국언론진흥재단은 교사의 미디어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매년 해외 연수를 실시한다. 올해 연수는 2025년 6월 14일부터 21일까지 벨기에에서 진행되었다. 이번 연수를 통해 한국 미디어교육의 새로운 해법과 방향성을 확인한 박소현 교사의 연수 참관기를 소개한다. 벨기에는 유럽 내에서도 일찍부터 미디어 리터러시를 체계적으로 정착시켜 온 국가로,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미디어교육 프로그램과 정책적 지원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번 연수에서는 현장에서 실질적인 미디어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기관인 악시옹 메디아 존느(Action Médias Jeunes, 이하 AMJ)와 벨기..

2025. 10. 29. 10:00
미디어 세계의 항해를 돕는 나침반

ㅣ루이 드묄레나에르(Louis Demeulenaere, 미디어웨스 프로젝트 담당자) / 번역 권진희ㅣ 정보 과잉과 알고리즘, 그리고 정치적 불확실성의 시대.우리는 어떻게 현명한 판단을 내릴 수 있을까?지난 6월 17일,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팀 해외연수단은벨기에 플랑드르 지방의 미디어 리터러시 전문 기관 미디어웨스(Mediawijs)를 방문해교육 코디네이터 앤디 드묄레나에르(Andy Demeulenaere)와프로젝트 담당자 루이 드묄레나에르(Louis Demeulenaere)를 만났다.두 사람은 미디어웨스의 사명과 미디어교육 철학,그리고 청소년을 위한 정치 교육 도구 ‘EDUbox Politics’의개발 배경과 활용 사례를 공유했다.미디어웨스의 사명과 역할미디어웨스(Mediawijs)는 플랑드르 미디..

2025. 10. 22. 10:00
미디어 리터러시의 확장과 지속 가능성을 논하다

ㅣ배인환(코넬대학교 박사과정)ㅣ 지난 5월 30일 서울대학교 SSK 디지털 소통과 지속가능성 연구단(이하 서울대 SSK 연구단)이연세대학교 바른ICT 연구소(이하 연세대 바른ICT 연구소)와 함께한국프레스센터에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과정신건강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본 행사에는 국내외 저명 학자들이 참여해다양한 디지털 소통 방식과 정신건강 문제에 관한 연구 결과를 공유했다.이번 심포지엄의 주요 내용을 요약·소개한다. 디지털 미디어의 빠른 발전과 변화 속에서 사람 중심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모색하고자, 지난 5월 국내외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서울대 SSK 연구단과 연세대 바른ICT 연구소는 공동으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과 정신건강’을 주제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

2025. 10. 15. 10:00
깨어 있는 시민을 기르는 교육 시민다운 교육자로부터 시작돼야

ㅣ구미숙(미디어강사&한림대학교 AI·미디어교육 전공)ㅣ 지난 5월 한국언론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열렸다.다양한 세션이 진행된 이번 학술대회에서는미디어 다양성·리터러시 특별위원회가 라운드테이블을 주최해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관련된 유의미한 담론을 나눴다.이번 라운드테이블의 주요 논의 내용을 소개한다. 디지털 플랫폼과 알고리즘 기반 정보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우리는 미디어를 단순히 ‘읽는’ 차원을 넘어 비판하고 해석하는 역량을 새롭게 길러야 하는 시대에 놓여 있다. 정보의 진위 판단, 표현 윤리, 데이터 감수성 등 미디어 리터러시는 이제 필수적인 교육 과제로 자리 잡았지만, 아직도 핵심 개념 선정, 교수자 역량 기준, 실천적 교수 전략에 대한 공론화는 미흡하다. 이러한 문제의식 ..

2025. 10. 8. 10:00
미디어, ‘그냥 보지 않는’ 사람으로 성장하기

|박희라(인천국제고등학교 교사)| 인천국제고등학교 학생들은 미디어 재현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미디어가 만든 인천 영상과 인천의 실제 모습을 직접 비교하며,지역의 다양한 모습과 미디어가 지역을재현하는 방식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했다.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지역의 문제와 가능성에 대해 더 깊이 고민하는 계기를마련한 학습 과정을 따라가 본다. 마계 인천, 고담 대구, 노잼 도시 대전……. 인터넷에 지역을 검색하면 등장하는 키워드들이다. 지역의 일부 특색에 대한 농담으로 시작한 별명 붙이기는, 점차 인터넷과 미디어를 잠식하며 지역에 대한 편견과 비하로 변질되기 시작했다. 그저 인터넷 내에서 일부 누리꾼들이 하는 이야기 아닌가 싶지만, 실제 현실에서도 “인천에 살고 있다”고 밝히면 돌아오는 반응이 1..

2025. 10. 1. 10:00
1 2 3 4 ··· 2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