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2)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책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이벤트 다독다독 언론진흥재단 미디어 독서 신문 NIE 공모전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읽기 스마트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웹진<미디어리터러시>(97)

  • 기획취재 아카이브 – 씨네21 <어느 신인 작가의 고백>

    2023.06.22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 ‘다양성의 가치’ 가르치자

    2023.06.15
  • <기사형 광고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를 통해 보는 해외 사례

    2023.06.14
  • 6월의 추천 도서 –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2023.06.07
  • [숫자로 보는 미디어 리터러시] 챗GPT 이용 경험 및 인식 조사

    2023.05.30
  • <2023 인권보도 참고 사례집>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 업그레이드하기!

    2023.05.18
기획취재 아카이브 – 씨네21 <어느 신인 작가의 고백>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기획취재 지원사업’은 심층 뉴스콘텐츠의 취재·보도·제작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저널리즘 가치에 부합하는 우수 뉴스콘텐츠 발굴 및 언론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것이 사업 목적인데요. 지원 규모는 일반 연재보도 지원 건당 20,000천원 이내, 디지털 스토리텔링 뉴스 제작 건당 40,000천원 이내, 실감형 뉴스 제작 건당 50,000원 이내입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홈페이지엔 역대보도물이 아카이빙되어 있기도 한데요. 한국언론진흥재단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정도 만족하셨습니까? 관리자의 답변이 필요한 의견은 고객의 소리 게시판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www.kpf.or.kr 그중 지난해 10월에 공개되었던, 씨네21의 을 소..

2023. 6. 22. 10:50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 ‘다양성의 가치’ 가르치자

미디어의 소수자 재현: 노인과 장애인 ​ written by. 강진숙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 ​ 우리가 매일 접하는 뉴스와 미디어 콘텐츠 속에는 의외로 많은 차별과 혐오 표현이 등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표현은 주로 노인, 여성, 장애인, 이주노동자 등 사회적 소수자, 사회적 약자를 향하고 있다. 비장애인, 남성 등 주류의 시선으로 이들을 그려내기 때문이다. 다섯 번째 순서는 바로 미디어의 소수자 재현의 문제점을 들여다보았다. 우리가 매일 시청하는 미디어 속 노인과 장애인의 모습은 특정한 방식으로 구성된 가공의 이미지이다. 다양한 현실의 모습이 아닌 하나의 전형적 이미지로 재현될 경우, 소수자에 대한 우리의 선입견과 편견이 강화되어 공동체 사회의 다양성의 가치가 훼손될 수 있다. ​ ​ ..

2023. 6. 15. 11:55
<기사형 광고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를 통해 보는 해외 사례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 ​ ​ 기사형 광고는 기사 형식을 빌린 광고로, 구성이나 내용, 편집 방법 등으로 인해 독자로 하여금 ‘광고’가 아닌 ‘기사’로 오인하게 할 수 있습니다. ​ ​ 지난 ‘미디어 리터러시 셀프 체크’에서 다룬 내용이기도 한데요. [미디어 리터러시 셀프 체크] 기사형 광고 알아채기 written by. 계간 편집부 기사형 광고! 오늘날 인터넷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이... blog.naver.com ​ 기사형 광고는 언론사의 재정적 안정과 광고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는 한편, 독자가 기사로 오인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기만적이며, 잠재적 소비자인 독자가 피해를 입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 ​ ​ ​ ​ ​ 기사형 광고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언론계와 광고계가 ..

2023. 6. 14. 17:50
6월의 추천 도서 –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6월의 추천 도서 –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삶을 위한 말귀, 문해력, 리터러시 ​ ​ ‘석가탄신일 대체공휴일을 포함해서 사흘간의 연휴가 시작되었다’ ‘금일까지 과제 제출 바랍니다.’, ‘심심한 사과 말씀 드립니다’ 최근 문해력 논란을 불러왔던 문장들입니다. ​ ​ ​ ​ ​ 우리가 흔히 문해력이라고 생각하는 ‘리터러시’의 대상은 시대별로 계속해서 바뀌어갔습니다. 단편적으로 조선시대에는 한자를 잘 아는 것이 리터러시였다면 현재에는 한글을 넘어 미디어를 잘 읽는 것이 리터러시의 중요한 부분으로 제시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미디어 생태계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정보 습득 방식은 중세에서 근대로 넘어오면서 말에서 글로, 듣는 것에서 읽는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2023. 6. 7. 10:07
[숫자로 보는 미디어 리터러시] 챗GPT 이용 경험 및 인식 조사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 ​ 작년 말 시작된 생성형 AI(인공지능)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해를 넘기면서 더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에서는 사람들이 챗GPT를 얼마나, 또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20~50대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요. 그 결과, 계간 와 함께 보시죠! ​ ​ ​ ​ ​ ​ 여러분은 챗GPT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혹은 이용해본 경험은 있으신가요? 가장 먼저, 설문조사에 참여하기 전부터 챗GPT에 대해 알고 있었는지를 알아보았는데요. 60.2%가 챗GPT를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고 39.8%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용 경험에 대해서는 이용해본 적 있는 응답자가 32.8%, 없다는 응답자가 67...

2023. 5. 30. 11:14
<2023 인권보도 참고 사례집>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 업그레이드하기!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 ​ 지난 4월, 국가인권위원회와 한국기자협회가 공동으로 ‘2023 인권보도 참고 사례집’을 발간한 것 알고 계셨나요? 이번 사례집은 2011년 인권보도준칙을 제정하고 2014년 1차 개정한 데 이은 후속 작업인데요. 현장 기자, 언론학자, 변호사, 미디어 활동가 등의 의견과 1차 개정 이후 새로 제기된 인권 현안을 중심으로 기획 및 편집됐습니다. ​ 사례집은 재난 보도와 인권, 감영병 보도와 인권, 자살 보도와 인권, 범죄·성폭력·성희롱·성매매 보도와 인권, 성평등 보도와 인권, 장애 보도와 인권, 정신질환 보도와 인권, 이주민·난민 보도와 인권, 노인 보도와 인권, 아동·청소년 보도와 인권, 성소수자 보도와 인권, 북한이탈주민 및 북한주민 보도와 인권, 언론 ..

2023. 5. 18. 10:19
1 ··· 3 4 5 6 7 8 9 ··· 1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