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44)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책 미디어교육 뉴스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한국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기자 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미디어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이벤트 NIE 독서 다독다독 신문 공모전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웹진<미디어리터러시>(119)

  • <기사형 광고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를 통해 보는 해외 사례

    2023.06.14
  • 6월의 추천 도서 –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2023.06.07
  • [숫자로 보는 미디어 리터러시] 챗GPT 이용 경험 및 인식 조사

    2023.05.30
  • <2023 인권보도 참고 사례집>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 업그레이드하기!

    2023.05.18
  • [밑줄 긋는 시민 기획위원] 디지털 공간 속 시민의식이 중요한 이유

    2023.04.20
  • 「미디어리터러시」 2023년 봄호(24호)

    2023.04.03
<기사형 광고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를 통해 보는 해외 사례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 ​ ​ 기사형 광고는 기사 형식을 빌린 광고로, 구성이나 내용, 편집 방법 등으로 인해 독자로 하여금 ‘광고’가 아닌 ‘기사’로 오인하게 할 수 있습니다. ​ ​ 지난 ‘미디어 리터러시 셀프 체크’에서 다룬 내용이기도 한데요. [미디어 리터러시 셀프 체크] 기사형 광고 알아채기 written by. 계간 편집부 기사형 광고! 오늘날 인터넷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이... blog.naver.com ​ 기사형 광고는 언론사의 재정적 안정과 광고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는 한편, 독자가 기사로 오인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기만적이며, 잠재적 소비자인 독자가 피해를 입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 ​ ​ ​ ​ ​ 기사형 광고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언론계와 광고계가 ..

2023. 6. 14. 17:50
6월의 추천 도서 –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6월의 추천 도서 –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삶을 위한 말귀, 문해력, 리터러시 ​ ​ ‘석가탄신일 대체공휴일을 포함해서 사흘간의 연휴가 시작되었다’ ‘금일까지 과제 제출 바랍니다.’, ‘심심한 사과 말씀 드립니다’ 최근 문해력 논란을 불러왔던 문장들입니다. ​ ​ ​ ​ ​ 우리가 흔히 문해력이라고 생각하는 ‘리터러시’의 대상은 시대별로 계속해서 바뀌어갔습니다. 단편적으로 조선시대에는 한자를 잘 아는 것이 리터러시였다면 현재에는 한글을 넘어 미디어를 잘 읽는 것이 리터러시의 중요한 부분으로 제시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미디어 생태계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정보 습득 방식은 중세에서 근대로 넘어오면서 말에서 글로, 듣는 것에서 읽는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2023. 6. 7. 10:07
[숫자로 보는 미디어 리터러시] 챗GPT 이용 경험 및 인식 조사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 ​ 작년 말 시작된 생성형 AI(인공지능)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해를 넘기면서 더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에서는 사람들이 챗GPT를 얼마나, 또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20~50대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요. 그 결과, 계간 와 함께 보시죠! ​ ​ ​ ​ ​ ​ 여러분은 챗GPT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혹은 이용해본 경험은 있으신가요? 가장 먼저, 설문조사에 참여하기 전부터 챗GPT에 대해 알고 있었는지를 알아보았는데요. 60.2%가 챗GPT를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고 39.8%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용 경험에 대해서는 이용해본 적 있는 응답자가 32.8%, 없다는 응답자가 67...

2023. 5. 30. 11:14
<2023 인권보도 참고 사례집>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 업그레이드하기!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 ​ 지난 4월, 국가인권위원회와 한국기자협회가 공동으로 ‘2023 인권보도 참고 사례집’을 발간한 것 알고 계셨나요? 이번 사례집은 2011년 인권보도준칙을 제정하고 2014년 1차 개정한 데 이은 후속 작업인데요. 현장 기자, 언론학자, 변호사, 미디어 활동가 등의 의견과 1차 개정 이후 새로 제기된 인권 현안을 중심으로 기획 및 편집됐습니다. ​ 사례집은 재난 보도와 인권, 감영병 보도와 인권, 자살 보도와 인권, 범죄·성폭력·성희롱·성매매 보도와 인권, 성평등 보도와 인권, 장애 보도와 인권, 정신질환 보도와 인권, 이주민·난민 보도와 인권, 노인 보도와 인권, 아동·청소년 보도와 인권, 성소수자 보도와 인권, 북한이탈주민 및 북한주민 보도와 인권, 언론 ..

2023. 5. 18. 10:19
[밑줄 긋는 시민 기획위원] 디지털 공간 속 시민의식이 중요한 이유

밑줄 긋는 시민 기획위원 「안전한 디지털 환경, 플랫폼-부모-공동체 협력해야 가능」을 바탕으로 ​ written by. 한지유 (계간 ≪미디어리터러시≫ 시민 기획위원)​ 이번 ≪미디어리터러시≫ 2023년 봄호(통권 제24호) ‘미·리·Talk’에는 타미 바우믹(Tami Bhaumik) 로블록스(Roblox) 시민의식 및 파트너십 부사장(이하 타미 바우믹 부사장)과의 대담이 실렸다. 로블록스는 세계적인 메타버스(mataverse) 플랫폼이다. 실제 세상이 아닌 ‘온라인 세상’인 메타버스 플랫폼을 운영하는 기업이 왜 시민의식을 중요하게 여기는지 선뜻 이해되지 않기도 한다. 이번 에서는 로블록스가 왜 디지털 시민의식을 중요하게 여기는지, 어떻게 시민의식을 일깨우는지 살펴본다.​ 안전한 디지털 환경, 플랫폼-부..

2023. 4. 20. 13:02
「미디어리터러시」 2023년 봄호(24호)

한국언론진흥재단은 2023년 3월 미디어 리터러시 봄호(통권 24호를 발행하였다. 미디어 리터러시 봄호에서는 주제로 유아 미디어교육의 흐름과 우리 앞에 놓인 과제를 살펴보았다. ​ ​ ​ ​ ​ ​ I. 특별기획 :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 김낙흥 / 우리 아이 디지털 첫걸음, 막지 말고 손잡아줘야 동풀잎 / 놀면서 배우고, 탐색하고, 성장하고 최원석 / 20년간 쌓은 리뷰 4만 건 어린이 콘텐츠 품질 평가에 진심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팀 / 부모가 먼저 미디어 이용 모범을 보여주세요 ​ ​ ​ II. 인터뷰/대담 : 미·리·Talk ​ 최숙 / 안전한 디지털 환경, 플랫폼-부모-공동체 협력해야 가능 ​ ​ ​ Ill. 교육현장 : 미디어교육, 들여다보기 ​ 김예현 / 인간을 위한 AI 첫걸음,..

2023. 4. 3. 14:09
1 ··· 7 8 9 10 11 12 13 ··· 2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