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21)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2)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 뉴스 미디어리터러시 NIE 이벤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독서 신문읽기 스마트폰 다독다독 공모전 뉴스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재단 기자 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웹진<미디어리터러시>(112)

  • 안전한 디지털 환경, 플랫폼-부모-공동체 협력해야 가능

    2023.03.16
  • 인간을 위한 AI 첫걸음, ‘개발자&이용자 윤리 교육’

    2023.03.10
  • 세상에 격려와 기쁨을 주는 따뜻한 네트워크

    2023.03.09
  • 피해자와 공감하고 연대하는 성숙한 디지털 시민

    2023.01.11
  • 17개 근거 찾아 팩트체크, 결과 공유·확산에도 최선 다해

    2023.01.06
  • 어린이·청소년 안전과 권리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활용

    2023.01.05
안전한 디지털 환경, 플랫폼-부모-공동체 협력해야 가능

TalkTalk : 미디어톡톡 인터뷰 - 타미 바우믹 로블록스 시민의식 및 파트너십 부사장 ​ written by. 최숙 (타이밍포올 CEO) 1) https://www.timing4all.com/ ​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 기업들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용자들의 리터러시에 대한 책임이 단지 개인에게만 있지 않다는 점에서 기업의 자발적 활동과 관심은 반갑다. 특히 자신이 속한 기업의 긍정적인 이미지 제고만을 위해서가 아닌, 더 나은 미래 세상을 향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확대를 위해 활동하는 기업인을 만나기는 쉽지 않다. 지난 2월, 한국을 찾은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Roblox)의 시민의식 및 파트너십 부사장 타미 바우믹(Tami Bhaumik)을..

2023. 3. 16. 11:32
인간을 위한 AI 첫걸음, ‘개발자&이용자 윤리 교육’

미디어교육 현장 초등학교 인공지능 수업 어떻게 할까?​ written by. 김예현 (백마초 교사) ​ 인공지능 챗봇 ‘챗GPT’로 전 세계가 술렁인다. 1초만에 에세이를 뚝딱 써내고, 증권사 보고서도 단숨에 분석해내는 똑똑한 인공지능의 출현이 인류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의견이 분분하다.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인공지능이 존재하지 않던 시간으로 되돌아갈 수는 없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인공지능과 함께 살아갈 우리 아이들에게 무엇을 가르쳐야 할까? 인공지능 시대를 대비한 학교 수업을 고민해 본다. ​ 인공지능 윤리 수업을 할 때 학생들이 인공지능 기술 자체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져서는 안 된다. 인공지능 윤리를 배우는 까닭은 인공지능 개발자와 이용자가 인공지능 기술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

2023. 3. 10. 14:26
세상에 격려와 기쁨을 주는 따뜻한 네트워크

기획연재: 미디어 바로알기 '공동체 미디어' 이해하기 ​ written by. 강진숙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 ​ 2004년 처음 시작된 공동체 라디오는 각 지역에 특화된 정보를 신속히 전달하고 지역 결속에 기여해 온 공동체 미디어의 대표 사례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광의의 공동체 미디어는 단순히 한 마을의 미디어나 라디오를 넘어 더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보다 깊은 의미를 지닌다. 네 번째 순서로 ‘공동체 미디어’를 들여다본다. ​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속적으로 ‘미디어교육 학습공동체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학습 공동체를 통해 주체성을 지닌 다중들의 미디어교육 실천이 이루어진다면 주체적인 미디어 이용과 공동체 참여가 활성화될 것이다. 공동체 미디어가 비난과 악플이 아닌 ..

2023. 3. 9. 14:38
피해자와 공감하고 연대하는 성숙한 디지털 시민

피해자와 공감하고 연대하는 성숙한 디지털 시민 디지털 미디어와 정동 체험 인생은 만남의 연속이다. 상처와 슬픔을 주는 만남도 있지만 상대의 고통에 공감하고 어루만져 주는 만남도 있다. 디지털 미디어,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점점 커져가는 시대에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서로에게 힘이 되어 주는 긍정적 만남의 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세 번째 순서로 ‘디지털 미디어와 정동 체험’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자. 강진숙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슬픔은 피해자의 힘을 감소시키지만, 정서 변이의 힘을 강화할 때 문제 해결의 주체가 될 수 있다. 특히 사이버 폭력 예방을 위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고립된 개인이 아닌 다수의 학습자들이 가해 및 피해 경험을 공명하고 정동의 힘을 키울 수 있는 기..

2023. 1. 11. 10:00
17개 근거 찾아 팩트체크, 결과 공유·확산에도 최선 다해

17개 근거 찾아 팩트체크, 결과 공유·확산에도 최선 다해 ‘제4회 청(소)년 체커톤 대회’ 수상자 후기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주최하는 ‘제4회 청(소)년 체커톤’ 대회가 막을 내렸다. 이번 대회의 가장 큰 특징은 처음으로 대학생도 출전이 가능했다는 점이다. 최우수상을 수상한 국민대 ‘미쓰리광일’ 팀의 수상 후기를 전한다. 미쓰리광일 팀 (고경명, 김성곤, 김수호, 최수현) 열정을 가지고 팩트체크에 임하면서 굉장한 자부심도 느꼈다. 단순히 팩트체크의 결과에만 관심을 갖기보다 과정을 경험해 보았다는 점이 특히 의미 있었다. 이전엔 어떤 것이 진실인가 거짓인가에만 몰두했다면 이번 대회를 통해 세상에는 온전한 진실과 온전한 거짓이 없다는 점을 깨달았다. ‘미쓰리광일’은 국민대에서 미디어를 공부하는 학생 세 명과,..

2023. 1. 6. 09:36
어린이·청소년 안전과 권리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활용

어린이·청소년 안전과 권리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활용 ‘2022 미디어교육 대상’ 수상자 대담 지난 11월 11일 마지막 행사로 미디어교육 대상 시상식이 있었다. 3년 이상 미디어교육을 수행한 교사, 대학교수, 미디어교육 전문 강사 등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확산에 공로가 있다고 인정된 이들에게 교육부장관상, 문체부장관상,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사장상 등이 수여됐다. 수상자와 함께 그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임하면서 겪은 다양한 경험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철학에 대해 이야기 나누어 보았다. 정선임 (미디어교육 강사·서강대 대학원 박사과정) 원래는 보호주의자가 아니었는데, 디지털 미디어 환경 속에서 아이들은 보호받아야 하고 이들의 안전이 지켜져야 한다는 입장을 갖게 됐다. 그 시대의 미디어에 대해..

2023. 1. 5. 09:41
1 ··· 7 8 9 10 11 12 13 ··· 1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