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다독다독 미디어교육 공모전 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책 신문읽기 미디어 스마트폰 뉴스 뉴스리터러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NIE 독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이벤트 신문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중국에 대한 오해와 편견, 중국을 인터뷰하다

    2013.11.18
  • 영자신문을 더 즐겁게 읽는 세 가지 장르적 특성

    2013.11.18
  • 헌 책방, 어디까지 가봤니? 동인천 배다리 헌 책방 거리에 가보니

    2013.11.15
  • 함께해서 즐거운 콜라보레이션 열풍, 신문 속에서 찾아보니

    2013.11.15
  • 주부 재취업의 꿈, 도서 자격증으로 해결하자!

    2013.11.14
  • 무비데이에 살펴본 우리나라 독립예술영화

    2013.11.14
중국에 대한 오해와 편견, 중국을 인터뷰하다

이제는 ‘제국’이라 불러도 손색없을 정도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 중국에 대한 관심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우리가 떠올리는 중국은 왠지 아직도 ‘후줄근한 이미지’에 머물러 있습니다. 일당 독재나 숨 막히는 검열, 혹은 싸구려 대량생산과 돈만 아는 왕서방? 그런 정도지요. 아마도 경제적으로는 발전했을지 모르지만 아직까지 정치나 사회면에서는 우리가 한 수 위 아닌가 하는 생각들을 은연중에 갖고 계신 것이겠지요. 많은 사람들은 또 이런 얘기도 합니다. “중국은 언제 민주화 되는 거야? 인제 먹고 살만 해 졌으니 민주화 요구가 터져 나올 것 같은데…” “민주화되고 전면적으로 자유시장경제가 도입되면 옛 소련처럼 붕괴되는 거 아냐?” 그런 궁금증이 있으셨다면 중국 전문가인 조영남 서울대 교수가 쓴 (민음..

2013. 11. 18. 13:12
영자신문을 더 즐겁게 읽는 세 가지 장르적 특성

새로운 분야를 배우려면 그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기본적인 규칙과 관례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사진을 배운다고 하면 사진을 찍는 기본적인 원칙과 상황에 따라 다른 관례를 알아야 하죠. 조리개와 렌즈의 원리, 빛의 중요성, 광각, 표준, 망원렌즈의 차이 같은 것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사진의 기초지식이라고 한다면, 가족사진, 결혼사진, 인물사진, 보도사진 등을 잘 찍는데 필요한 부분은 응용지식과 기술, 훈련이 필요합니다. 단순히 사진의 원리를 배웠다고 해서 처음 찍어보는 보도사진을 잘 찍을 수는 없습니다. 해당 보도사진에도 많은 세부 원칙과 지켜야 할 관례가 있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영어기사에도 이런 원칙들이 있습니다. 글쓰기라는 큰 범주에서 보면 신문기사는 하나의 장르로 볼 수 있습니..

2013. 11. 18. 10:55
헌 책방, 어디까지 가봤니? 동인천 배다리 헌 책방 거리에 가보니

얼마 전, 인천이 ‘세계 책의 수도’로 지정되었습니다. 한국 최초인데요. 책방 거리로 가장 유명한 배다리 책방 거리에 다독다독이 다녀왔습니다. 도심 속에 홀로 시간이 멈춘 것만 같은 배다리에서 헌 책의 낭만적인 향기에 함께 빠져 보실까요? 느릿느릿 배다리씨와 헌 책 잔치 둘러보기. ▲배다리 헌 책방 거리의 다양한 모습들. 배다리 헌 책방 거리의 건물과 풍경에서 예전 70, 80년대의 정취를 물씬 느낄 수 있었는데요. 19세기 말까지 이곳에는 배가 다니는 큰 수로가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곳에 배를 댈 수 있는 다리가 있었다고 해서 배다리라는 이름이 지어졌다고 하네요. 헌 책방 거리를 걷다 보면 골목 초입에서 아벨이라는 곳을 발견할 수 있는데요. 이 거리의 서점들 중에서도 아벨서점이 사람들이 많이 찾..

2013. 11. 15. 14:14
함께해서 즐거운 콜라보레이션 열풍, 신문 속에서 찾아보니

엊그제 패션 피플을 열광시키는 즐거운 이벤트 하나가 벌어졌습니다. 바로 SPA의류 업계를 대표하는 브랜드 중 하나인 H&M이 프랑스 디자이너 브랜드 이자벨 마랑과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한정 수량으로 신상품을 출시한 것이죠. 평소 고가의 디자이너 브랜드 옷을 SPA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보다 쉽게 만나볼 수 있는 기회가 찾아온 것입니다. H&M과 이자벨 마랑의 콜라보레이션 사례처럼 요즘 여러 시장에서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이 시행되고 있는데요. 단순히 마케팅 측면을 떠나, 또 하나의 크리에이티브한 예술품으로까지 발전되는 ‘콜라보레이션’은 많은 소비자들을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오늘은 함께해서 그 시너지 효과가 두 배로 늘어나는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 합니다. 브랜드의 진화, 콜라보레이션 ..

2013. 11. 15. 10:13
주부 재취업의 꿈, 도서 자격증으로 해결하자!

바로 얼마 전이었죠. 서울 종로구 세종로 광화문광장에서 ‘2013 리스타트 잡페어 다시 일터로―좋은 일자리 페스티벌’이 열렸습니다. ▲ '2013 리스타트 잡페어' 현장 [출처 - 동아일보]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행사에는 재취업 정보를 얻기 위한 구직자가 몰렸는데요. 이 가운데는 자녀의 손을 잡고 찾아온 주부들의 모습이 유독 눈에 띄었습니다. 최근에는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실시한 조사에 의하면 설문에 참여한 324명 중 약 94.4%의 주부가 취업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는데요. 즉 현재 직장에 다니지 않는 기혼 여성 10명 중 9명이 재취업을 원하고 있는 것입니다. 결혼 및 출산으로 인한 어려움으로 회사를 그만 둔 주부는 아이가 커가며 생활 살림에 보탬이 되기 위해서 혹은 자기 계발을 위해 재취업을 꿈꾸지..

2013. 11. 14. 14:14
무비데이에 살펴본 우리나라 독립예술영화

그 시절 그땐 그렇게 갈 데가 없었는지 언제나 조조할인은 우리 차지였었죠. 돈 오백 원이 어디냐고 난 고집을 피웠지만 사실은 좀 더 일찍 그대를 보고파~ 하지만 우리 함께한 순간 이젠 주말의 명화 됐지만 가끔씩 나는 그리워져요 풋내 가득한 첫사랑~ 이문세의 조조할인 中 벌써 20년이 다 된 노래지만 지금도 여전히 영화 관람은 데이트의 기본이죠. 여가활동이 많아지긴 했지만 영화관에 가는 것만큼 쉽고 즐거운 것도 없습니다. 심지어 연인들이 함께 영화를 보는 날이라는 11월 14일 무비데이가 있는걸 보면요! 기념일을 타겟으로 하는 데이 마케팅의 하나라고는 하지만 유별난 행사보단 영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영화 산업의 발전을 위 만든 작은 이벤트라고 여긴다면 가볍게 즐길 수 있겠죠? 평소 대형 멀티플렉스에서 상업..

2013. 11. 14. 10:49
1 ··· 354 355 356 357 358 359 360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