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책 미디어 독서 신문읽기 다독다독 NIE 신문 미디어리터러시 뉴스 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기자 스마트폰 공모전 뉴스읽기뉴스일기 이벤트 미디어교육 계간미디어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실존과 허구의 경계, 할로윈데이에 읽기 좋은 책 알아보니

    2013.10.28
  • 독도의 날, 신문기사로 살펴본 아름다운 우리 땅 독도

    2013.10.25
  • 작지만 작지 않은 ‘작은도서관’ 직접 가보니

    2013.10.24
  • 저작권 침해 대란! 신문 속 저작권 침해 사례 살펴보니

    2013.10.24
  • 다양한 작품 속 ‘시적 허용’, 어디까지 허용해야 할까?

    2013.10.23
  • 동시대에 살았던 유명인들을 한 권의 책에서 만난다면?!

    2013.10.22
실존과 허구의 경계, 할로윈데이에 읽기 좋은 책 알아보니

‘좀비’라고 하면 뭐가 떠오르세요? 핏기 없는 창백한 피부에 군데군데 뜯겨져 나간 몸으로, 두 팔을 내뻗은 채 멍한 표정으로 돌진하는 괴기스러운 모습을 생각하실 텐데요. 최근 개봉한 를 비롯해 좀비는 영화와 소설의 단골 소재이기도 하죠. 그런데 이 ‘좀비’가 실제로 존재한다면 어떨까요? 살아있는 시체라는 것이 정말 가능하기는 한 걸까요? (메디치)는 한 과학자가 실제 좀비의 존재 가능성을 추적한 책입니다. 1962년 봄, 아이티의 한 병원 응급실에 실려 온 클레어비우스 나르시스라는 40대 농부는 사흘 만에 숨졌다. 의사 두 명이 그의 죽음을 확인했으며 큰누이는 사망증명서에 지장까지 찍었다. 시신은 냉장창고에 20시간 보관됐다가 안장됐다. 그런데 이 ‘죽은 남자’는 18년 뒤 고향마을의 시장에서 다시 여동..

2013. 10. 28. 10:45
독도의 날, 신문기사로 살펴본 아름다운 우리 땅 독도

[출처 - 서울신문]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남녀노소 모두가 알고 있는 노래가 있습니다. 애국가, 아리랑 그리고 하나를 더 꼽자면 뭘까요? 바로 ‘독도는 우리 땅’이 아닐까 하는데요. 얼핏 들으면 우스꽝스럽기도 한 이 이색가요는 1980년대 초 대학가 중심으로 서서히 퍼지기 시작했는데요. ‘울릉도 동남쪽 뱃길 따라 2백 리 외로운 섬 하나 새들의 고향. 그 누가 아무리 자기네 땅이라고 우겨도 독도는 우리 땅’으로 시작하는 이 노래는 독도의 지리적 위치와 넓이, 평균기온, 강수량, 그리고 특산물까지 열거하고 있습니다. 그런가하면 ‘지증왕 13년 섬나라 우산국 세종실록지리지 50페이지 셋째 줄 하와이는 미국 땅 대마도는 일본 땅 독도는 우리 땅’이라고 역사적 사실까지 삽입되어있죠. 일본과의 영토 분쟁 지역에서 ..

2013. 10. 25. 13:04
작지만 작지 않은 ‘작은도서관’ 직접 가보니

영화 의 주인공 소년 트레버의 ‘세 사람 도와주기 운동’을 아시나요? 누군가 한 명이 세 사람에게 도움을 주면 도움을 받은 사람들도 다시 세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방식으로 온 세상을 연결시키고자 했던 소년의 깜찍한 발상이었는데요. 이렇듯 깜찍하게만 보였던 발상은 묵직한 감동이 되어 관객들의 가슴에 오래도록 남았습니다. 소년의 바람대로 작은 도움들이 연결되어 커다란 인간적 네트워크를 이루는 기적이 일어났기 때문이었지요. 영화의 끝 부분에서 이 기적은 도움을 받은 사람들이 일제히 들고 있던 촛불의 물결로 상징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우리나라에도 촛불대신 책으로 트레버와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요. 이 ‘일’은 누군가 자기 거실에 책을 놓고 지역민들에게 개방하며 시작됐습니다. 이렇게 한 명 한 명, 책..

2013. 10. 24. 13:44
저작권 침해 대란! 신문 속 저작권 침해 사례 살펴보니

며칠 전 이희명 작가가 방송작가협회에서 제명당하는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올 상반기 화제가 되었던 S방송국의 드라마 ‘야왕’의 작가인 이희명 작가가 표절시비에 휘말렸기 때문인데요. 이 작가가 쓴 ‘야왕’이 앞서 만들어졌던 작품의 대본과 유사한 부분이 있어 표절에 대한 의심이 제기 되었고 결국 제명처리가 된 것입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작가가 작품을 맡기 전 극본을 담당한 작가가 앙심을 품고 표절을 주장한 것이며 이미 박인권 화백의 작품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인 만큼 표절 논란은 말이 되지 않는다는 의견 또한 전해지고 있습니다. 21일 한국방송작가협회에 따르면 이희명 작가가 지난 8월 한국방송작가협회로부터 저작권 침해의 이유로 제명됐다. (중략)이에 이희명 작가는 지난 15일 서울남부지방법원에 한국방송작가협..

2013. 10. 24. 10:26
다양한 작품 속 ‘시적 허용’, 어디까지 허용해야 할까?

시적허용 시는 인간의 다양한 감정과 정서를 섬세하게 표출하는 문학이기 때문에 시 창작에 있어서 인간의 감정은 인간이 만들어 놓은 어휘보다 더 섬세한 예술적 효과를 얻기 위하여 용인된 기준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가정으로서 문법, 어법, 리듬, 운(韻), 역사적 사실 등에서 이탈의 구실로 인용된다. 이를 시적허용 또는 시적자유, 시적 파격(詩的破格)이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시적 허용 [詩的 許容, Poetic licence, license poétique] 오직 문학에서만 허용되는 합리적인 도구 중의 하나. 바로 ‘시적 허용’입니다. 학창시절 국어시간에 자주 들었던 시적허용은 특히 시를 창작하는 과정에서 자주 사용되는 특별한 장치입니다. '시적 파격, 시적 자유, 시적 허용.' 모양은 다르지만 뜻은..

2013. 10. 23. 14:53
동시대에 살았던 유명인들을 한 권의 책에서 만난다면?!

서태지, 유재석, 장동건이 동갑내기라는 것, 다들 알고 계셨나요? 한때 동갑내기 연예인이 누구누구라는 사실이 방송과 인터넷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전혀 동시대 인물이 아닐 것 같은 사람들이 같은 시대를 배경으로 자라고 활동해 왔다는 것 자체가 사람들의 놀라움을 산 것 같은데요. 이를테면 설운도가 장국영보다 두 살 더 어리다는 ‘충격적인 사실’이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기도 했죠. 이런 비유가 적절할지 모르겠습니다만, 지난 주 나온 (문학동네)을 읽으면서 문득 든 생각이 바로 그런 것들이었습니다. 이 책에는 프란츠 카프카, 파블로 피카소, 지그문트 프로이트에서부터 찰리 채플린,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 이르기까지 현대 유럽의 지성사와 문화사에 거대한 발자취를 남긴 300여 명의 인물들이 등장합니다. ..

2013. 10. 22. 14:25
1 ··· 359 360 361 362 363 364 365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