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2)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 기자 미디어교육 뉴스리터러시 신문읽기 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뉴스 한국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공모전 뉴스읽기뉴스일기 책 독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다독다독 미디어 NIE 이벤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2)

  • [이벤트 당첨자 발표] 2013 신문논술대회 소문내기 이벤트 당첨자 발표

    2013.04.19
  • '어떻게 나이들 것인가' 고민하는 당신에게

    2013.04.19
  • 53년 전 신문기사로 본 오늘 (4.19)

    2013.04.19
  • 생각의 전환 ‘라면샌드위치’ 가능하려면?

    2013.04.18
  • 다독다독 대학생 서포터즈 합격자 발표

    2013.04.17
  • 뉴스스탠드 시행 2주,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

    2013.04.17
[이벤트 당첨자 발표] 2013 신문논술대회 소문내기 이벤트 당첨자 발표

2013. 4. 19. 18:09
'어떻게 나이들 것인가' 고민하는 당신에게

평균 수명 90세를 바라보는 시대입니다. 2040년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89.38세. 인류가 그토록 고대하던 수명연장의 꿈이 현실이 되었지만 사실 90세 턱 아래까지 치 닿은 긴 시간을 산다는 것이 그리 기쁘고 흥겨운 일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넉넉잡고 65세에 은퇴를 한다 해도 25년의 세월이 남아있는데 이 길고 무성한 세월이 누군가에겐 축복이, 또 다른 누군가에겐 재앙으로 다가올 수도 있기 때문이지요. 수명은 늘었으나 노동생명은 오히려 단축되었으니 미리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힘겨운 노후를 보내게 될 것은 자명한 일입니다. 그런데 노후를 위해 준비해야 할 것은 비단 경제력뿐 만이 아닙니다. 건강, 친구, 취미생활, 점점 노쇠한 자신을 받아들이는 마음의 준비까지, 실로 많은 준비가 필요한 ‘일생일대의 프로..

2013. 4. 19. 14:21
53년 전 신문기사로 본 오늘 (4.19)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아마 모든 분들이 알고 계실 대한민국 헌법 제1장 제1조와 2조입니다. 그렇다면 그 헌법 전문에서도 인정하는 우리나라의 두 뿌리가 되는 역사적 사건을 아시나요? 바로 3.1 운동과 4.19 혁명입니다. 대한국민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이념을 계승한다고 적혀있죠. 오늘은 바로 대한민국의 뿌리가 되는 4.19혁명 53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뜻 깊은 날에 당시부터 지금까지 신문 기사들은 4.19를 어떻게 조명하고 있는지 살펴볼게요. [출처 – 서울신문] 4.19 혁명이 일어난 배경 우리나라의 초대 대통령이었던 이승만은 국민들의 기대와는 달리 안타깝게도 1848..

2013. 4. 19. 09:43
생각의 전환 ‘라면샌드위치’ 가능하려면?

‘라면샌드위치’를 아시나요? 보통 우리가 생각하는 샌드위치는 고소한 식빵 사이에 다양한 채소와 햄, 치즈가 들어간 형태를 떠올리게 되는데요.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라면샌드위치’는 이런 고정관념을 깨고 라면 사이에 치즈와 햄을 끼워 만들었습니다. 이 ‘라면샌드위치’는 오늘 우리가 생각해볼 ‘강제결합법’의 적절한 예시로 볼 수 있는데요. 서로 상관없는 아이디어나 물건들을 결합해 새로운 아이디어나 물건을 재생산해내는 활동이 바로 ‘강제결합법’입니다. 이러한 ‘강제결합법’이 아이의 창의력 키우기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사실! 오늘은 신문을 활용한 ‘강제결합법’ NIE에 대해 살펴볼까 합니다. ▶라면햄 샌드위치, 레시피 봤더니.. ‘식빵 없을 때 대박상품’ (서울신문,2013-04-15) ▲라면샌드위치 [출처-..

2013. 4. 18. 09:56
다독다독 대학생 서포터즈 합격자 발표

2013. 4. 17. 14:48
뉴스스탠드 시행 2주,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

N포털 사이트의 신문보기 방식이 로 바뀐 지도 2주가 지났습니다. 기존에 제목을 통해 독자를 끌어들이던 방식에서 신문 지면을 그대로 가져와 게재하는 방식을 택한 는 도입부터 온라인에서 뜨거운 감자였습니다. 논란의 중심이었던 를 시작한지 2주가 지난 지금, 초기부터 거론되었던 언론사 트래픽 감소가 역시나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되었습니다. 50%이상 감소한 방문자 수에 많은 언론사는 충격을 감추지 못했는데요. 포털사이트 하나로 언론사 전체가 들썩이게 된 이유, 현재 온라인 뉴스 생태계는 어떤 변화를 앓고 있는 것일까요? ▲ 신문 가판대 포털사이트와 언론사의 갈등, 첫 시작부터 많은 언론사들의 우려를 샀던 도입이 2주가 지난 지금, 예상보다 더 큰 후유증이 몰아쳤습니다. 무료로 포털사이트에 기사를 제공하는 언론..

2013. 4. 17. 09:54
1 ··· 403 404 405 406 407 408 409 ··· 53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