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1)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스마트폰 신문읽기 뉴스읽기뉴스일기 공모전 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신문 이벤트 미디어교육 NIE 독서 기자 계간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책 뉴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19)

  • 생각의 전환 ‘라면샌드위치’ 가능하려면?

    2013.04.18
  • 다독다독 대학생 서포터즈 합격자 발표

    2013.04.17
  • 뉴스스탠드 시행 2주,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

    2013.04.17
  • 꿈꾸는 청춘의 손에 쥐여 주고 싶은 한 권의 책

    2013.04.16
  • 인사담당자 어의없게(?) 만드는 불합격 자소서

    2013.04.16
  • 뉴스 쓰나미 시대, 편집력을 길러야 하는 이유

    2013.04.15
생각의 전환 ‘라면샌드위치’ 가능하려면?

‘라면샌드위치’를 아시나요? 보통 우리가 생각하는 샌드위치는 고소한 식빵 사이에 다양한 채소와 햄, 치즈가 들어간 형태를 떠올리게 되는데요.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라면샌드위치’는 이런 고정관념을 깨고 라면 사이에 치즈와 햄을 끼워 만들었습니다. 이 ‘라면샌드위치’는 오늘 우리가 생각해볼 ‘강제결합법’의 적절한 예시로 볼 수 있는데요. 서로 상관없는 아이디어나 물건들을 결합해 새로운 아이디어나 물건을 재생산해내는 활동이 바로 ‘강제결합법’입니다. 이러한 ‘강제결합법’이 아이의 창의력 키우기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사실! 오늘은 신문을 활용한 ‘강제결합법’ NIE에 대해 살펴볼까 합니다. ▶라면햄 샌드위치, 레시피 봤더니.. ‘식빵 없을 때 대박상품’ (서울신문,2013-04-15) ▲라면샌드위치 [출처-..

2013. 4. 18. 09:56
다독다독 대학생 서포터즈 합격자 발표

2013. 4. 17. 14:48
뉴스스탠드 시행 2주,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

N포털 사이트의 신문보기 방식이 로 바뀐 지도 2주가 지났습니다. 기존에 제목을 통해 독자를 끌어들이던 방식에서 신문 지면을 그대로 가져와 게재하는 방식을 택한 는 도입부터 온라인에서 뜨거운 감자였습니다. 논란의 중심이었던 를 시작한지 2주가 지난 지금, 초기부터 거론되었던 언론사 트래픽 감소가 역시나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되었습니다. 50%이상 감소한 방문자 수에 많은 언론사는 충격을 감추지 못했는데요. 포털사이트 하나로 언론사 전체가 들썩이게 된 이유, 현재 온라인 뉴스 생태계는 어떤 변화를 앓고 있는 것일까요? ▲ 신문 가판대 포털사이트와 언론사의 갈등, 첫 시작부터 많은 언론사들의 우려를 샀던 도입이 2주가 지난 지금, 예상보다 더 큰 후유증이 몰아쳤습니다. 무료로 포털사이트에 기사를 제공하는 언론..

2013. 4. 17. 09:54
꿈꾸는 청춘의 손에 쥐여 주고 싶은 한 권의 책

우리는 인생을 살면서 누구나 성공한 삶을 살기를 바란다. 하지만 과연 어떤 삶이 우리가 바라는 성공한 삶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우리 사회에서는 누구나 성공이라는 것을 바라지만, 그 성공이라는 기준이 상당히 모호한 경우가 많다. 특히 지금 대학교에 다니고 있는 대학생이나 중고등학교에 다니는 많은 학생의 성공 기준은 부모님이 바라는 대로 ‘명문대 진학과 고스펙을 획득하여 좋은 기업에 취업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물론, 세간에서는 그런 것을 가리켜 ‘성공’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자신의 인생에서 보았을 때 행복하지 않고, 즐겁지 않다면 그것은 성공이라고 말할 수 없다. 누군가는 ‘삶이 다 그런 것이 아니겠느냐?’고 말할지도 모르겠지만, 그런 삶을 살아봤자 막연한 후회만이 가슴에 쌓이게 되고..

2013. 4. 16. 14:13
인사담당자 어의없게(?) 만드는 불합격 자소서

공채시즌이 계속되며 바쁘고 마음 졸이는 분 많으실 텐데요. 옛말에 바쁠수록 돌아가라는 말이 있죠. 잠시 심호흡을 하고 기본을 돌아보는 건 어떨까요? 기업들이 예전처럼 스펙을 보기보다 사람됨에 관심을 두기 시작하면서 이력서는 물론 자기소개서의 비중이 많이 늘어났습니다. 하지만 좋은 내용을 꽉꽉 채워넣고도 맞춤법 때문에 최악의 자소서로 취급받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이런 기초적인 부분을 간과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고 하는 데요. 과연 자소서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요? [출처 – 서울신문] 인사담당자가 선호하는 자기소개서 키워드는? 한 채용 업체의 조사에 의하면 기업 인사담당자에게 호감이 가는 자소서와 최악으로 꼽는 자소서에는 일정한 패턴이 있다고 합니다. 호감 가는 키워드 – 팀워크, 책임감, 성실..

2013. 4. 16. 09:55
뉴스 쓰나미 시대, 편집력을 길러야 하는 이유

인터넷부터 SNS 그리고 TV방송까지 우리는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이런 정보 플랫폼들 사이에서 우리는 어떤 방법으로 정보를 정리해야할까요? 신문편집자가 말하는 편집력으로 정보 소비자에서 정보 편집자로 거듭나는 방법! 지금 집중해주세요^^ 지난 수요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의 후원으로 ‘뉴스 쓰나미 시대, 편집력을 길러라’특강이 건국대학교 상허연구관 108호에서 열렸습니다. 연사는 동아일보 편집국 편집부 김용길 차장님이 맡아주셨는데요. 뉴스 쓰나미 시대에서 지식 편집력이 중요한 이유 같이 한 번 보시죠. 편집력이 중요한 시대 편집을 간단히 정의해보면 ‘분류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가치를 우선순위대로 나눠 보는 것이죠.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편집 또한 위와 비슷한 맥락의 의미를 떠올릴..

2013. 4. 15. 14:25
1 ··· 408 409 410 411 412 413 414 ··· 53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