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1)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언론진흥재단 뉴스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 다독다독 기자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스마트폰 NIE 이벤트 독서 신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미디어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공모전 책 미디어교육 신문읽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1)

  • 영화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로 본 제주 4.3사건

    2013.04.03
  • 대기업 문화산업 확장, 목소리를 내야 하는 이유

    2013.04.02
  • 스토리텔링이 중요한 시대, 신문 활용법

    2013.04.01
  •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만우절 기사 모아보니

    2013.04.01
  • 인터넷 언어의 대중화, 양면을 살펴보니

    2013.03.29
  • 스포츠 기자가 말하는 2013시즌 프로야구

    2013.03.29
영화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로 본 제주 4.3사건

독립영화 ‘지슬’이 개봉 13일 만에 관객 6만 5,000명을 불러 모으며(4월 2일 기준) 조용한 돌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제주 지역의 이야기를 다룬데다가, 제주도 사투리 덕분에 시종일관 자막을 함께 봐야 하며, 처음부터 끝까지 흑백으로 이루어진 영화이지만, 관객들의 반응은 뜨겁습니다. ‘지슬’은 또한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독립영화제인 ‘선댄스영화제’에서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하여 더욱 화제가 되었는데요. ▶ '지슬'은 제주 영화'의 쾌거, 오멸 감독을 만나다 (미디어스) ▶ 영화 '지슬' 6만 관객 달성 목전 "섬세하고 강렬한 영상" (한국일보) [출처-서울신문] 마침내 변방의 우짖는 새의 노래에 세계가 주목하기 시작했다. 한량과 귀것들이 모여 한바탕 자파리하다가 제라허게 사건 하나 쳤다. 오멸(..

2013. 4. 3. 09:38
대기업 문화산업 확장, 목소리를 내야 하는 이유

최근 모든 산업이 대형화되고 통합되고 있습니다. SSM 등 지역 상권이 대형 마트로 통합되는 것처럼 문화 산업 분야도 대기업에 의해 대형화되고 있죠. 가장 많은 분들이 문화생활로 즐기는 웹툰과 영화만 해도 그렇습니다. 최근 네이버는 웹툰에 대해 생산자와 소비자를 잇는 역할을 넘어 기획부터 유통까지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웹툰 내 간접 광고 수익 배분을 골자로 하는 새 수익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또한 CJ가 운영하는 국내 최대 영화 체인인 CGV는 블록버스터부터 독립영화까지 아우르고 있죠. 과연 이런 대기업의 문화산업 확장은 문화 독점의 폐해가 클까요? 아니면 문화양성의 순기능이 클까요? [출처 – 서울신문] 대기업 문화산업 확장의 순기능. 창작자에게 확실한 수익원 제공 네이버는 하루 1,800만 명이 방문하..

2013. 4. 2. 13:20
스토리텔링이 중요한 시대, 신문 활용법

지난 금요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의 후원으로 ‘신문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창작법’ 특강이 서경대학교 혜인관 209호에서 열렸습니다. 연사는 서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스토리텔링 창작법을 강의하고 있으신 조정래 교수님입니다. ‘신문’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창작법이라, 딱딱하기만 할 것 같은 신문에서 스토리텔링을 찾는다니 좀 어려울 것 같은 느낌이죠? 그러나 사실 신문기사 만큼 이야기를 잘 드러내면서 구조가 잘 잡혀있는 글은 없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왜 스토리텔링을 창작해야 하는지, 스토리텔링은 어떻게 해야 하며 신문은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해 살펴볼까요? 이제는 ‘스토리텔링’이 중요한 시대 현대사회에 들어 스토리텔링은 중요한 요소로 떠올랐습니다. 학교에서도 더 이상 일방적인 수업이 아니라 스토리텔링을..

2013. 4. 1. 13:15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만우절 기사 모아보니

피노키오가 거짓말을 해도 코가 늘어나지 않을 것 같은 날이 있습니다. 바로 4월 1일 만우절인데요. 외국에서는 에이프릴풀스데이(April Fool's day)로도 불리기도 한답니다. 만우절의 재미 중 하나는, 진실만을 보도해야 할 것 같은 언론에서도 만우절 특집 기사를 준비한다는 점입니다. 현실적으로 말도 안 되는 이야기지만, 진실성을 바탕으로 둔 언론에서 보고하는 만우절 특집기사에 많은 독자에게 만우절의 또 다른 묘미를 느끼게 해주는데요. 그렇다면 오늘은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만우절 신문기사들의 이모저모를 살펴볼까요? ▲만우절 이적설에 휩싸였던 호날두[출처-서울신문] 역대 만우절 특집기사 중 가장 많은 관심을 끈 기사는? 1957년 에서는 한 가지 흥미로운 보도를 합니다. 스파게티가 나무에서 열린다는..

2013. 4. 1. 09:15
인터넷 언어의 대중화, 양면을 살펴보니

‘악플 쩔어.’, ‘내 성적 지못미’, ‘치맥 갠춘? ㅇㅋ’. 아마 인터넷을 통해 지금 이 글을 보고 계신 분이라면 이런 인터넷 언어를 좋아하거나 싫어하실 수는 있어도 무슨 뜻인지는 대충 다 아실 겁니다. 최근 거의 모든 생활에 인터넷이 필수가 되면서 실생활에도 인터넷언어와 문화가 확산되고 있는데요. 이 때문에 여러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과연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고 원인은 뭘까요? [출처 – 서울신문] 시험이나 보고서가 장난이야? 인터넷 언어의 부정적 측면 인터넷 언어도 마찬가지지만 이런 언어는 특히 유행에 민감한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퍼지는 경향이 있는데요. 최근 국립국어원에서는 인터넷뿐 아니라 실생활에서 쓰는 언어에서조차 문자 단순화 현상이 벌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합니..

2013. 3. 29. 14:24
스포츠 기자가 말하는 2013시즌 프로야구

우려는 기우에 불과했다. 제3회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서 받아든 최악의 성적표도 뜨겁게 달아오른 프로야구 열기를 막을 수 없었다. 시범경기부터 이례적으로 몰린 만원 관중은 개막을 앞둔 정규시즌 흥행 훈풍을 예고했다. 야구 시즌 개막만을 목 빠지게 기다렸던 팬들에겐 지난 5개월간의 겨울잠은 너무나도 길었던 모양이다. ▲제3회 WBC B조 1라운드 한국 대 호주 경기 [출처-서울신문] 2013시즌 프로야구는 새 볼거리로 넘쳐난다. 무엇보다 관심을 모으는 건 '제9구단' NC 다이노스의 합류다. 신생구단의 가세로 한국 프로야구는 지난해까지 22년간 이어졌던 8개 구단의 경쟁 구도에서 벗어나 사상 처음으로 9구단 체제에 돌입한다. 팀이 하나 더 늘어난 만큼 우승 다툼도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변화의 시기..

2013. 3. 29. 09:45
1 ··· 407 408 409 410 411 412 413 ··· 53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