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20)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1)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교육 신문읽기 스마트폰 기자 미디어리터러시 독서 미디어 책 신문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리터러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NIE 이벤트 뉴스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언론진흥재단 공모전 한국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20)

  • 모바일 메신저 춘추전국시대, 언론은?

    2013.04.26
  • 경제학이 피부에 와 닿는 나이, 서른이라면

    2013.04.26
  • 현직기자가 말하는 글쓰기 원칙 살펴보니

    2013.04.25
  • 현행법 비웃는 ‘토렌트’가 위험한 이유

    2013.04.25
  • 팽팽한 찬반 논란, 대체휴일제 속내를 들춰보니

    2013.04.24
  • 학보사 편집국장이 말하는 대학 신문 문화

    2013.04.24
모바일 메신저 춘추전국시대, 언론은?

그냥 전화기를 쓰고 싶으신 분들도 스마트폰으로 바꿀 수밖에 없는 이유, 아마 카카오톡 같은 메신저 때문일 겁니다. 이제 친구들이나 가족 간의 대화에도, 동창회나 단체 채팅방에도 더 이상 문자는 사용하지 않고 대부분 카카오톡 같은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하실 텐데요. 모바일 메신저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게임 서비스 등 다양한 방면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미 국민 게임인 애니팡, 드래곤 플라이트, 윈드러너 등을 선보여 친숙하실 겁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메신저 시장의 패권 경쟁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모바일 메신저의 변화와 미래를 살펴볼게요. [출처 – 서울신문] 모바일 메신저, 국내는 카카오톡과 해외는 라인 카카오톡 이후 라인, 마이피플, 틱톡 플러스 등 수많은 모바일 메신저들이 생겨난 것에..

2013. 4. 26. 14:02
경제학이 피부에 와 닿는 나이, 서른이라면

서른, 돈의 중요성을 얼마나 느끼시나요? 저는 점점 더 절실하게 느낍니다. 순수하고 진실 된 사람이 돈 때문에 수모를 당하고, 아첨하고 기만하는 사람이 돈 때문에 권력을 가지는 모습이 아프게 다가올수록 더더욱 그렇습니다. 사실 돈에 대한 진지한 사유는 일찍이 고등학교 때부터 해왔던 것 같습니다. 빈부격차가 상상을 초월하는 나라, 중국에서 생활하며 놀라운 광경을 너무나 자주 목격했기 때문이지요. 도로 한 편엔 쓰레기더미를 실은 나귀 마차가 느린 걸음을 하고, 그 곁으로 최고급 벤츠가 질주하는 모습. 맨발로 거리에서 꽃을 파는 아이들 옆에는 가방을 들어주는 유모가 따라다니는 아이가 있는 나라. 돈의 힘은 실로 어마어마했습니다. 맹목적으로 부의 축적만 쫓으라는 이야기가 아님을 잘 아실 것입니다. 그보다는 이토..

2013. 4. 26. 09:44
현직기자가 말하는 글쓰기 원칙 살펴보니

‘봄바람 휘날리며~ 흩날리는 벚꽃잎’과 함께 2012년 봄, 이화여자대학교에 대한민국을 대표할 만한 8명의 기자가 강단에 섰습니다. 주제는 '내가 지키는 글쓰기 원칙!'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에서 열린 이 강연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언론인을 목표로 준비하는 사람들이 꼭 알아야 할 글쓰기 기본 원칙을 소개하였습니다. 그리고 그 소중한 강연을 모아 책으로 발간 하였는데요. 기자들의 글쓰기 노하우를 딱딱하지 않게 잘 풀어낸 은 언론인을 꿈꾸는 사람들이라면 꼭 알아두어야 할 기본적인 글쓰기 원칙이 차곡차곡 담겨있습니다.글쓰기 방식뿐만 아니라 저널리스트로서 어떤 마음가짐을 가져야 할지도 생각해 보게 하는데요. 기자들이 이것만은 꼭 지켜 쓴다는 글쓰기 원칙,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볼까요? [출처..

2013. 4. 25. 14:03
현행법 비웃는 ‘토렌트’가 위험한 이유

장발장의 인생 역경과 팡틴의 애처로움으로 우리나라에서도 큰 흥행을 한 힐링 무비 레미제라블. 첫사랑 신드롬을 일으키며 신인 배우 수지를 국민 첫사랑으로 등극시킨 건축학개론. 모두 작년 한 해 우리나라에서 큰 사랑을 받은 영화들인데요. 안타깝게도 다른 공통점이 하나 있습니다. 영화의 불법 해적판 때문에 위협을 겪었거나 실제로 막대한 피해를 본 영화들이죠. 예전에는 단순히 다운로드 사이트나 웹하드 등만 감시하면 되었던 불법다운로드가 일명 토렌트라는 프로그램으로 무분별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출처 – 레미제라블 홈페이지] 불법 복제물 피해규모 8,000억 원대. 현실적인 단속은 속수무책 한국 여배우 배두나(33)도 출연해 한국 개봉 전 기대감을 키웠다. 이 영화를 수입한 ‘블루미지’ 박민정(43·여) 대표..

2013. 4. 25. 10:05
팽팽한 찬반 논란, 대체휴일제 속내를 들춰보니

1월 1일, 새 달력을 꺼내어 당신이 가장 먼저 하는 일은?! ▲화제가 되고 있는 2031년 휴일 일정 [출처-서울신문] 보통 새 달력을 펼칠 때가 돌아오면 가장 먼저 하는 것! 휴일이 며칠이나 되는지 세어보는 것 아닐까요? 자칫 공휴일이 주말과 겹치는 날이 많은 해라면, ‘저주받은 일 년’이라는 네이밍이 붙을 정도로 아쉬움이 큰데요. 요즘 이런 아쉬움을 달래줄 ‘대체휴일제’ 법안이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늘어나는 ‘휴일’에 모두가 좋아할 것 같지만, 법안 도입문제에 관해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쉬는 날 늘려주는 대체휴일제란? 대체휴일제는 공휴일이 주말과 겹치는 경우 주중 하루를 대신 쉴 수 있도록 하는 법안입니다. 주말과 공휴일이 겹칠 때면 찾아오는 아쉬움을 달래줄 기분 좋은..

2013. 4. 24. 13:56
학보사 편집국장이 말하는 대학 신문 문화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고들 한다. 그렇지만 요즘, 대학생들이 사는 방식은 10년에 한 번이 아니라 1년에 한 번 꼴로 바뀐다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닐 것이다. 그 대학생들이 만들어 가는 학교 신문, 학보사의 문화도 그만큼 급변한다. 더 이상 우리에게 학보사는 전부가 아니다 학보사가 한 때는 학창시절의 전부였다. ‘연세춘추’를 만든다는 것, 그리고 그곳에서 적게는 3학기, 길게는 5학기까지 보낸 경험은 학보사 선배들에게는 거의 ‘전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친구도, 선배도, 후배도 모두 학보사에서 만났으며, 심지어 연애도(!) 학보사에서 해결했다. 주머니가 가벼우면 학보사에서 주는 두둑한 장학금이 있었다. 그리고 하강 곡선을 그리고 있는 학점을 보면서 미래가 어두운 것 같으면,이 역시도 어느 정..

2013. 4. 24. 10:21
1 ··· 406 407 408 409 410 411 412 ··· 53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