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1)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공모전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책 이벤트 언론진흥재단 신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기자 다독다독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신문읽기 뉴스 독서 NIE 스마트폰 뉴스읽기뉴스일기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1)

  • ‘잃어버린 50년’ 되찾은 미얀마 신문 살펴보니

    2013.04.08
  • 뉴스스탠드 보다 ‘4월 7일’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2013.04.07
  • 남자 나이 50, 당신은 안녕하신가요?

    2013.04.05
  • 봄맞이 ‘가족신문’ 만들기 해야 하는 이유

    2013.04.04
  • 제돌이의 귀향으로 살펴본 돌고래 포획문제

    2013.04.04
  • 스마트폰으로 야동 보는 아이들, 괜찮을까?

    2013.04.03
‘잃어버린 50년’ 되찾은 미얀마 신문 살펴보니

몇 달 전 미얀마 아웅산 수치 여사가 방한을 했었습니다. 50년간의 군부독재를 끝나고 민주화를 되찾은 미얀마의 역사는 어쩐지 우리나라의 역사와 많이 닮아 있습니다. 아웅산 수치 여사는 방한 내내 한국의 경제 발전과 민주화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였다고 합니다. 민주화의 바람과 함께 한국을 모델로 국가발전에 한 발 한 발 다가서고 있는 미얀마에서 이번에 또, 기분 좋은 소식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바로 50년 만에 민영신문이 발간되었다는 소식인데요. 잃어버린 50년과 함께 찾아온 미얀마의 민영신문의 소식 함께 들어볼까요? ▲한국을 방문한 아웅산 수치여사 [출처-서울신문] 미얀마의 잃어버린 50년, 다시 한 번 되짚어보면 미얀마의 역사는 우리의 서글픈 역사와 많이 닮아 있습니다. 일본의 통치를 받은 뼈저린 역사..

2013. 4. 8. 09:36
뉴스스탠드 보다 ‘4월 7일’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얼마 전 국내 최대의 포털사이트의 뉴스 캐스트가 뉴스스탠드 형식으로 바뀌면서 여러 가지 의견이 분분합니다. 뉴스페이지를 다시 눌러 기사를 보는 것이 번거롭다는 의견과 낚시성 기사를 지양하기 위한 이번 포털화면 개편이 신선하다는 반응이 둘로 나뉜 상황인데요. 언론사는 물거품처럼 사라진 트래픽 수치 때문에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라고 합니다. 4월 7일 57회 ‘신문의 날’을 맞아 신문의 현재와 미래를 살펴보려 합니다. ▲포털사이트 뉴스 화면이 바뀌기 전과 후 [출처-서울신문] 신문 산업 진흥을 위한 법안 발의 제안, 하지만... 우리나라는 2009년부터 신문 산업 진흥을 위한 법안들이 발의돼왔지만, 어느 순간부터 종편과 보도전문채널 도입 와중에 이러한 논의구조가 사라졌습니다. 2012년 10월 ‘신문산업진흥..

2013. 4. 7. 07:00
남자 나이 50, 당신은 안녕하신가요?

그들도 위로가 필요합니다 얼마 전 출판마케팅과 관련된 자료를 뒤적이다가 흥미로운 문구 앞에서 눈길이 멈췄습니다. 바로 ‘50대 남자는 공항에서 책을 산다’라는 독특한 문구였죠. 이는 이라는 홀거 라이너스의 책이 ‘공항 베스트셀러’라는 점을 이야기하고 있는 구절이었습니다. 50대 남자라는 ‘특수한’ 계층을 타깃독자층으로 선정한 이 에세이는, 놀랍게도 20퍼센트 이상이 공항서점에서 판매되는 이례적인 현상을 몰고 왔습니다. 말인즉슨, 50대 비즈니스맨들은 출장 중에 이 책을 사들고 업무를 위해 떠나는 비행기 안에서 잠시의 위안을 얻는 다는 것이지요. 음, 꽤나 흥미롭군, 하며 고개를 끄덕이다가 불현 듯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네 아버지들도 위로와 위안이 필요하구나. 실천적인 매뉴얼이나 지침도 좋지만 그들..

2013. 4. 5. 10:02
봄맞이 ‘가족신문’ 만들기 해야 하는 이유

M본부에서 인기리에 방영하는 의 후야네 가훈은 무엇일까요? 바로 ‘가화만사성’입니다. 방송 안에서 어설픈 발음으로 “갸화만사성~”이라며 우리 집 가훈을 말하는 후야의 모습이 참 똘똘해 보였는데요. 여러분 가정의 가훈은 무엇인가요? 초등학교 입학 후 아이에게 처음으로 주어지는 숙제 중 하나는 입니다. 이제 막 유치원을 졸업한 아이들에게 는 사실 엄마들의 숙제이기도 한데요. 그렇다면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는 어떨까요? 오늘은 우리 아이가 직접 기자가 되어 만들어보는 NIE를 살펴보려 합니다. 우리 아이가 직접 취재하는 우리 집 사실, 저학년 대상으로 한 는 가족사진 위주의 꾸미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이제 어느 정도 사고능력이 갖춰지고 쓰기와 읽기를 곧 잘하는 고학년 학생들이 만드는 은 그보다 심층적이어야..

2013. 4. 4. 13:52
제돌이의 귀향으로 살펴본 돌고래 포획문제

어린 시절 부모님과 함께 놀러 가서 형형색색의 동물들에게 빠졌던 동물원. 공작새의 아름다운 깃털, 징그러운 뱀, 키가 큰 기린, 늠름한 사자와 호랑이 그리고 재주 많은 돌고래쇼. 아마 거의 모든 분의 어린 시절 추억 중에는 동물원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을 거예요. 추억을 따라 조만간 따뜻한 봄날에 동물원 방문 계획을 가지신 분들도 많으실텐데요. 동물원은 언제 처음 생겼는지도 모를 까마득한 옛날부터 존재했다고 해요. 기원전 1150년경 중국에는 이미 왕후인 달기가 사슴을 구경하기 위해 대리석으로 사슴 집을 만들었다고 하고 문왕은 영유라는 동물원을 지었다고 하죠. 아마 동물을 인간이 길들이면서부터 동물원이 등장했다고 보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근대 동물원이 대중에게 공개됨과 동시에 등장한 문제의식이 있죠...

2013. 4. 4. 09:51
스마트폰으로 야동 보는 아이들, 괜찮을까?

‘좋은 도구가 탁월한 교사를 만드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탁월한 교사는 도구를 잘 쓸 줄 안다. - 태퍼’ 교육에 관한 명언 중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아마 오늘날 교육자들이 가장 관심을 갖고 신경 쓰는 도구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같은 디지털 기기가 아닐까 합니다. 디지털 기기의 발달은 교육에 생각지도 못한 효과를 가져왔는데요. 모든 도구가 그렇듯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교육 현장에서 아이들이 쓰는 디지털기기들이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볼게요. [출처 – 서울신문] 디지털기기의 부정적 활용. 스마트폰으로 야동을 보는 어린이들 PC가 보급되고 인터넷이 생활화 된 이후 아이들이 성적으로 문란하거나 폭력적인 영상을 접하기가 훨씬 쉬워졌습니다.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부터는 단어 ..

2013. 4. 3. 14:02
1 ··· 406 407 408 409 410 411 412 ··· 53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