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5)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읽기 책 NIE 독서 다독다독 스마트폰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뉴스 기자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신문 미디어교육 뉴스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언론진흥재단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5)

  • 우리에게 삶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인문학 박물관'

    2011.12.09
  • 여자가 남자의 독서에 끼치는 긍정적인 영향

    2011.12.08
  • 미래의 언론인을 꿈꾸는 대학생들을 위한 내공 쌓기는?

    2011.12.07
  • 참여와 공유, 2012년 종이신문이 다시 뜨려면?

    2011.12.06
  • 세상을 이끄는 1% 천재들의 독서법

    2011.12.05
  • 1910년대 대중적인 소설이었던 ‘딱지본’을 만나다.

    2011.12.02
우리에게 삶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인문학 박물관'

“인문학, 얼마나 알고 계세요?” “애플의 DNA에는 기술 뿐만 아니라 인문학이 녹아있다!” 이제는 고인이 된 스티브 잡스가 아이패드 2를 공개하는 자리에서 한 말입니다. 이 말은 많은 창작자와 기업인들에게 커다란 자극이 되었습니다. 대체 인문학이 무엇이길래? 우리는 ‘인문학’에 대해 얼마나 많이, 또 제대로 알고 있나요? 앞서 언급한 잡스의 애플에서 출발해 보겠습니다. 스마트폰이나 mp3 등의 제품은 애플의 출시 이전에도 이미 개발돼 있었습니다. 다만 애플은 기존의 것보다 직관적인 제품을 만들어내고, 하나의 기술 회사라기보다 고유의 문화를 이끌어내는 데에 집중했습니다. 또한 싸고 가볍고 성능 좋은 제품을 넘어서 사람들의 삶을 보다 행복하고 윤택하게 만드는 것에 기술 개발의 목적을 두었죠. 그리하여 IT..

2011. 12. 9. 09:05
여자가 남자의 독서에 끼치는 긍정적인 영향

저는 영화 속에 나오는 책 읽는 모습, 헌책방 그리고 도서관을 좋아합니다. 책을 읽기 싫다가도, 이런 장면들을 보면 마구마구 책이 읽고 싶어지거든요. 게다가 영화 속 주인공들이 책 읽는 이유들을 하나 둘 살펴보면 은근히 흥미롭습니다. 그 중에서도 남자주인공이 좋아하는 여자 때문에 책을 읽는 모습을 보면 묘한 동질감을 느낍니다. 저도 살면서 그런 적이 있기 때문이지요. 여러분도 혹시 저처럼 좋아하는 여자 때문에 책을 읽었던 경험이 있으신지요? 다르게 질문 드리면, 좋아하는 여자가 여러분의 독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한번은 박해일, 故장진영 주연의 영화 를 보며 그런 제 모습을 발견했습니다. 남자, 좋아하는 여자 때문에 어려운 역사책도 읽는다 영화의 초반부에서, 대학교 신입생인 인하(..

2011. 12. 8. 09:06
미래의 언론인을 꿈꾸는 대학생들을 위한 내공 쌓기는?

최근 각 기업과 단체•기관에서는 다양한 대외활동과 공모전을 개최하고 있습니다. 이런 활동들이 연간 6000여 개에 달한다고 하는데요. 예전에는 이런 활동들이 단발 이벤트성으로 개최되었지만, 요즘은 역량 있는 인재를 미리 발굴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취업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들 입장에서도 이런 활동들은 관심있는 분야를 미리 체험해 보고, 숨어있는 재능을 찾아볼 수도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죠. 하지만, 워낙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있기 때문에 자신이 지향하는 분야와 맞는 프로그램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그럼 어떤 프로그램들이 있는지 한번 알아볼까요? 시민 리포터 홈페이지(바로가기) 내가 전하는 서울시 소식, ‘하이서울뉴스’ 시민 리포터 서울시에서는 시민이 함께 ..

2011. 12. 7. 10:12
참여와 공유, 2012년 종이신문이 다시 뜨려면?

종이 ‘신문’, 2012년 다시 뜨려면 ‘참여와 신뢰’가 본질이다 이상돈 중앙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지난해 말 한국기자협회보에 ‘올드 미디어의 신뢰추락’이란 제목의 기고문을 통해 미디어의 신뢰에 대해 통렬하게 비판했습니다. ‘당신들은 알 권리가 있고, 우리는 진실을 말할 의무가 있다(You have right to know, we have duty to tell the truth)’라는 말로 끝맺는 한 해외 방송국의 시사 프로그램은 미디어가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하는지 명확하게 알려주고 있습니다. 뉴미디어와 올드미디어의 빅뱅은 굉장히 단순한 이유에서 시작한다고 생각합니다. 콘텐츠를 담을 그릇, 콘텐츠를 소비하는 방식의 계속 쏟아지고 있는데, 이를 사람들은 뉴미디어라고 부르지요. 신문이나 방송 등 전통적인..

2011. 12. 6. 11:17
세상을 이끄는 1% 천재들의 독서법

장면 1 호기심 가득한 눈으로 수학문제를 거침없이 풀어 나가던 6살 천재소년 송유근. 현재 과학기술연합대학원 대학교에서 천문우주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그를 천문연구로 이끈 것은 한 권의 책이었습니다. 이란 책을 읽던 송 군은 도저히 풀 수 없는 문제를 만나 난관에 부딪혔는데요. 그 답을 얻기 위해 무작정 찾아간 곳은 대전에 있는 한국천문연구원. 송유근은 이곳에서 박석재 연구원과 만나게 되고, 책을 완전히 이해할 때까지 10번 이상 방문해 묻고 또 물었다고 합니다. 장면 2 아인슈타인 남매로 유명한 일본계 미국인 사유리 야노(15)와 그의 오빠 쇼 야노. 사유리는 10살의 어린 나이에 미국 트루먼대에 전액 장학생으로 입학했고, 지금은 3대 음대 중 하나인 피바니 음악원에 다니고 있는 영재입니다. 그의 오빠..

2011. 12. 5. 09:01
1910년대 대중적인 소설이었던 ‘딱지본’을 만나다.

요즘은 책이나 잡지가 봇물처럼 넘치는 시대죠. 굳이 책이 아니더라도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등을 통해 쏟아지는 많은 정보 때문에 때로는 머리가 지끈거릴 때도 있는데요. 이럴 때는 도서관에 가서 손에 잡히는 책을 술술 넘기면서 마음을 비우고 싶어집니다. 그 옛날 우리 선조들은 어떤 책을 읽으며 자랐을까요? 국립중앙도서관 개관 66주년 특별기획전시인 ‘열두 서고, 열리다’를 통해 그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대동여지도부터 희귀 잡지까지…300여점 공개 이번 전시는 반세기 넘도록 쌓아온 우리 지식정보와 미디어의 변천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대동여지도 같은 보물은 물론 근대 잡지 창간호, 근대 교과서 등 대한민국 정부 수립 초기 당시의 간행물 등 300여점을 볼 수 있는데요. 도서관 측은 ..

2011. 12. 2. 09:33
1 ··· 478 479 480 481 482 483 484 ··· 533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