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한국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 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NIE 독서 이벤트 다독다독 공모전 뉴스리터러시 스마트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책 신문읽기 미디어 기자 미디어교육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독서로 바뀐 노숙자의 삶, 인생을 바꾼 교육

    2011.11.03
  • 제2의 한비야 꿈꾸는 홍지은양의 신문사랑

    2011.11.03
  • 아이패드로 인해 하이브리드 편집이 뜬다?

    2011.11.02
  • 겨울철 건강관리를 위해 꼭 읽어두어야 할 책은?

    2011.11.02
  • 낚시성 기사 제목, 과연 올바른 건가?

    2011.11.01
  • 입학사정관제 면접을 잘 보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은?

    2011.10.31
독서로 바뀐 노숙자의 삶, 인생을 바꾼 교육

책 읽기 같은 사소한 일이 어떤 이의 인생을 바꿀 수 있을까요? (2006, 이매진, 얼 쇼리스 지음)이란 책이 있습니다. 저자 얼 쇼리스는 미국 태생의 저명한 언론인이자 소설가입니다. 그는 미국 내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한 정규대학 수준의 인문학 교육과정 "클레멘트 코스(Clemente Course)"의 창립자이기도 하죠. 간단히 말해 이 교육과정의 목표는 노숙자에게 인문학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얼 쇼리스는 시카고 대학을 열세살의 나이에 입학한 수재였습니다. 소설가로부터 사회비평가, 언론인 등 다양한 이력을 가지고 있던 그가 이 독특한 과정을 시작하게 된 것은 우연히 미국의 여성 교도소에서 한 수감자와의 만남 이후입니다. 그 여성수감자는 감옥이란 열악한 환경에서도 고등학교 과정을 마치고 철학 전공으로 대..

2011. 11. 3. 13:26
제2의 한비야 꿈꾸는 홍지은양의 신문사랑

신문활용교육(NIE)을 쉽고 재미있게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그 해답을 찾아가기 위해 지난 10월 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는 ‘2011 대한민국 NIE대회’가 열렸었는데요. 각 분야별 수상자들의 신문사랑과 NIE에 대한 아이디어가 돋보였던 뜻깊은 대회였습니다. 이번 대회에서는 신문 속 내용을 통해 앞으로 인류에게 다가올 자연재해의 위험성을 알리고, 청소년들에게 나눔 정신을 독려했던 ‘재난과 나눔 패스포트’라는 부문이 있었는데요. 이 수상 작품들 중 ‘자신의 실제 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훌륭한 작품을 만들었다’며 심사위원들의 호평을 받았던 작품이 있었습니다. 바로 중고등부 대상 수상자인 ‘인천국제고등학교’ 2학년 홍지은 학생의 작품이었는데요. “신문을 통해 가졌던 나눔과 봉사에 대한 관심으로 이렇게 ..

2011. 11. 3. 10:05
아이패드로 인해 하이브리드 편집이 뜬다?

종이 편집, 하이브리드 형태로 제 2 부흥기 맞을까 신문 산업의 규모가 끊임없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은 이미 언급하기에도 너무 진부한 사실입니다. 매체가 다변화되고 있고, 신뢰할 수 있는 미디어에 대한 영역이 재정의되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게다가 올해 말 등장을 앞두고 있는 종합편성채널은 종이신문의 위기를 부채질하고 있습니다. 박현수 단국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지난 20일 ‘2011 광고주대회 특별세미나’에서 “광고실무자들은 종편 채널당 광고비를 첫해 1500억원 가까이 예측했지만 실제로 이런 광고매출 달성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채널당 평균 광고매출은 첫해 732억원, 다음해 875억원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그런데 새 미디어가 등장하여 전체 광고 시장의 파이가 커지기보다는 종편 광고비의..

2011. 11. 2. 13:54
겨울철 건강관리를 위해 꼭 읽어두어야 할 책은?

2011년을 맞이한 지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11월이 되었습니다. 어느덧 날씨는 쌀쌀해졌고 계절은 겨울의 문턱에 이르렀네요. 이맘 때는 특히 일교차가 커서 감기나 고혈압 같은 환절기 질환이 많이 발생하는데요. 급변하는 날씨 때문에 건강관리에 더욱 신경 써야 하는 때이기도 합니다. 지난 2009년부터 보건복지부에서는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기 위해 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올해로 3년 째를 맞이하는 이 도서목록들은 건강관리에 소홀하기 쉬운 현대인들에게 지침을 제공하기도 하는데요. 올해에도 어김없이 목록이 발표되었답니다. 는 2010년 7월 1일부터 2011년 6월 30일까지 국내에서 초판 발행된 건강이나 보건관련 창작 및 번역 도서를 대상으로 심사했습니다. 심사 결과, 일반인 부문에서는 를 ..

2011. 11. 2. 09:40
낚시성 기사 제목, 과연 올바른 건가?

온라인으로 뉴스를 소비하는 이들이 급증하고 있다. 2010년 7월 기준으로 국내 온라인 뉴스 이용 비율은 83.1%로 신문 이용 비율(58.1%)을 앞섰으며, 특히 20대, 30대의 온라인 뉴스 이용 비율은 90%가 넘고 있다. 미국에서도 2010년 12월 기준으로 온라인 뉴스 이용 비율이 46%로 신문구독률(40%)을 앞섰다. 이처럼 온라인 뉴스의 인기는 국내외에서 동시에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그러나 국내 온라인 뉴스 소비 환경은 외국과 다르다. 각국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차이를 감안해도 국내 온라인 뉴스는 객관성과 엄밀성을 추구하는 저널리즘인가라는 의문이 제기된다. 단적인 예가 기사 접속 건수를 늘리기 위한 일명 ‘낚시성’ 기사 제목들이다. 자극적이고 선정적이며 기사 내용과 관련 없..

2011. 11. 1. 09:43
입학사정관제 면접을 잘 보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은?

세계적인 팝페라테너 임형주 씨는 매일 15종의 신문을 읽는다고 하죠. 얼마 전 한국신문협회가 선정한 ‘올해의 신문 읽기 스타’에 선정된 그는 “신문을 통해 어제와 오늘의 역사를 알아야 내일 역사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며 “글로벌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신문 읽기가 필수”라고 말했습니다. 신문 열독한 대학생, 비판적 사고력 더 높아 최근엔 신문을 읽는 대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비판적 사고 정도가 높다는 설문조사 결과도 있었는데요.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대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신문을 접한 경험이 대학생들의 신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죠. 조사는 응답자를 신문 열독자와 비열독자로 나눈 뒤 13개 항목별 설문에 따라 이들의 비판적 사고 정도를 수치로 표시했는데요. 그 결과 열독자의 비..

2011. 10. 31. 13:03
1 ··· 480 481 482 483 484 485 486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