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독서 신문 신문읽기 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스마트폰 뉴스 뉴스리터러시 다독다독 미디어 미디어교육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책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NIE 기자 이벤트 한국언론진흥재단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책 읽는 재미를 떨어뜨리는 결정적인 이것은?

    2011.10.18
  • 유홍준 교수가 택한 ‘전문지식의 대중화’ 방법은?

    2011.10.17
  • 조선시대 ‘유성룡’과 희망멘토 ‘안철수’ 교수의 공통점

    2011.10.17
  • 내가 자원봉사를 결심하게 된 신문기사 제목

    2011.10.17
  • ‘인생사 새옹지마’를 보여준 <해운대> 윤제균 감독

    2011.10.14
  • 시각장애인용 점자도서 어떻게 만들어질까?

    2011.10.14
책 읽는 재미를 떨어뜨리는 결정적인 이것은?

아이가 독후감을 씁니다. 머리를 쥐어 싸고 얼굴은 잔뜩 찌푸려져 있습니다. 독후감 노트엔 달랑 제목만이 쓰여져 있는 상태였죠. 한참을 연필만 만지작거리던 아이는 결국 잔뜩 볼 맨 말투로 얘기를 합니다. “꼭 독후감을 써야해?” 아이의 말에 엄마도 아빠도 쉽게 대답하지 못했습니다. 사실, 엄마도 아빠도 독후감 숙제에 대해선 그리 탐탁지 않은 생각을 품고 있었으니까요. 언제부터인가 초등교육에 빠지지 않는 숙제가 독후감을 써오는 것입니다. 책을 읽고 줄거리를 요약하고 느낀 점을 적어가야 하는 숙제. 뭐~ 교육당국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독후감을 쓴다는 것은 아이들에게 많은 교육적 효과가 있겠지요. 설사 없다 하더라도 대한민국 초등학생, 심지어 중고등학생들에게도 주어지는 독후감 숙제에 교육적 효과가 없다면 무지하게..

2011. 10. 18. 09:19
유홍준 교수가 택한 ‘전문지식의 대중화’ 방법은?

▶ ‘리더스 콘서트 감동전하기’ 이벤트 - 광주 지난 9월 29일. 유홍준 교수님께서 리더스 콘서트를 위해 전남대학교 용봉홀에 오셨다. ‘왜 읽어야 하는가?’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리더스 콘서트에서 맛깔 나는 교수님의 입담에 취해 시간 가는 줄 몰랐다. 개인적으로 '왜 읽어야 하는지'에 대한 답변보다는 '어떻게 써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이 더 많았다는 생각이 든다. 교수님께서는 자신이 목표로 하고 있는 분야를 나중에 글로 쓰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라고 하셨다. 문예창작학과에서 '글'을 쓰기 위해 '글 쓰는 법'을 공부하고 있는 나에게 창작이 얼마나 어렵고 막연한 것인지 깊이 와 닿는다. 내용이 아무리 좋아도 그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정보가 부족하면 신빙성과 개연성이 떨어지듯이, 모든 ‘ 쓰기’ 과정은 ..

2011. 10. 17. 15:15
조선시대 ‘유성룡’과 희망멘토 ‘안철수’ 교수의 공통점

얼마 전 미국의 일간지 ‘월스트리스저널(WSJ)’에 한국의 사교육 열풍이 1면 기사로 실렸는데요. 신문은 자녀 교육을 중시하는 한국의 문화를 소개하며 “학부모들의 자녀 교육열이 매우 강해 이를 누그러뜨리려는 정부 당국과 숨바꼭질을 하고 있다”고 비유했죠. 자녀 교육 열풍은 비단 오늘날에만 화두가 된 것이 아닌데요. 조선시대에도 명문가들의 혹독한 자녀교육은 세간의 화제가 되었습니다. 평범한 자녀를 최고의 인재로 키워낸 비밀은 바로 독서 교육에 있었는데요. 독서 칼럼니스트인 이상주 씨의 책 을 보면 당대의 공부 환경과 독서 요령, 그리고 글쓰기 방법에 대한 폭넓은 사례가 담겨 있습니다. 율곡 이이의 공부법, ‘먼저 뜻을 세운 뒤 행하라’ 이이는 조선에서 유일하게 과거에 모두 장원해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

2011. 10. 17. 13:11
내가 자원봉사를 결심하게 된 신문기사 제목

“고독사(孤獨死)” 그 뜻은 알고 있으면서도 내게는 굉장히 생소한 단어였다. 고독사 문제는 신문이나 방송 매체에서 가끔씩 잊을 만하면 등장하는 이슈이기는 하다. 하지만 내 주변에서 이와 같은 사례를 접하기 힘들어 나와의 연관성을 찾기 힘들다고 여겼다는 사실을 고백하고 싶다. 어떤 기사 한 꼭지를 발견하기 전까지. 작년 가을쯤이었다. 여느 때처럼 아침 식사를 하면서 신문을 넘기는데 노인 고독사 문제에 대한 특집 기사를 우연히 마주하게 되었다. 일본과 국내 고독사 사례를 사고 수습 인력의 시각에서 생생하게 서술한 기사였다. ‘독거노인 지원책이 부족하다.’, ‘지역사회의 지속적 관심이 필요하다.’와 같은 무의미한 외침들 속에서 한 줄기 빛을 본 듯했다. 고독사 현장에서 노인의 주검이 백골 상태가 되기까지 살아..

2011. 10. 17. 09:02
‘인생사 새옹지마’를 보여준 <해운대> 윤제균 감독

▶ ‘리더스 콘서트 감동 전하기’ 이벤트 - 춘천 윤제균 감독이 말했다. “모든 크리에이티브의 출발은 읽기다.” 그리고 말했다. “젊은이들이 글을 읽지 않는다.” 그는 젊은이들이 ‘왜’ 꼭 읽어야 하는지 실질적인 이유를 알려주었다. 바로 글을 쓰는 데 필요한 ‘소재’를 찾기 위해서다. 그는 고려대 경제학과를 3수 끝에 들어갔다. 아버지가 일찍 돌아가시면서 윤제균 감독은 홀어머니를 둔 장남에 장손에 외아들이었다고 한다. 학비가 없어 직접 벌었고, 결혼할 자금이 없어 아내 몰래 1,500만원을 대출받아 혼수를 장만했다고 한다. 그리고 졸업 후 취업했지만 구제금융 위기로 결혼한 지 4개월 만에 무급휴직 1년을 받아 백수가 되어 집에 홀로 앉아 있었다고 한다. 그도 절대 순탄치 않은 삶을 살아 온 듯싶다. 하지..

2011. 10. 14. 14:13
시각장애인용 점자도서 어떻게 만들어질까?

주의력이 깊으신 분들이라면 캔음료의 뚜껑 부위의 특이한 점을 발견해본 경험이 있을 것 같은데요. 작은 점들이 모여서 무언가 글자처럼 생긴 이것이 바로 ‘점자’라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콜라나 사이다와 같은 음료수에는 점자로 ‘음료’라고 써있다고 합니다. 맥주와 같은 주류와 구분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고 나니 사소하지만 따뜻한 배려가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우리 주변에는 알게 모르게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숨은 배려가 많은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런 점자는 그들도 우리와 똑같이 세상과 소통하고, 불편함 없이 살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죠. 세상을 이어주는 훌륭한 매체 중 하나가 바로 책입니다. 그래서 그들도 우리와 동등한 교육의 기회를 누리기 위해 점자도서가 만들어지고 있구요. 주변에서 쉽게 ..

2011. 10. 14. 13:05
1 ··· 485 486 487 488 489 490 491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