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NIE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책 스마트폰 뉴스리터러시 독서 공모전 미디어리터러시 기자 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 이벤트 미디어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글로벌 경쟁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

    2011.10.26
  • 책이 우리에게 주는 7가지 좋은 점

    2011.10.25
  • E.T부터 아바타까지 국내 유일 SF&판타지 도서관 가보니

    2011.10.25
  • 온라인 상으로 뉴스를 접했을 때, 가장 큰 문제점

    2011.10.24
  • 동두천 산자락에 사는, 한 학생의 소통 창구는?

    2011.10.24
  • 여러분들의 독서자세, 제 점수는요?

    2011.10.24
글로벌 경쟁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

왜 독서경영인가? 사람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많은 자양분 중에 독서만큼 소중한 자양분은 없을 것이다. 자신이 하고 있는 사업이나 직장 생활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성을 극대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독서는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가 된다. 전문성보다 더 소중한 것이 하나 있다면 그것은 훌륭한 인격을 갖추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세상을 바르게 보고 균형감각을 갖고 사람을 대하며, 일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사람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세상의 이치를 깨우치고 남을 더 이해하는 사람이 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세상의 이치를 깨우치기 위해서는 선현들의 지혜로운 삶과 철학을 본받고 다양한 정보를 접하는 노력을 해야만 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이 바로 ..

2011. 10. 26. 09:09
책이 우리에게 주는 7가지 좋은 점

제가 가지고 다니는 ‘몰스킨 노트’ 맨 첫 페이지에는 이 노트를 주웠을 경우 찾아준 사람에 대한 사례금을 적는 칸이 있습니다. 처음 노트를 쓸 때까지만 해도 이까짓 노트에 왜 돈을? 이라며 서슴지 않고 $1을 적었었죠. 그런데 지금은 그 옆에 0자 2개가 더 붙어 $100이 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지금 이 노트는 단순한 노트가 아닌 내 생각의 흔적, 내 감정의 조각들이 담겨 있는 소중한 보물이 되었기 때문이죠. 가끔 노트를 뒤적이다 보면 예전에 적어두었던 단상들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나기도 하는데, 오늘은 예전에 적어둔 "책을 좋아하는 몇 가지 이유"를 발견했습니다. "너 책 좋아하잖아"라는 누군가의 말에 '정말 그럴까?'라며 적기 시작했던 것 같습니다. 아마도 10가지를 채우려고 적기 시작했던 것 같은..

2011. 10. 25. 13:19
E.T부터 아바타까지 국내 유일 SF&판타지 도서관 가보니

어릴 적 미지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 일으켰던 영화 , 상상 속 세계가 눈앞에 펼쳐졌었던 , 그리고 최근의 와 우리나라의 까지. 이렇게 SF 영화는 예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장르 중 하나입니다. 미래에 있을 법한 일들, 그리고 우리가 모르는 어딘가에 존재하는 또 다른 세계의 이야기에 대한 호기심은 남녀노소를 불문한 흥미거리이기에 이런 영화들이 인기를 끄는 것 같은데요. 이렇게 잘 알려진 영화들도 그 시작은 책에서 출발했다는 사실, 잘 알고 계시죠? 현대의 판타지 모태가 된 J.R.R 톨킨(John Ronald Reuel Tolkien)의 1955년 소설 ‘반지의 제왕’이 영화로 만들어지면서 전세계에 다시 판타지 열풍을 불러일으켰듯 대부분의 공상과학 영화들은 책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2011. 10. 25. 09:09
온라인 상으로 뉴스를 접했을 때, 가장 큰 문제점

▶ ‘리더스 콘서트 감동전하기’ 이벤트 - 광주 나는 서점에 자주 간다. 다양한 장르를 볼 수 있으니까? 최근 베스트셀러가 궁금해서? 시간을 좀 때워 볼까 해서? 물론 다 맞다. 하지만 마력에 홀린 것처럼 내 발걸음이 서점 안으로 향하는 가장 큰 이유는 따로 있다. 그것은 바로 서점 안에는 곳곳에 ‘든든함‘이 묻어나기 때문이다. 질문에 대한 해답을 해줄 것 같은 든든함. ’여긴 어디? 나는 누구? 내 인생은 어디로 흘러가는 것일까?‘ 갈피를 잡을 수 없어 방황하는 내 마음은 서점 안에서 진정되고 즐거움을 누린다. 때론 따스한 작가 할아버지의 토닥거림을 받기도 하고, 애써 모른 척 했던 나의 감정을 발견하기도 하고, 나의 비전을 찾기도 하고...... 서점 안에 있다 보면 내 자신도 쉽게 정의하지 못했던 ..

2011. 10. 24. 15:00
동두천 산자락에 사는, 한 학생의 소통 창구는?

“존 굴드는 겨우 10분 사이에 그 어떤 강의보다 많은 것을 가르쳐주었다.” 저명한 미국 작가인 스티븐 킹은 고등학생 시절 신문사에서 일했던 경험을 이렇게 털어 놓았다. 물론 존 굴드의 정체는 기자다. 자신의 첫 기사가 굴드에 의해 무참히 그어 내려지는 것을 보며 경이로움을 느꼈다는 그는 ‘어째서 영어 교사들은 이런 것을 가르쳐주지 않았을까?’하는 의구심마저 가졌다고 한다. 스티븐 킹이 신문을 통해 경이로운 글쓰기를 경험했다면, 나는 매일 아침 세상과의 경이로운 만남을 경험했다. 아무리 글로벌 교육을 표방해도 우리 학교는 동두천 산자락에 위치한 고립된 곳이다. 바깥은 빠르게 돌아가는데 전교생이 기숙사 생활을 하는 우리 학교만은 아무런 변화도 없이 단조로운 생활이 반복됐다. 신문은 그 지루한 흐름에 숨을 ..

2011. 10. 24. 13:08
여러분들의 독서자세, 제 점수는요?

지하철이나 도서관, 심지어는 방 안에서도 책을 읽을 때면 목이 ‘ㄱ’자로 꺾이죠. 책상에 독서대를 떡 하니 올려놓고 허리를 꼿꼿이 세우고 책 읽는 사람,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런 잘못된 독서 자세가 자칫 목과 허리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데요. 자생한방병원이 성인 200명을 상대로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3%가 “독서 후 통증을 느낀다”고 대답했습니다. 특히 엎드려서 책 읽는 사람의 경우 89%가 통증을 느낀다고 답했고, 눕거나 기대서 읽는 경우에도 대부이 통증이 있다고 밝혔죠. 이는 장시간 고정돼있거나 잘못된 자세로 책을 읽기 때문에 생기는 것입니다. 엎드려서 책 읽으면 ‘척추’는 괴롭다 독서할 때 우리 몸에서 가장 괴로워하는 부위는 어디일까요? 바로 척추입니다. 엎드려서 배를 깔고 책을..

2011. 10. 24. 10:55
1 ··· 482 483 484 485 486 487 488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