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5)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신문읽기 독서 미디어리터러시 뉴스 언론진흥재단 뉴스리터러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NIE 기자 뉴스읽기뉴스일기 스마트폰 한국언론진흥재단 책 미디어 미디어교육 다독다독 이벤트 신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5)

  • 낚시성 기사 제목, 과연 올바른 건가?

    2011.11.01
  • 입학사정관제 면접을 잘 보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은?

    2011.10.31
  • 증권사에 다니는 아들에게 쓴 엄마의 편지

    2011.10.31
  • 소통의 시대, 교사들이 꼭 바꿔야 할 교육방식은?

    2011.10.28
  • 달콤한 목소리로 듣는 책 이야기, 책 읽는 라디오를 아시나요?

    2011.10.28
  • 책에 있어 ‘좋은 디자인’이란 어떤 것일까?

    2011.10.27
낚시성 기사 제목, 과연 올바른 건가?

온라인으로 뉴스를 소비하는 이들이 급증하고 있다. 2010년 7월 기준으로 국내 온라인 뉴스 이용 비율은 83.1%로 신문 이용 비율(58.1%)을 앞섰으며, 특히 20대, 30대의 온라인 뉴스 이용 비율은 90%가 넘고 있다. 미국에서도 2010년 12월 기준으로 온라인 뉴스 이용 비율이 46%로 신문구독률(40%)을 앞섰다. 이처럼 온라인 뉴스의 인기는 국내외에서 동시에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그러나 국내 온라인 뉴스 소비 환경은 외국과 다르다. 각국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차이를 감안해도 국내 온라인 뉴스는 객관성과 엄밀성을 추구하는 저널리즘인가라는 의문이 제기된다. 단적인 예가 기사 접속 건수를 늘리기 위한 일명 ‘낚시성’ 기사 제목들이다. 자극적이고 선정적이며 기사 내용과 관련 없..

2011. 11. 1. 09:43
입학사정관제 면접을 잘 보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은?

세계적인 팝페라테너 임형주 씨는 매일 15종의 신문을 읽는다고 하죠. 얼마 전 한국신문협회가 선정한 ‘올해의 신문 읽기 스타’에 선정된 그는 “신문을 통해 어제와 오늘의 역사를 알아야 내일 역사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며 “글로벌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신문 읽기가 필수”라고 말했습니다. 신문 열독한 대학생, 비판적 사고력 더 높아 최근엔 신문을 읽는 대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비판적 사고 정도가 높다는 설문조사 결과도 있었는데요.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대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신문을 접한 경험이 대학생들의 신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죠. 조사는 응답자를 신문 열독자와 비열독자로 나눈 뒤 13개 항목별 설문에 따라 이들의 비판적 사고 정도를 수치로 표시했는데요. 그 결과 열독자의 비..

2011. 10. 31. 13:03
증권사에 다니는 아들에게 쓴 엄마의 편지

사랑하는 아들아, 많이 춥제? 오늘 신문 첫 장에 “30년 만의 강추위”라데. 혼자서 일찍부터 밥도 못 묵고 출근할 니 생각하니 참 보고 싶구나. 이 애미가 비록 배운 것이 없고, 가진 것이 없어도 너 하나는 남부럽지 않게 키우려고 늘 노력하고, 지금도 니랑 대화도 나눌까해서 이렇게 나름 열심히 하고 있다. 니 분야가 돈이 오가는 곳이라매? 그 뭐고……. 참! 여의도 증권가. 테레비에서 나올 때마다 “내 아들도 저렇게 양복 입고 출퇴근 하는구나.” 생각하니 한편으로는 뿌듯하드라. 니 아부지랑 밥 묵으면서 “코스피 반등, 경제 회복되나”라는 기사 읽었다. 모르는 게 많이 있지만 요즘 신문이라는 게 참 많이 좋아졌더라고. 어려운 말 밑에 설명도 친절하게 해놨드라. 애미랑 애비는 컴퓨타 없이도 이래 니가 어떻..

2011. 10. 31. 08:53
소통의 시대, 교사들이 꼭 바꿔야 할 교육방식은?

교육적 패러다임 변화와 신문활용 교육 교육을 포함한 현대사회는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데, ‘열린교육’ 개념은 우리교육이 미래사회가 원하는 인재를 양성해야 하는 목표를 가장 잘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열린교육’은 폐쇄적이고 교사주도적인 교육적 패러다임과 결별을 선언하고 미래에 적절한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혁명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주목할 만한 점은 ‘열린교육'이 추구하는 교육적 목적을 가장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이 신문활용 교육이라는 점이다. ‘열린교육’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학생들에게 자율권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런 특징은 요즘 ‘자기주도 학습’으로 대변되는데 획일화된 수동적 틀에서 벗어나 창의성을 가지는 미래인재를 추구한다. 더불어 교사는 더 이상 학생들에게 일방적으로 지식을 주입하거나..

2011. 10. 28. 13:03
달콤한 목소리로 듣는 책 이야기, 책 읽는 라디오를 아시나요?

라디오는 다른 어느 매체보다도 사람냄새가 나는 매체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진행자와 함께 공감하면서 즐기는 라디오는 그래서 영상에 익숙한 요즘 세대들도 여전히 즐겨 찾습니다. 이런 다양한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중 요즘 인기를 끌고 있는 책과 관련된 방송이 있다는 소식을 들었는데요. 라는 이 방송은 전문 라디오 진행자와 작가, PD들이 아닌 순수한 열정으로 뭉친 20대 청춘들이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마음껏 놀고, 즐길 수 있는 공간’이라는 모토처럼 정말 유쾌한 그들이 만들어가는 '책 읽는 라디오'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우선 이렇게 라는 방송을 만들게 된 계기가 뭐죠? 최동민(PD): DJ인 지훈씨와 함께 2010년 초 대학교 때 책을 사랑하고 글쓰기를 좋아하는 사람들..

2011. 10. 28. 09:42
책에 있어 ‘좋은 디자인’이란 어떤 것일까?

얼굴은 한 사람의 모든 정보를 요약하고 있는 소중한 신체기관입니다. 감정, 성격, 현재의 기분은 물론 건강상태에 이르기까지, 얼굴만 보면 그 사람이 지금 어떤 상황인지 한눈에 알 수 있죠.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얼굴을 보고 첫인상을 파악합니다. 첫인상은 얼굴을 보고 내리는 종합적인 평가인 셈이죠. 그럼 책에 있어 얼굴 역할을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다들 짐작하시듯 표지입니다. 서점에 가서 책을 고를 때 가장 먼저 보는 것이 표지고, 사람들은 표지를 보고 책을 읽을지 말지 결정합니다. 그래서 많은 출판사들이 표지 디자인에 공을 들이고, 표지가 보이는 매대에 책을 놓기 위해 치열한 마케팅을 펼치기도 하지요. 어제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위치한 프레스센터 20층에서는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가 주최한 시상식이 있었습니다..

2011. 10. 27. 13:01
1 ··· 484 485 486 487 488 489 490 ··· 533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