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2)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다독다독 스마트폰 공모전 한국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리터러시 미디어교육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신문읽기 이벤트 NIE 책 신문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기자 독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2)

  • 「미디어리터러시」 창간호(2017년 여름)

    2017.08.11
  • 가짜 뉴스에 대응하는 미국의 미디어교육

    2017.08.11
  • 질문으로 접근하는 뉴스 리터러시 교육

    2017.08.10
  • 현장 교·강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인식 조사

    2017.08.09
  • 홍익대 광고홍보학부 뉴스 활용 강좌

    2017.08.03
  •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중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2017.08.01
「미디어리터러시」 창간호(2017년 여름)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김병호, 이하 재단)은 8월 4일 ‘미디어 리터러시’와 ‘뉴스 교육’ 관련 이슈 분석 및 전문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계간 를 창간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김병호, 이하 재단)은 8월 4일 ‘미디어 리터러시’와 ‘뉴스 교육’ 관련 이슈 분석 및 전문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계간 를 창간했습니다. 창간호 특집은 ‘미디어 리터러시와 뉴스 분별력’을 주제로 ‘미디어 리터러시란 무엇인가?’, ‘민주시민과 미디어 리터러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등을 다루었습니다. 또한 ‘현장 교사, 강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인식 조사’ 결과를 소개해 교육의 중점 방향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도 제공합니다. 그리고 재단 지원으로 개설된 홍익대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뉴스 활용 ..

2017. 8. 11. 18:06
가짜 뉴스에 대응하는 미국의 미디어교육

미국에서 가짜 뉴스 논란에 대한 해법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다시 조명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미국 각 주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동과 사회 각계의 움직임을 살펴보고, 가짜 뉴스나 잘못된 정보가 홍수처럼 늘어나는 현대에 미디어 리터러시의 역할을 되짚어 본다. 류동협(미 콜로라도 대학교 언론학 박사) 2016년 미국 대선을 혼란에 빠지게 만든 주역으로 가짜 뉴스가 있었다. 디지털 혁신은 누구나 정보를 쉽게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시대를 열었지만,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잘못된 정보가 폭발적으로 퍼져나가는 악영향도 그만큼 커졌다. 가짜 뉴스의 확산에 대책 없이 노출된 청소년을 보호하고 교육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미 스탠퍼드대 역사 교육팀은 2015년에서 2016년까지 미..

2017. 8. 11. 17:00
질문으로 접근하는 뉴스 리터러시 교육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질문 중심의 교육이 필요하다. 질문은 새로운 세상을 여는 창(窓)이고, 창의력을 다지는 발판이다. ‘단순히 뉴스는 이런 것이고, 이렇게 생산되고 유통된다. 이런 유의점이 있으니 이런 식으로 봐라.’라고 하는 교육은 이론 위주의 전형적인 ‘집어넣는 교육’ 형태이다. 이런 문제는 뉴스 읽기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 권영부(동북고등학교 수석교사) 최근 들어 뉴스 리터러시 교육은 기존의 신문 활용 교육과 뉴스 활용 교육을 포괄하는 추세다. 이 같은 변화는 뉴스 공급이 과잉되고 가짜 뉴스(Fake news)가 등장함에 따라 뉴스와 뉴스 생태계의 특성은 물론 뉴스에 대한 책임과 권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해진 가운데 생겨났다. 우리나라에서 신문 활용 교육(NIE)이 처음 시작된 것은 ..

2017. 8. 10. 11:00
현장 교·강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인식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난 5월 미디어 교육 담당 교사와 강사 418명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조사를 진행했다. 이 조사에서는 미디어 교육 교·강사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인식 및 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 등을 알 수 있다. 정현선(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김아미(경기도교육연구원 부연구위원) 최근 학교 교육의 변화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마련하고 있다. 올해 초등학교 1~2학년부터 학교 현장에 적용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은 21세기를 살아가기 위해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중시하고, 학생들의 꿈과 끼를 찾아주기 위한 중학교 자유학기 등 창의적 체험 활동과 진로교육을 강조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비록 독립된 교과 교육 분야는 아니지..

2017. 8. 9. 12:03
홍익대 광고홍보학부 뉴스 활용 강좌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난 2010년부터 전국 대학의 뉴스 활용 강좌를 지원하고 있다. 수업에 뉴스 읽기를 적극 도입한 홍익대학교 광고홍보학부 강좌의 수강생과 정지연 교수를 만나 그 후기를 들어봤다.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광고홍보학부 정지연 교수는 올해 초 학기 시작과 더불어 일간지 20종 구독을 신청했다. 학부 전공 선택 과목인 의 수업 자료로 쓰기 위해서였다. 이른 아침 잉크 냄새 짙게 밴 신문들이 배달되면 광고홍보학부 전 학년이 열람할 수 있는 공간에 신문을 비치했다. 그동안 모바일 뉴스를 힐끔거리는 것이 뉴스 읽기의 전부였던 학생들이 어느 순간부터 종이 신문을 넘기며 그날의 주요 이슈를 확인하는 진풍경이 펼쳐졌다. 모바일 대신 신문을 들다“대학생들이 의외로 신문을 안 읽어요. 대부분 모바일 포털 사이..

2017. 8. 3. 11:00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중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국가간 협력학습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하여 지역 사회의 현안을 공동으로 해결한 학습활동을 소개한다. 학습자들은 이 학습활동을 통해 정보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ICT 리터러시 역량을 기를 수 있었다. 황치성(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전문위원) Impactful Services Learning은 싱가포르와 인도네시아 중학생들의 국가간 협력학습으로 과학교과의 연장선 상에서 미래 핵심역량과 미디어 리터러시 기본 개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의 현안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한 학습활동이다. 이 교류학습은 싱가포르의 체스트넛 드라이브 중학교(Chestnut Drive Secondary School; 이하 'CDSS') 학생들의 제안에 의해 이루어졌다. CDSS 학생들은 싱가포르의 수자원 문제에 관한 학습을 하면서..

2017. 8. 1. 16:00
1 ···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