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2)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독서 한국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교육 뉴스리터러시 책 신문 뉴스읽기뉴스일기 기자 공모전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NIE 미디어 이벤트 스마트폰 신문읽기 뉴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2)

  • 내가 경험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한예진

    2017.10.31
  • 학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현황과 해결 과제

    2017.10.26
  • 동물복지 교육을 위한 수업지도안 제작 사례

    2017.10.25
  • EU, 디지털 단일 시장 전략 속 다양한 디지털 교육 프로젝트 시행

    2017.10.11
  • 디지털 리터러시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

    2017.09.28
  • 국가·지역사회가 밀어주고 학교는 열정으로 화답

    2017.09.26
내가 경험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한예진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난 9월 20일 전국 초·중·고·대학생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체험 수기’ 공모전 결과를 발표했다. 앞으로 를 통해 차례로 수상작을 소개할 예정이며 이번 호에서는 고등부 금상을 차지한 안산동산고 한예진 학생의 수기를 소개한다. 한예진(안산 동산고등학교 3학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단순히 열정적인 취재 모습이 적성과 맞을 것 같다는 이유로 기자가 되기를 꿈꾸던 나에게 미디어를 학문으로 공부하고 이에 대해 심도 있게 고민할 필요성을 느끼게 해 주었다. 미디어가 보이다고등학교 1학년 방과 후 사회 심화수업시간에 처음 해본 NIE 활동은 큰 충격이었다. 특히 메르스 사건에 대해 동일한 사진과 팩트를 가지고 두 개의 신문이 서로 다른 헤드라인의 보도를 하는 모습을 보며 학교 교과를 공..

2017. 10. 31. 11:00
학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현황과 해결 과제

‘디지털 리터러시’를 일컬어 EU는 ‘21세기 성장동력’으로, 미국은 ‘21세기 기술’이라고 부른다. 표현은 조금씩 다르지만 현재, 그리고 미래를 살아갈 우리 아이들이 갖추어야 할 필수 역량임은 틀림없다. 학교 현장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현황을 진단하고 개선할 문제점은 없는지 살펴본다. 옥현진(이화여대 초등교육과 교수) 이 글은 학교 현장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현황을 점검하고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논의하는 데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선 먼저 이 글에서 말하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무엇인지에 대한 언급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학문 분야와 개별 학자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이 사뭇 다르기 때문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이나 전망 또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 말하려는 디지털 ..

2017. 10. 26. 11:30
동물복지 교육을 위한 수업지도안 제작 사례

초등학교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은 힘들다. 토론 주제 정하기에서부터 어떻게 아이들의 토론을 이끌지 수많은 어려움에 봉착한다. 실과 과목 시간에 뉴스를 활용해 관련 이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수업이 끝난 후에는 직접 신문사 기고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 전주양지초등학교를 소개한다. 김주영(전주양지초등학교 수석교사) 지난 2년간 실과로 4개 반의 아이들과 호흡했다. 실과 시간에 운동장에서 텐트 치며 함께 간단한 음식을 만들어 먹을 땐 병설 유치원 어린이들이 신기해하며 모두 나와서 구경하기도 했다. 벚꽃이 흩날리던 날에는 야외에서 나무벤치를 만들어보며 웃음꽃을 피우기도 했다. 컴퓨터로 PPT와 영상도 만들다 보니 실과 수업은 제법 인기가 많았다. 그리고 수업 중에 한 번씩 “얘들아? 실과는 무엇을 줄인 말이지..

2017. 10. 25. 11:42
EU, 디지털 단일 시장 전략 속 다양한 디지털 교육 프로젝트 시행

2018년부터 초·중·고교에 코딩 교육이 순차적으로 의무화될 예정이다. 모든 교육이 대입을 향해 가는 현실에서 디지털 세상의 언어인 코딩 교육마저 주입식 교육이 되지 않을까 우려의 목소리도 들린다. 우리보다 먼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추진 중인 유럽은 어떨까? 최원석(핀란드 라플란드대학 미디어교육 석사 과정) 이 글에서는 유럽연합(EU)과 핀란드의 일부 사례를 통해 유럽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현황을 소개하려 한다. 미리 밝히는 건, 같은 국가에서도 지역이나 기관마다 다양한 형태의 정책과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소개하는 사례들이 특정 국가를 대표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현황이라고 할 수 없다. 다만 이 시대에 ‘디지털 리터러시’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를 고민해보는 데는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

2017. 10. 11. 17:00
디지털 리터러시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

여기저기서 4차 산업혁명을 외친다. 미래 대한민국이 살길은 4차 산업혁명뿐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인터넷 강국을 자부하는 대한민국의 디지털 교육 현장은 초라하다. 침묵을 강요하던 교실과 교육을 바꾸고 디지털을 통해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해야 한다. 제대로 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한 때이다. 김묘은(디지털리터러시교육협회 부회장) 칠판을 바라보고 한 방향으로 배치된 책상들. 교실 모습은 예나 지금이나 달라진 게 없다. 반장은 떠드는 아이를 칠판에 적고, 선생님은 칠판에 적힌 아이를 나무랐다. 떠든다는 것은 교실에서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행동이다. “조용히 해!” 학생들이 교실에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이다. 학생들은 침묵을 강요받고 선생님의 지시대로 읽고, 쓰며 행동하기를 요구받는다. 현재 교육 시스템은..

2017. 9. 28. 15:00
국가·지역사회가 밀어주고 학교는 열정으로 화답

학생들을 위한 미디어교육을 진지하게 고민하고 실천하는 현직 교사들이 지난 7월 미디어교육 선진국 독일을 방문했다. 연방 정부와 주 정부, 지역 그리고 미디어의 전폭적인 지원 속에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독일 미디어교육 현장의 생생한 모습을 전한다. 이연희(경기 청평중학교 교사)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는 정보 사회에서 아이들은 미디어를 통해 또래와 소통하고 문화를 공유한다. 더불어 언제 어디서나 얻을 수 있는 정보와 뉴스는 아이들이 지식을 누리는 콘텐츠로 활용하기도 한다. 이처럼 미디어 환경에 노출된 아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바로 미디어 리터러시(literacy) 교육이다. 즉,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에 접근해서 분석·평가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스스로 필요한 미디어를 생산할 수 있는 능..

2017. 9. 26. 11:00
1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