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한국언론진흥재단 공모전 신문읽기 뉴스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스마트폰 언론진흥재단 신문 NIE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 책 뉴스리터러시 기자 다독다독 독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3)

  • 2017년 10~12월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사업

    2018.01.23
  • 학교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과제

    2018.01.18
  • 뉴스 리터러시란 무엇인가

    2018.01.16
  • 미국 네임리의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

    2018.01.11
  • 인터뷰: 핀란드 미디어교육 석학 시르쿠 코티라이넨 교수

    2018.01.09
  • 「미디어리터러시」 2017년 겨울호(3호)

    2017.12.21
2017년 10~12월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사업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뉴스 리터러시 강연회 개최 및 올바른 뉴스 이용법 캠페인을 제작·방송하였으며, 다양한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강연회 개최 및 방송재단은 한국의 테드(TED)로 유명한 에서 ‘뉴스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알리는 강연회를 개최했다. 작년 11월 14일(화)에 개최된 강연회에는 약 500명의 청중이 참석해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대중의 높은 관심을 알 수 있었다. 이번 강연은 작년 12월 4일부터 순차적으로 세바시 홈페이지, 유튜브,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등을 통해 공개됐고 공개 직후 10일간 약 135만 회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이번 영상은 재단 미디어교육 포털 포미(FORME)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강사별 강연주제는 아래와 같다. • 10대가 뉴스를 보게 하려면(국범근 ..

2018. 1. 23. 11:06
학교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과제

학교는 아동과 청소년들의 발달을 장려하고 가능한 모든 학습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교육 현장이다. 따라서 학생들을 위한 체계적인 뉴스 리터러시 교육 역시 학교라는 공교육 기관에서 시행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된 뉴스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 어떤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박한철(덕성여자고등학교 교사) 한국 사회에서 미디어교육이 확산된 것은 학교 미디어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부터다. 학교 미디어교육의 중요성은 학교가 미디어교육의 이상적 실현 기관이라는 인식에서 시작된다. 어느 사회에서나 학교는 대표적인 공교육 기관으로서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학교는 사회적 체제의 하나로서 차세대를 위한 사회화 기능을 하는 곳이다. 또한 다양한 교육과정을..

2018. 1. 18. 14:00
뉴스 리터러시란 무엇인가

뉴스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는 같은 개념인가? ‘비판적 사고 능력’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별 차이가 없다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뉴스 리터러시의 등장 배경, 주요 이해관계자 및 목표를 고려할 때 ‘뉴스 리터러시’만이 갖는 차이점이 분명히 있다. 김성해(대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모든 것은 생명주기를 갖는다. 뉴스도 예외가 아니다. 로마의 악타 디우르나(Acta Diurna)에서 보듯 최초의 뉴스는 원로원이란 권력기관을 감시함으로써 시민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등장했다. 역사에서 뉴스가 다시 부각된 때는 렐라치온(Relation)과 아비소(Aviso)등이 발간된 17세기 초반이었다. 인간의 이성이 억압되고 모든 것을 신과 사제가 결정했던 5세기부터 15세기까지 유럽 대중은 일종의 ‘문맹’ 상태..

2018. 1. 16. 11:00
미국 네임리의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은 매년 11월 첫째 주 미국 미디어리터러시교육협회(일명 ‘네임리’) 주최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알리는 전국적 행사이다. 올해로 3년째를 맞이한 이번 행사에는 학교, 시민단체, 방송사, 소셜미디어 등 255개 단체가 파트너로 참여했으며 트위터, 니켈로디언, 페이스북 등이 후원자로 함께했다. 로이터통신 뉴욕 본부에서 개최된 킥오프 행사를 시작으로 일주일 간 진행됐던 2017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의 이모저모를 집중 탐구해보았다. 류동협(콜로라도대 언론학 박사) 미디어리터러시교육협회(National Association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이하 네임리)가 주관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이 2017년 11월 6일부터 10일까지 시행..

2018. 1. 11. 14:00
인터뷰: 핀란드 미디어교육 석학 시르쿠 코티라이넨 교수

핀란드에서는 정규 교육과정에 미디어교육을 포함한다. 이처럼 법제화를 통해 유럽에서도 미디어교육을 선도하고 있는 핀란드 미디어교육계의 중심에는 ‘판란드미디어교육위원회’가 있다. 학계와 미디어 업계, 그리고 정부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하며 미디어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와 활동을 하는 이 이원회의 창립 멤버이자 대표 미디어교육 학자인 탐페레대학의 시르쿠 코티라이넨 교수를 만나보았다. 김아미(경기도교육연구원 부연구위원) 핀란드는 2016년에 발표된 새로운 교육과정에 ‘멀티 리터러시(multi literacy)’라는 이름으로 미디어교육을 학교 안에서 실행할 수 있는 법적인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유럽 국가 중 미디어교육 정책 입안이라는 측면에서 한발 앞서 가고 있는 핀란드의 대표 미디어교육 학자를 만나 핀란드의..

2018. 1. 9. 11:00
「미디어리터러시」 2017년 겨울호(3호)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누구나 쉽게 뉴스의 생산과 유통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이에 따라 가짜 뉴스와 같은 부작용도 커지고 있다. 뉴스는 공동체에 대한 시민들의 공적 관심사를 다루며 여론 형성 및 민주주의 발전과도 직결되는 정보이므로 분별력 있는 이용과 책임 있는 활용이 매우 중요한 콘텐츠다. 계간 겨울호에서는 특집 ‘뉴스 리터러시’를 통해 뉴스 리터러시가 왜 필요하고 어떤 역량을 의미하는지 알아보았다. 또 학교 현장에서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 소개하고, 미국과 프랑스의 사례를 통해 한국형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을 모색한다. SPECIAL ISSUE 디지털 리터러시김성해 Ι 뉴스 리터러시란 무엇인가박한철 Ι 학교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과제홍원식 Ι 미국의 뉴스 리터러시..

2017. 12. 21. 15:42
1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 533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