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2)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리터러시 다독다독 언론진흥재단 미디어 신문 이벤트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NIE 책 공모전 미디어리터러시 기자 신문읽기 미디어교육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계간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독서 스마트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2)

  • 청소년, '댓글'로 뉴스 가치 판단…댓글 교육도 중요

    2017.09.12
  • [당첨자 발표] 카카오 플러스친구 오픈 기념

    2017.09.06
  • 특정 부처 영향받지 않는 합의체적 독립 기구 제안

    2017.09.05
  • 내 진로를 찾는 최적의 교육 방법, NIE

    2017.09.01
  • '뉴스' 아는 만큼 보인다! 바른 뉴스 사용법에 대한 소통의 시간

    2017.08.25
  •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소식

    2017.08.23
청소년, '댓글'로 뉴스 가치 판단…댓글 교육도 중요

'가짜 뉴스'가 횡행하는 시대다. 청소년들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당위성에 머물지 않고 실제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할 때다. 이를 위해 청소년들은 어떻게 뉴스를 접하고 있는지 뉴스 경험을 조사한 연구로부터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본다. 김아미(경기도교육연구원 부연구위원) 최근 들어 우리는 '가짜 뉴스'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고 있다. '가짜 뉴스'의 문제점 및 '가짜 뉴스'에 대응할 필요성은 비단 우리나라뿐 아니라 선거나 투표 등 주요한 시민적 합의를 앞두고 있었던 미국, 영국, 독일 등에서도 꾸준히 제기되었다. 하지만 '가짜 뉴스'는 새로이 등장한 현상이 아니다. 인터넷 지라시 등을 통해 오정보가 유포되는 위험성이 이전부터 지적되어 왔다. 그러나 올해 들어 유난히 '가짜..

2017. 9. 12. 11:40
[당첨자 발표] 카카오 플러스친구 오픈 기념

지난 8월 17일부터 31일까지 진행된 '미디어리터러시 카카오 플러스친구 오픈 기념 이벤트'의 당첨자를 발표합니다.카카오톡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소식을 받아볼 수 있는 '미디어리터러시 플러스 친구'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당첨자는 9월 13일까지 페이스북 메시지를 통해 '배스킨라빈스 싱글레귤러' 기프트콘 발송을 위해 아래 내용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당첨자 이름/휴대폰 번호/플친 오픈 이벤트'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바로가기◀ 당첨자 명단※ Ctrl + F를 통해 본인의 페이스북 이름을 검색 바랍니다. 번호이름번호이름번호이름번호이름1천윤희51김나정101홍영희151지은정2김민지52Jh So102정윤서152Haksung Lee3안호선53조현성103김하윤153유슬기4이희경54문주희104은영이154허..

2017. 9. 6. 19:25
특정 부처 영향받지 않는 합의체적 독립 기구 제안

'미디어 리터러시와 거버넌스' 세미나에 정부 부처, 학계, 시민단체 등 미디어교육 전문가들이 모였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현황과 사회적 의제를 살피며 심도 깊게 의견을 나누는 시간이었다. 임연수(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팀 인턴) 지난 6월 27일 ‘미디어 리터러시와 거버넌스’를 주제로 한 세미나가 한양사이버대학교에서 열렸다. 한국방송학회가 주최하고 한국언론진흥재단이 후원한 이번 세미나는 개인의 역량 제고에 중점을 둔 기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 나아가 사회적 차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토대로 정부 부처, 학계, 시민단체 등 다양한 미디어교육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논의한 자리였다. 미디어교육 관련 법 제정돼야 발제는 김경희 한국방송학회 미디어교육연구특별위원회 위원장(한림대 교수)이 맡..

2017. 9. 5. 17:31
내 진로를 찾는 최적의 교육 방법, NIE

초·중·고등학생들의 진로교육 현실을 진단하고 대안을 찾기 위한 ‘신문을 활용한 진로교육 사례 발표회’가 열렸다. 현장에서 신문활용 진로교육을 하고 있는 교사들의 수업사례를 공유하고 해법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주민정(인천 구산중학교 교사) 진로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모르는 이가 없다. 그러나 급변하는 사회에서 초‧중‧고등학생 수준에 적합한 진로교육의 방향과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우리 교육현장은 아직 막연한 상황이다. 이러한 진로교육 현실에 대해 적절한 대안을 찾고자 지난 6월 20일 한국언론진흥재단과 한국신문협회 주관으로 개최한 ‘신문을 활용한 진로교육 사례 발표회’에 참가하였다. 현장에서 진로교육을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지 전문 교사의 수업 사례를 공유하고, 교육 현실에 적합한 진로교육에 대..

2017. 9. 1. 16:00
'뉴스' 아는 만큼 보인다! 바른 뉴스 사용법에 대한 소통의 시간

뉴스 과잉의 시대, 뉴스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사단법인 와 은 언론진흥재단의 지원으로 지난 6월부터 뉴스사용설명서 기획콘서트를 진행 중이다. 이번 콘서트는 학계, 언론계의 전문가들과 '시민'이 함께 참여하여 그 의미가 남달랐다. 뉴스의 옥석을 가려내고 비판적으로 읽는 뉴스 리터러시에 대한 깊은 논의의 장이 펼쳐졌다. 이은주(서강대 언론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사단법인 와 은 언론진흥재단 지원으로 지난 6월 7일부터 9월 13일까지 뉴스사용설명서 기획콘서트를 진행 중이다. 3개월에 걸쳐 8회의 주제로 진행되고 있는 기획콘서트는 뉴스에 대한 고민을 시민과 함께 나누는 시간으로, 첫 강좌인 ‘탈진실시대의 뉴스감별법’으로 시작해 마지막 강좌인 '시민을 위한 뉴스사용설명서'까지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이번 기획이..

2017. 8. 25. 14:00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소식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세계적으로 관심이 커지고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를 위해 2017년 상반기 학교(교사)와 연구회, 시설·단체 등의 미디어교육과 대학 뉴스읽기 강좌를 지원했습니다. 419개 학교에 미디어교육 지원 재단은 전국의 초·중·고를 대상으로 미디어교육 운영 학교 및 중학교의 자유학기제 미디어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24시간의 수업을 진행할 미디어교육 강사 파견 및 수업용 신문, 45개 매체의 지면 PDF 파일을 이용할 수 있는 교육용 웹 프로그램인 e-NIE 사용을 지원한다. 매년 1~3월 미디어교육 포털 사이트 포미(forme.or.kr)와 재단 홈페이지 공고 및 전자공문을 통해 안내한다. 올해는 184개의 자유학기제 미디어교육과 235개 운영 학교 등 419개 학교에 대한 미디어교육..

2017. 8. 23. 11:00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 53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