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2)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뉴스리터러시 독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스마트폰 뉴스읽기뉴스일기 책 기자 NIE 뉴스 다독다독 미디어교육 신문읽기 신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이벤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2)

  • 언론진흥재단, ‘가짜 뉴스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세미나

    2017.06.28
  • 한국언론학회 정기학술대회 미디어교육 세션

    2017.06.23
  • <당첨자 발표> ‘미디어리터러시,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이벤트

    2017.06.22
  • 이것이 미디어 리터러시다

    2017.06.21
  • 자유학기제 해법, 뉴스 활용 교육에서 찾다

    2017.06.19
  •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의미

    2017.06.16
언론진흥재단, ‘가짜 뉴스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세미나

뉴스를 둘러싸고 전개되는 진위(眞僞) 논쟁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우리 사회에서 가장 뜨거운 주제이자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것은 ‘가짜 뉴스’ 논쟁이다. 과거와 다른 방식 속에서 가짜 뉴스를 접하고, 이는 필연적으로 미디어를 이용하는 모든 이들이 해결해야 하는 숙제가 됐다. ‘가짜 뉴스’ 대응 방안 중 하나로 제시되는 것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다. 이에 대한 고민을 나누고, 함께 해결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김광재(한양사이버대학교 광고미디어학과 교수)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난 5월 18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가짜 뉴스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세미나에는 학계와 언론 종사자 그리고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교사와 강사 등 미디어교육 관..

2017. 6. 28. 17:00
한국언론학회 정기학술대회 미디어교육 세션

한국언론학회는 봄철정기학술대회의 미디어교육 세션을 통해 미디어교육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디어교육 제도화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의 시간을 가졌다. 윤영태(동의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미디어교육학회장) 한국언론학회는 지난 5월 19일 제주국제대학교에서 2017년 봄철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했다. 대주제 세션 중 하나로 기획된 미디어교육 세션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제도화에 따른 정책적 대안 모색’이라는 주제로 발표 및 토론, 그리고 집담회가 열렸다. 동의대학교 윤영태 교수의 주제 발표 그리고 이에 대한 한국외국어대학교 최숙 교수와 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 허경 사무국장의 토론이 이어졌다. 뒤이어 진행된 집담회에선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오늘, 시청자미디어재단, 미디액트, 국회의원, 구글, KBS 등의 관계자가 참..

2017. 6. 23. 15:30
<당첨자 발표> ‘미디어리터러시,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이벤트

지난 5월 22일부터 26일까지 진행된 미디어교육 교사·강사 대상 설문조사 이벤트 ‘미디어리터러시,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의 당첨자를 발표합니다. 이번 설문조사의 분석 내용은 7월 발간될 『미디어리터러시』웹진에 소개될 예정입니다. 카카오톡을 통해 '미디어리터러시' 소식을 받아볼 수 있는 '미디어리터러시 플러스 친구'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설문조사 참여 시 남겨주신 휴대전화 번호의 뒷자리 혹은 이메일 주소 ID를 기준으로 찾아주세요. (Ctrl + F를 통해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신세계 상품권 3만원권(3명) inju11 kmog2122 rapture84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Tall SIze (100명) 휴대폰 기재(뒷 네 자리) 3586 3175 8786 2290 8025 3258 144..

2017. 6. 22. 19:06
이것이 미디어 리터러시다

‘미디어’와 ‘리터러시’의 합성어인 ‘미디어 리터러시’는 좁게는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해독능력을 지칭하지만, 넓게는 미디어에 접근할 수 있고 그 미디어가 작동하는 원리와 미디어 콘텐츠를 분별 있게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나아가 미디어(콘텐츠)를 적절히 활용하고 이를 창조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까지를 포괄한다. 양정애(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팀 연구위원) 현대사회를 미디어 없이 살아가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미디어를 얼마나 이용하고 어떤 미디어에 주로 의존하는가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현대인이라면 일단 미디어 이용자의 범주에 들어간다고 보는 것이 상식에 부합한다. 과거에도 미디어는 존재했다. 책,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 등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미디어 가운데는 길게는 수천 년 짧게..

2017. 6. 21. 18:42
자유학기제 해법, 뉴스 활용 교육에서 찾다

자유학기제 전면 시행과 더불어 미디어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교육청과 협업해서 진행하는 자유학기제 정착과 미디어교육 확산을 위한 중학교 교장·교감 세미나는 아이들의 미래핵심역량을 키우는 교육 방안으로 미디어교육에 주목한다. 중학생들이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한 학기 동안 다양한 수업과 활동을 경험하는 자유학기제가 올해로 전면 시행 2년 차를 맞았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자유학기제의 성공적인 정착과 미디어교육 확산을 위해 시·도 교육청과 함께 중학교 교장·교감 세미나를 지속적으로 개최해 왔다. 상반기에는 수도권, 강원, 전남, 전북, 울산 등 7개 시·도 교육청과 9번의 세미나를 진행했다. 이 세미나에는 총 588개 학교가 참여했고, 이는 해당 지역 전체 중학교의 32.29%에 해..

2017. 6. 19. 18:48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의미

이 글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시점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의미를 짚어보고 미래 핵심역량 습득을 위한 필수자원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대응과제를 모색해 보기 위한 것이다. 1편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의미', 2, 3편 ‘미리 가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사례’ 등 3회에 걸쳐 시리즈로 게재한다. 황치성(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팀 전문위원) 4차 산업혁명의 물결이 거세게 밀려오고 있다. 몇년 전만 해도 먼 미래의 일로 생각했던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3D프린터, 자율주행자동차, 가상현실 등 4차 산업혁명을 상징하는 현상들이 가상이 아닌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이들 중 상당수가 실제 제품으로 등장하고 있고 시험 가동단계에 있는 것들도 많다. 4차 ..

2017. 6. 16. 18:03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