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스마트폰 한국언론진흥재단 NIE 뉴스 책 미디어교육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뉴스리터러시 기자 이벤트 신문 신문읽기 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독서 다독다독 뉴스읽기뉴스일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3)

  • 당신이 몰랐던 일제강점기의 잔재

    2016.08.22
  • MCN 열풍진단, 2016 국내 MCN 지형도

    2016.08.22
  • 나를 깨우는 한 줄 (8월 3주차)

    2016.08.19
  • 내가 좋아하는 뉴스만 보기를 원한다면

    2016.08.19
  • 사색하는 독서법, 독서노트 작성하기

    2016.08.18
  • '뉴스 트러스트'가 뭐냐고요?

    2016.08.18
당신이 몰랐던 일제강점기의 잔재

[요약] 평소 응원을 위해 외치는 ‘파이팅’(Fighting). 이 말이 일제강점기의 잔재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일상 속 모르고 지나쳤던 일제강점기의 잔재를 소개합니다. #일제의 잔재 ①언어 초등학교 입학 전 아이들이 많이 다니는 유치원. 유치원에도 일제강점기의 잔재가 남아있습니다. 과연 무엇일까요? 바로 ‘유치원’이라는 단어입니다. ‘유치원’은 독일어 ‘Kindergarten'(어린이들의 정원)을 일본 조어 방식에 따라 번역한 표기로 중국은 해방 직후 명칭을 ’유아원‘으로 바꿨지만 우리나라는 아직도 사용 중에 있습니다. 교장 선생님의 ‘훈화’와 졸업식 ‘회고사’도 일제의 흔적입니다. ‘훈화’는 상사가 부하에게 ‘훈시’한다는 일제 강점기의 군대 용어이며, ‘회고사’는 국어사전에서 찾아볼 수 없는 용..

2016. 8. 22. 15:21
MCN 열풍진단, 2016 국내 MCN 지형도

조영신, SK경영경제연구소 박사 [요약] ‘16년 모바일 동영상 시장은 여전히 역동적이다. 일부는 새로운 한류를 주창할 정도로 시장 내 힘이 커졌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MCN(Multi Channel Network) 시장의 환경 변화를 몇 개의 키워드로 정리해보았다. 2016년 들어 영상 크리에이터와 MCN 사업자들이 각각 '미디어콘텐츠 창작자'와 '창작자 에이전트'란 이름을 갖고 새 직업으로 공식 인정을 받았다. MCN 도입 3년 만에, 아프리카TV에서 BJ가 첫선을 보인 지 10년 만에 새로운 직업으로 대접받은 것이다. 그만큼 시장이 커졌다는 이야기다. 우리나라 MCN 시장의 모태가 된 아프리카TV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1사분기 지상파방송 사업자의 광고 수익은 전년 대비 30% 가..

2016. 8. 22. 11:42
나를 깨우는 한 줄 (8월 3주차)

평일 아침, 다독다독 페이스북에서 소개해드리는 '나를 깨우는 한 줄' 8월 3주차의 문장을 모았습니다. 제한된 인생의 시간 속에서내가 정말로 좋아하는 사람들을 좋아하는 데에시간과 마음을 더 쓸 수 있었으면 좋겠다. 임경선『태도에 관하여』중에서 과연 내 안에는 어떤 사람이 살고 있을까. 사카키 쓰카사『화과자의 안』중에서 사람은 진정한 의미에서타인을 완전히 이해할 수 는 없다. 다만, 나에 대한 남들의 느낌을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바꿀 수 있을 뿐이다. 하야마 아마리『스물아홉 생일, 1년 후 죽기로 결심했다』중에서 내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일이라면편안히 운명으로 받아들여라. 이석명『장자, 나를 깨우다』중에서 행복해지려면미움받을 용기도 필요하네. 그런 용기가 생겼을 때자네의 인간관계는 한순간에 달라질걸세..

2016. 8. 19. 16:00
내가 좋아하는 뉴스만 보기를 원한다면

정형근, 정원여자중학교 교사 [요약] 뉴스 이용이 개인화되며 생겨난 개인 맞춤형 뉴스큐레이션 서비스와 자신의 신념과 일치하는 정보는 받아들이고 신념과 일치하지 않는 정보는 무시하는 필터 버블(Filter Bubble) 현상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내가 좋아하는 뉴스만 보기를 원한다면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에서 제공하는 맞춤형 뉴스를 이용하면 된다. 보통 큐레이터는 작품을 전시 목적에 따라 수집하고 전시하는 역할을 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이와 유사하게 뉴스 큐레이터는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에 따라 뉴스를 분류하고 배포하는 일을 수행하는데,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이 바로 뉴스-큐레이터이다. #뉴스큐레이션과 필터 버블 요즘 왜 뉴스-큐레이션이라는 용어가 여기저기에서 회자되는 것일까? 그것은 홍수처럼 쏟..

2016. 8. 19. 11:00
사색하는 독서법, 독서노트 작성하기

이혜인,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독서는 다만 지식의 재료를 줄 뿐이다.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은 사색의 힘이다." 깊이 있게 책을 읽고 생각을 정리하는 독서노트 작성법을 소개합니다. "사색 없는 독서는 소화되지 않는 음식을 먹는 것과 같다." 아일랜드의 정치사상가 에드먼드 버크의 말입니다. 독서는 책을 끝까지 읽음으로써 끝나는 게 아니라, 책의 내용에 대해 사색하고 자기 생각을 정리해야 비로소 끝난다는 것입니다. 영국의 철학자 존 로크 역시 비슷한 말을 했습니다. "독서는 다만 지식의 재료를 줄 뿐이다.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은 사색의 힘이다." 버크의 말과 같은 맥락으로, 책을 읽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책 속에서 얻은 지식과 교훈을 그저 흘려보내는 것..

2016. 8. 18. 17:00
'뉴스 트러스트'가 뭐냐고요?

#뉴스 트러스트가 뭐냐고요? 오세욱,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 숫자는 컴퓨터가 세상을 받아들이는 방법이다. 우리는 컴퓨터에 문자를 입력하지만, 컴퓨터는 입력된 문자를 숫자화해 받아들인다. 가령, ‘언론’이라는 단어가 있다. ‘ㅇ’은 국제 표준 문자코드인 유니코드에 따라 ‘3147’이다. ‘ㅓ’는 ‘3153’, ‘ㄴ’은 ‘3134’, ‘ㄹ’은 ‘3139’, ‘ㅗ’는 ‘3157’이다. 그래서 컴퓨터는 ‘언론’이라는 문자를 ‘314731533134313931573134’로 받아들인다. 컴퓨터는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문자를 인식한다. 뉴스는 기본적으로 문자로 기록되며, 기록된 문자는 모두 컴퓨터에서 숫자로 인식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시대 모든 뉴스가 숫자로 치환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프로야구 순위처럼 뉴스도..

2016. 8. 18. 11:40
1 ··· 168 169 170 171 172 173 174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