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1)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한국언론진흥재단 NIE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읽기 뉴스리터러시 스마트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다독다독 미디어교육 미디어리터러시 기자 공모전 독서 뉴스 미디어 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신문 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19)

  • 나는 이렇게 공부한다!

    2016.06.21
  • 뉴스 저작권 사용설명서

    2016.06.21
  • 6월의 독서

    2016.06.20
  • 뉴스 빅데이터로 본 인공지능(AI)의 역사

    2016.06.20
  • 나를 깨우는 한 줄 (6월 2주차)

    2016.06.17
  • 물놀이 안전준비 체크리스트

    2016.06.17
나는 이렇게 공부한다!

[요약] 기말고사 잘 치르셨나요? “다신 1학기 같은 실수는 없다!” 혹은 “기말고사까지 페이스 유지해서 장학금 탄다!”하는 마음을 먹고 계신가요? 지금부터 준비하세요! ‘공부의 신’이 되는 방법을 소개해드립니다. #공스타그램 많은 분들이 이용하는 이미지 기반 SNS 인스타그램. 최근 인스타그램을 통해 화제가 되고 있는 공부법이 있습니다. 바로 ‘#공스타그램‘입니다. 공부와 인스타그램의 합성어인 ’공스타그램‘은 공부를 한 사진, 공부 중인 사진 등을 게시하는 것을 뜻합니다. ’SNS로 무슨 공부냐’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학생들은 “공부에 꽤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 #공스타그램 검색 시 화면 그렇다면, 이 공스타그램에는 어떤 사진들이 올라올까요? 살펴보니 공부를 한 시간, 오늘 했던 공부의 양, ..

2016. 6. 21. 17:00
뉴스 저작권 사용설명서

[요약] 뉴스 저작권과 관련한 10가지 용어를 소개합니다. 신문과 방송, 인터넷 등 다양한 경로로 접하게 되는 뉴스에도 저작권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언론사와 기자의 노력으로 만들어지는 뉴스 저작권에 대한 10가지를 소개합니다. #Article(뉴스기사)사전적 의미는 ‘신문이나 잡지 따위에서, 어떤 사실을 알리는 글’. 뉴스 가치에 의해 선택된 사실을 육하원칙에 따라 객관적으로 작성한 글을 뜻한다. #Belongings(소유물)뉴스기사는 ‘업무상 저작물’에 해당한다. 기상 말미의 바이라인(Byline)을 보고 기사의 저작권이 기자에게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기자는 언론사에 소속되어 기사 작성 업무를 수행하는 자이므로 그 대상물인 뉴스기사는 언론사의 소유물이다. 따라서 기사 이용은 되도록 기자가..

2016. 6. 21. 11:00
6월의 독서

[요약]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은 전 국민 책 읽기 운동의 일환으로 매달 10종씩 이달의 읽을 만한 책을 선정, 발표하고 있습니다. 책은 세대 공감, 소통, 성장입니다. 6월이 가기 전에 책 한 권 읽어보는 것 어떨까요? #대학생을 위한 6월의 책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미셸 루트번스타인, 우리들 대부분은 음악을 듣고 그림을 본다. 하지만 창조적 천재들은 그림을 '듣고' 음악을 '본다'. _ p.8 은 시대와 분야를 초월해, 천재성을 발휘한 다양한 인물이 사용한 창조적 생각의 도구를 다룹니다. 관찰, 형상화, 추상화, 패턴인식, 패턴형성, 유추, 몸으로 생각하기, 감정이입, 차원적 사고, 모형 만들기, 놀이, 변형, 통합의 13개 생각 도구를 제시합니다. 생각의 도구를 찾아내고, 다양하고 적확하게 사례를 정..

2016. 6. 20. 18:00
뉴스 빅데이터로 본 인공지능(AI)의 역사

[요약] 지난 3월 이세돌과 알파고의 바둑 대결이 ‘인공지능’에 대한 생각을 어떻게 바꿔놨을까요? 그리고 알파고 이전, 우리는 인공지능을 어떻게 생각해왔을까요? 빅카인즈를 이용해 30개 매체의 인공지능 관련 기사를 분석한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지난 3월 이세돌 9단이 알파고와의 바둑 대결에서 4대1로 패한 충격이 아직 가시지 않고 있다. 신문에선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이 사람의 일자리를 위협한다거나, 제4차 산업혁명이 일어날 것이란 예견이 자주 등장하고 있다. 1956년 미국 다트머스 대학교의 컴퓨터 과학자 존 매커시가 기획한 다트머스 회의(Dartmouth Conference)에서 처음 제안된 AI란 용어는 올해 가장 큰 화두 중 하나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

2016. 6. 20. 11:57
나를 깨우는 한 줄 (6월 2주차)

평일 아침, 다독다독 페이스북에서 소개해드리는'나를 깨우는 한 줄' 6월 2주차의 문장들을 모았습니다. 생의 마지막 순간에 간절히 원하게 될 것, 그것을 지금 하라.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인생수업』중에서 자기가 틀렸다는 사실을 인정하기란 어렵다.특히나 무척 오랫동안 틀린 채로 살아왔을 때는. 프레드릭 배크만『오베라는 남자』중에서 완독이라는 것은 실은 대단한 것입니다.그만 읽고 싶다는 유혹을 수없이 이겨내야만 하니까요. 김영하『읽다』중에서 책의 구체적인 내용은 기억하지 못하더라도그때의 나는 기억난다. 사람은 안 변한다지만 이 책들 덕분에잠깐 동안이라도 변했던 나는 기억난다. 김민철『모든요일의 기록』중에서 세상에 좋은 결정인지 아닌지,미리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어.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다만, 어떤 결정..

2016. 6. 17. 17:00
물놀이 안전준비 체크리스트

[요약] 해수욕장, 계곡, 워터파크까지! 여름을 맞아 전국 각지의 물놀이장 개장 준비가 한창입니다. 즐거운 물놀이를 위한 안전수칙을 소개합니다. 장마가 지나고 나면 무더위와 뜨거운 햇볕이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됩니다. 여름 하면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여름 휴가와 물놀이죠, 다가오는 여름을 맞아 전국 각지의 해수욕장, 계곡, 워터파크와 같은 물놀이장은 개장 준비가 한창입니다. '안전하고 즐거운 물놀이'를 위해 지켜야 할 몇 가지 안전 수칙을 당부드립니다. 안전하고 즐거운 물놀이를 즐기기 위한 첫 단추, 준비운동! 가장 보편적인 상식이지만 지켜지지 않을 때가 더 많습니다. 물놀이 전, 준비운동! 5분이면 충분합니다! 준비운동과 스트레칭은 우리 몸의 체온을 상승시키고, 근육과 관절을 풀어주어 손, 발 등의 ..

2016. 6. 17. 11:32
1 ··· 190 191 192 193 194 195 196 ··· 53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