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공모전 뉴스리터러시 뉴스 책 NIE 신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스마트폰 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독서 뉴스읽기뉴스일기 이벤트 미디어교육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3)

  • 국내외 미성년 관련 언론 보도 가이드라인

    2016.05.16
  • 나를 깨우는 한 줄 (5월 2주차)

    2016.05.13
  • 한국의 퓰리처상 ‘이달의 기자상’ - 2016년 3월 수상작 소개 ②

    2016.05.13
  • 응답하라! 언제나 어디서나?

    2016.05.12
  • 영자신문에 숨어있는 ‘심쿵’한 복습의 원리

    2016.05.12
  • 뉴스 빅데이터로 본 신문의 역사

    2016.05.11
국내외 미성년 관련 언론 보도 가이드라인

한국외대 언론정보연구소 최숙 연구원의 글입니다. 아동 인권 보도의 ‘호루라기’ 최근 아동학대치사에 대한 보도가 끊이지 않았다. 2015년 말부터 ‘인천 소녀 학대’ ‘부천 초등생 학대’ ‘부천 여중생 학대’ ‘고성 친딸 암매장’ ‘평택 신원영군 암매장 사건’ 등이 연이어 보도됐다. 그리고 보도의 목적이 어디에 있는지 선명하게 알 수 없는 뉴스가 연일 생산되고 있다. 실종 당시에는 긴급한 수사를 위해 신원을 공개했다 하더라도 후속 보도에서까지 피해자인 어린이들의 신원을 명백히 알 수 있는 사진이 게재되거나, 가해자의 얼굴은 가려진 채 피해자 어린이의 이름으로 사건이 구별되고, 폭력과 학대에 대한 과도하게 세밀한 묘사가 지속적으로 재생산되며, 피해자의 미성년 형제자매들의 근황을 흥미위주로 전달하는 등 어린이..

2016. 5. 16. 11:00
나를 깨우는 한 줄 (5월 2주차)

평일 아침, 다독다독 페이스북에서 소개해드리는 '나를 깨우는 한 줄' 5월 2주차의 한 줄을 모았습니다. 어떤 순간에도 너 자신을 존중하고사랑하는 것을 그만두어서는 안 돼. 공지영『즐거운 나의 집』중에서 누구나 창의적이 될 수 있습니다.누구나 사랑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김하나 『당신과 나의 아이디어』중에서 풍경은 진실한 게 좋고 생각은 짧을수록 명료하다. 정영효『깃발을 향해』중에서 인생은 대수롭지 않은 것에서부터 시작한다.좋아하는 일이 있으면 그 일을 붙잡고즐기면서 열심히 하면 된다. 마이크 시어스, 보잉(Boeing) 전 부사장 대화하고 소통하기 위해 필요한 건언어가 아니라 공통분모다. 채사장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중에서

2016. 5. 13. 17:30
한국의 퓰리처상 ‘이달의 기자상’ - 2016년 3월 수상작 소개 ②

[요약] TV조선은 전 세계 9개국 33개 도시를 돌며 일본군 위안부 강제 동원 및 위안부 피해 증거 자료를 발굴하고, 국내외 위안부 피해 할머니 40명의 생생한 증언을 담아낸 '개국 5주년 특별기획 다큐멘터리-일본군 위안부‘를 방송했습니다. 해당 방송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로 부각시켰다는 점을 높게 평가받았습니다. 2016년 3월 이달의 기자상 수상작 열한 개 작품 중 1년여 동안 전 세계 9개국 33개 도시를 돌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담아낸 TV조선의 '개국 5주년 특별기획 다큐멘터리-일본군 위안부'를 소개합니다. 기획보도 방송부문TV조선 일본군 위안부 특별취재팀 TV조선의 이진동 부장과 이상준 차장 등 11명의 특별취재팀은 1년여 동안의 취재 끝에 지..

2016. 5. 13. 11:30
응답하라! 언제나 어디서나?

[요약] 4월 다독다독 의견댓글 이벤트 를 통해 들어 본 다독다독 팬들의 인공지능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 공유합니다. 근무시간 외 직상 상사로부터 온 업무 관련 전화, 메일, 메시지 등을 받지 않을 '연결되지 않을 권리'에 대한 이야기가 화제입니다. 다독다독 페이스북 이벤트를 통해 다독다독 팬들이 생각하는 스마트폰의 ‘항상 연결’ 기능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습니다. 전체 응답자 100명 중 스마트폰 항상 연결로 '더 편리해졌다'고 응답한 사람이 전체의 43명(43%), '더 불편해졌다' 56명(56%), 기타(중립) 1명(1%)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중 눈에 띄는 의견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김병선님, O. 스마트폰 상시연결로 더 편리해진 듯해요! 다양한 사람을 만날 수 있는 기회마련/소식을 전할 수도 있..

2016. 5. 12. 15:00
영자신문에 숨어있는 ‘심쿵’한 복습의 원리

양승진, 코리아헤럴드 기자·주니어헤럴드 에디터 영자신문이 영어학습 자료로 활용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여러 장점 중에서 ‘주기적인 반복’과 관련된 것이 있습니다. 사실 영자신문을 정기구독해서 매일 보는 독자의 경우 자신도 모르게 매일 기사를 읽으면서 영어기사의 내용과 다양한 표현을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보게 됩니다. 이런 주기적인 반복과 인간의 기억력의 특성이 만나면 효율이 높아집니다. 일단 익숙한 그래프를 하나 보시죠. 네, 유명한 ‘망각 곡선’입니다. 망각 곡선(Forgetting curve) 가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억이 남아있는 감소의 정도를 말하는 가설이다. 이 곡선은 기억을 유지하려는 시도가 없을 때 정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손실되는 정도를 보여준다. 기억이 강할수록 더 오랜 시간 후에 정..

2016. 5. 12. 11:36
뉴스 빅데이터로 본 신문의 역사

[요약] 지난 26년간 언론에서 가장 논쟁적인 정보원은 누구였을까? 어떤 해에 어떤 주제가 쟁점이 됐을까? 어떤 주장이 나왔고, 어떻게 반박됐을까? 이제 이러한 궁금증의 많은 부분을 풀 수 있게 됐습니다. 뉴스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적용한 시스템 를 통해서입니다. #150만 건 기사의 뉴스 빅데이터로 본 신문의 역사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 연구팀은 다양한 사회적 의제에 대한 뉴스를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해 대규모로 살펴보는 뉴스 빅데이터 분석 전문보고서 (뉴스 빅데이터 애널리틱스 앤 인사이트, 약어 NAI)를 창간했다. 창간호에서는 1990년부터 2015년까지 26년간 보도된 정치면, 사회면, 경제면 기사 약 150만 건의 기사의 정보원과 인용문 주제를 분석했다. 국내 뉴스 빅데이터 분석 규모로는 최..

2016. 5. 11. 16:00
1 ··· 191 192 193 194 195 196 197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