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기자 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한국언론진흥재단 책 미디어교육 뉴스읽기뉴스일기 NIE 이벤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리터러시 다독다독 신문 스마트폰 독서 뉴스 미디어 공모전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3)

  • 인터넷 공간의 언론 신뢰성 제고 방안

    2015.12.14
  • 새로운 방송 포맷 등장, 제작 시장에 뛰어든 차이나머니

    2015.12.14
  • [백년 간 뉴스] 조선의 마지막 호랑이 다시 태어나다!

    2015.12.11
  • 영자신문 지면으로 ‘드루와~ 드루와~’

    2015.12.11
  • 셀프 출판(self publishing)과 전자책 출판의 만남

    2015.12.10
  • 왜 우리는 집단지성이 없을까

    2015.12.10
인터넷 공간의 언론 신뢰성 제고 방안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 김선호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난 11월 19일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뉴스미디어의 미래를 위한 대 토론회’를 열었다. ‘인터넷 공간의 언론 신뢰성 제고'발표 내용을 요약·정리해 소개합니다. 현재 인터넷은 뉴스 소비가 이루어지는 중심 매체이며, 문화가 매개되고 민주적 여론이 형성되는 공간입니다. 그리고 인터넷에서는 정보 전파가 급속하게 이루어지며 광고 시장도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인터넷 공간에서 신뢰성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본 ‘인터넷 공간의 언론 신뢰성 제고’ 분과에서는 위와 같은 특징을 갖는 인터넷 공간에서 언론에 대한 신뢰성을 이용자 관점에서 바라보았습니다. 인터넷 공간의 언론에 대한 신뢰..

2015. 12. 14. 14:00
새로운 방송 포맷 등장, 제작 시장에 뛰어든 차이나머니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서울여대 언론영상학부 교수 임정수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2015년은 방송에 있어서 그동안 예견됐던 기술 환경과 시장 환경 변화의 여파가 가시화된 해입니다. 지상파 방송은 인터넷 1인 방송의 인기에 주목하고 새로운 프로그램 포맷으로 차용하기 시작했고, 몇몇 비지상파 채널들의 정규 프로그램 시청률이 지상파 채널의 시청률과 경쟁적 관계를 이룰 만큼 상승했습니다. 한국 방송 콘텐츠의 수입 시장이었던 중국은 투자와 인력 흡수를 통해서 콘텐츠 수출국이 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해 나가기 시작했습니다. 1. 방송 포맷의 변화 시작-‘마리텔’과 MCN ‘마이 리틀 텔레비전(이하 ‘마리텔’)’은 텔레비전 방송에 불어 닥친 변화와 변화의 방향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온라인에서..

2015. 12. 14. 09:00
[백년 간 뉴스] 조선의 마지막 호랑이 다시 태어나다!

곧 개봉 예정인 최민식 주연의 영화 는 조선의 마지막 호랑이를 둘러싼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영화의 시대적 배경은 일제 강점기인 1925년 지리산이며, 당시 많은 사람들은 호랑이의 용맹스러움을 칭송하며 신성한 존재로 여겼죠.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사실적으로 잘 옮겨 놓았기 때문일까요? 는 기대되는 화제작 중의 하나인데요. 여기서 궁금증! 왜 일제는 조선의 호랑이를 필사적으로 포획했을까요? 한민족 용맹함의 상징이자, 두려움의 존재였던 호랑이 호랑이는 예로부터 한민족의 용맹함을 상징해왔고, 옛사람들은 산의 왕이라는 의미로 호랑이를 ‘산군山君’이라 칭했습니다. 반면 민간에서는 인명을 앗아가는 두려움의 존재이기도 했는데요. 호환虎患은 조선 시대 사망의 직접적인 제 1 원인이었고, 일제 강점기에 더욱 증가하기..

2015. 12. 11. 14:00
영자신문 지면으로 ‘드루와~ 드루와~’

영자신문을 구독하는 청소년 독자도 많지만 실제 어떻게 신문지면이 구성되는지 모르는 분도 많은 것 같아요. 지면 구성은 신문사 마다 조금씩 틀리지만 공통점도 많습니다. 이런 지면 구성의 공통적인 부분은 오랜 기간 독자들의 편의성을 고려해서 만들어진 것이라 영자신문의 지면 구성을 아는 것은 효율적인 신문 읽기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직접 영자신문의 각 면을 사진으로 찍었습니다. 코리아헤럴드의 경우 평일 20면이라 사진이 20장이나 됩니다. ^^ 이 사진들을 통해서 다독다독 청소년 독자분들이 간접적으로나마 영자신문의 구성을 접해서 좀 더 효율적으로 영어기사를 읽으면 좋겠습니다. (1면) 종합: 가장 중요한 뉴스를 모아 모아~ 영자신문의 1면은 그 날의 핵심 국내외 뉴스가 모아져 있는 가..

2015. 12. 11. 09:00
셀프 출판(self publishing)과 전자책 출판의 만남

한 권의 종이 책이 탄생되면 서점에서 판매되다 매장에서 사라지는 라이프 싸이클(life cycle)을 지니게 됩니다. 고대시대 파피루스에 작성된 책에서부터 지금의 베스트셀러에 이르기까지 모든 책들은 ‘손으로 만질 수 있는(tangible)’ 형태로서 지상에 속한 우리들에게 전달되고 판매되어 읽혀 왔습니다. 하지만 디지털 기술 혁명은 ‘손으로 만질 수 없는(intangible)’ 형태의 전자책을 출현시키고 오디오북, 멀티미디어어북, 앱북(appbook)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가지로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진화된 새로운 책들은 라이프 싸이클이 없습니다. 디지털로 만들어진 존재는 물질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영원한 생명을 지니고 있습니다. 아마존, 아이북스토어 등 전자책을 판매하는 플랫폼들이 모두 ..

2015. 12. 10. 14:03
왜 우리는 집단지성이 없을까

대한민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인터넷 인프라를 설치 해 놓았지만 소모적인 논쟁, 소문, 험담 등 생산적이지 못한 곳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을 부인하기 어렵습니다. 인터넷 맹신론자들은 집단 지성을 이야기하지만 과연 인터넷이 어느 나라보다 활성화 된 우리나라가 왜 생산적인 집단지성 문화가 부족한지 고민하며 반성해야 한다는 시각이 많은 것도 사실입니다. 포탈 사이트의 선정적 운영,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점 등 여러 문제가 있지만 인터넷 업체들의 철학의 부재가 가장 큽니다. 국내 업체들이 집단지성을 위해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은 대부분 경품을 내 걸은 이벤트입니다. 하지만 이벤트를 통한 사용자 참여 유도는 경품 사냥꾼들의 먹이감만 될 뿐 순수 일반 이용자 참여에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조금 더 생산..

2015. 12. 10. 09:00
1 ··· 210 211 212 213 214 215 216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