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1)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책 뉴스읽기뉴스일기 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이벤트 스마트폰 기자 NIE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뉴스리터러시 공모전 다독다독 독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교육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신문 뉴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18)

  •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11월 3주)

    2015.11.17
  • 채널 해방! 방송 콘텐츠의 온라인 출사표

    2015.11.16
  • [백년간 뉴스] 군사작전을 방불케 한 배추수송작전

    2015.11.16
  • 뉴스의 브랜드화와 변형된 롱폼 저널리즘

    2015.11.13
  • 호기심에서 출발하는 영자신문 읽기

    2015.11.13
  • “읽고 쓰는 과정에 놀라운 힘이 있다” 작가 한강의 독(讀)한 습관

    2015.11.12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11월 3주)

서평 전문기자들이 선정한 새로 나온 책 TOP 3. 쌀쌀한 바람이 옷깃을 점점 여미게 합니다. 이러다가 금방 겨울이 될 것만 같은데요~ 2015년도 벌써 한 달 조금 넘게 남았습니다..ㅠㅠ 다독다독 여러분들은 올해 목표했던 독서량은 모두 채우셨나요? 남은 기간 동안이라도 열심히 해보자구요! 이번주 새로 나온 책입니다~!! 1위는 남성다움의 전형으로 일컬어지는 중세의 기사는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살펴보는 “남자의 품격”, 2위는 월경이 어떻게 인류의 역사 가운데 여성 억압과 권력 생산의 수단이 되었는지 고찰한 “월경의 정치학”, 3위는 천재성과 광기의 비밀스런 메커니즘을 역사 속 유명인들의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분석해보는 “미쳤거나 천재거나”입니다. 1위 : 남자의 품격 차용구 지음 | 책세상 | 2015년..

2015. 11. 17. 09:00
채널 해방! 방송 콘텐츠의 온라인 출사표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스토리캠프 대표 김해원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죄인들에게도 기회를 주는구나…! 인터넷이니까….” “형, 왜 여기서 MC를 하려고 해? 여긴 인터넷이잖아!” -‘신서유기’ 1, 2회 중에서- 공중파 예능 프로그램 ‘1박2일’의 스타 플레이어였던 강호동, 이수근, 은지원은 그들의 표현대로 “매일 아침 댓글로 욕먹으며” 하루를 시작하던, 이른바 ‘좀비’ 연예인이었습니다. 그들이 어떤 죄(?)를 저질렀는지 기억조차 나지 않는 2015년 여름, 드디어 부활의 기회가 주어집니다. 하지만, 이들에게 주어진 무대는 이름하여 ‘인터넷’. 이곳은 모든 잡탕 문화가 뒤섞여 소용돌이치는 B급의 고향, 떠돌이들의 안식처입니다. ‘신서유기’는 과연 구원을 위한 면죄부가 될 수 있을까요?..

2015. 11. 16. 14:00
[백년간 뉴스] 군사작전을 방불케 한 배추수송작전

아침에 일어나면 으슬으슬, 벌써 겨울이 성큼 다가온 것 같습니다. 더위가 물러간지도 얼마 안 된 것 같은데 말이죠. 요즘은 장롱에서 조금씩 두꺼운 옷을 꺼내면서 계절의 변화를 느끼고 있는데요. 어릴 적에는 어머님이 김장을 위해 소금에 한아름 절여놓은 배추를 보면서 '아, 이제 곧 겨울이구나.' 했던 기억이 납니다. 오늘은 바로 그 '김장 김치'에 대한 얘기를 가지고 왔습니다. 밥상에 김치가 없으면 얼굴에 코가 없는 거 같고 지금이야 냉장고가 일반화되어 한여름에도 보관에 문제가 없지만, 예전에는 신선한 채소의 영양소를 보존하면서 오랫동안 먹을 수 있는 음식이 생존에 필수적이었습니다. 이런 연유로 나온 게 우리의 대표 음식인 김치인데요. 겨우내 먹을 김치를 담그는 김장을 '겨울의 반 양식'이라 할 정도로 중..

2015. 11. 16. 09:00
뉴스의 브랜드화와 변형된 롱폼 저널리즘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동덕여대 교양학부 교수 홍원식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영화 ‘백투더퓨처’에 나왔던 많은 장면들이 새삼 화제가 되기도 했지만, 손바닥보다도 작은 핸드폰이 우리 세상을 이렇게 바꾸리라는 것은 그 어떤 영화에서도 상상하지 못했던 일일 듯합니다. 가히 우리 삶의 모든 것이 모바일 기기로 통섭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방송 서비스에 있어서도 모바일의 특성에 기반한 디지털 플랫폼은 점점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플랫폼의 생태계에서 탄생한 넷플릭스, 훌루 등과 같은 OTT 사업자들은 날로 성장하고 있으며, 그 화려함 뒤에서 기존 방송 사업자들은 제로TV, 코드커팅 같은 암울한 용어들에 점점 더 익숙해져 가고 있습니다. 방송사들의 적극적 대응 시작 2014년부터..

2015. 11. 13. 14:00
호기심에서 출발하는 영자신문 읽기

안녕하세요, 다독다독에서 을 연재했던 양승진 기자입니다. 2013년 3월부터 2014년 9월까지 31편의 영자신문 읽기 시리즈를 쓰면서 스스로 많이 배우고 독자 분들의 반응에 큰 보람을 느꼈었습니다. 다시 다독다독을 통해 인사를 드리게 되어 매우 반갑고 고맙습니다. 기존의 시리즈는 사실 영자신문 읽기의 전반적인 이론과 노하우의 대부분을 꽤 자세히 다루었다고 생각합니다. 영자신문의 구조와 특성, 학습 방법 등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을 드렸고, 이론적인 부분도 논의를 해서 원래 목표로 한 직장인 독자의 수준을 감안해도 어려운 부분이 없지 않았습니다. 영자신문 Talk의 시즌2에 해당하는 이번 연재는 이라는 제목처럼 좀 더 쉽고 재미있는 내용 중심으로 영자신문을 읽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청소년 독자분들이 영자신..

2015. 11. 13. 09:00
“읽고 쓰는 과정에 놀라운 힘이 있다” 작가 한강의 독(讀)한 습관

지난 11월 3일,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는 '2015 독(讀)한습관' 6번째 강연이 열렸습니다. 이번 강연의 주인공은 ‘소년이 온다’, ‘바람이 분다, 가라’의 저자인 한강 작가입니다. 한강 작가는 1994년 서울신문 ‘붉은 닻’이라는 작품으로 등단을 했습니다. 등단 이후 꾸준하게 작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현재는 대학 강단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특히 한강 작가는 2005년 소설 ‘몽고반점’으로 ‘이상문학상’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당시 1970년대생 작가로는 첫 수상이자, 당시 심사위원 7인의 전원일치 평결로 선정될 정도로 문단에서 주목받는 작가입니다. 어릴 적부터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독서습관 이날 한강 작가는 특유의 나긋나긋한 목소리로 자신의 독서인생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습니다. 다른 ..

2015. 11. 12. 14:00
1 ··· 224 225 226 227 228 229 230 ··· 53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