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언론진흥재단 공모전 뉴스 다독다독 독서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 책 미디어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읽기뉴스일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기자 NIE 뉴스리터러시 이벤트 신문읽기 미디어교육 스마트폰 미디어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3)

  • 난민문제, 정말 남의 이야기일까요?

    2015.10.13
  • 비주얼 스토리텔링을 위한 콘텐츠 종류들

    2015.10.13
  • 찌라시의 진실,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

    2015.10.12
  • “상상하기 전에 세 번 관찰해라” 빅데이터 전문가 송길영의 독[讀]한, 습관

    2015.10.12
  • 악플 만연 사회-우리는 더 이상 악플을 악플로만 보아선 안된다

    2015.10.08
  • 언론의 미래, 내일로 통하다

    2015.10.07
난민문제, 정말 남의 이야기일까요?

난민이란 본래 전쟁이나 재난을 당하여 곤궁한 처지에 있는 백성을 뜻합니다. 그런데 이것이 요즘은 인종적, 사상적, 정치적 혹은 전쟁이나 재난을 피해 타국으로 떠나는 집단망명자들을 일컫습니다. 20세기 이후 러시아혁명, 제 1, 2차 세계대전 등을 거치며 크게 증가한 난민의 수는 2014년 UN의 발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6천 만 명에 이르렀습니다. 게다가 2011년 이후 시리아 내전이 지속되면서 최근 유럽은 난민사태라고 불리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인도적인 차원에서 난민들을 수용하는 것이 당연한 듯 보이나, 그 수가 워낙 많다보니 유럽 각국에서도 이를 두고 논쟁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게다가 유럽은 그 옛날 당시 난민이었던 게르만족의 대 이동이라는 역사적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로 인..

2015. 10. 13. 14:00
비주얼 스토리텔링을 위한 콘텐츠 종류들

콘텐츠들이 재료을 서로 융합하여 비주얼 스토리텔링을 펼치는 과정을 콘텐츠 디자인이라고 합니다. 디자이너는 이 다양한 재료들을 가지고 적절한 음식으로 만드는 쉐프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디자이너는 타이포그래피와 일러스트, 이미지, 사진, 도표 등이 편집을 넘어 정보를 디자인하고 예술적 수준과 공감을 느낄 수 있도록 완성해야 하는 역량을 지녀야 합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스마트TV 같은 새로운 디바이스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의사소통과 미디어 사용에서 비주얼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비주얼 콘텐츠의 종류들에 대해 본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시간과 시기, 시대를 표현하는 비주얼 콘텐츠 비주얼 연대기(chronicle) 벌어진 어떠한 특정한 사건들에 대해 시간의 연속적인 흐..

2015. 10. 13. 09:00
찌라시의 진실,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정환닷컴 대표/이정환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증권가 사설 정보지, 이른바 찌라시에 환상을 갖고 있는 같습니다. 우리가 보고 듣는 뉴스는 거대한 진실의 한 조각일 뿐이고 뉴스에 실리지 않는 엄청난 고급 정보를 주고받는 수면 아래의 뉴스 시장이 따로 있다고 말입니다. 은밀한 정보는 원래 더 빨리 더 넓게 퍼지기 마련입니다. 주류 언론에 대한 불신이 클수록 찌라시같은 음성적인 정보에 대한 갈망이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기자들은 날마다 온갖 유형의 찌라시를 여러 경로로 받아보지만 대부분은 이미 알고 있는 정보이거나 혹은 기사로 쓰기에는 부적절하거나 단순한 가십성 이야기거리에 지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애초에 진짜 고급 정보가 찌..

2015. 10. 12. 14:00
“상상하기 전에 세 번 관찰해라” 빅데이터 전문가 송길영의 독[讀]한, 습관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읽기 장려를 위해 2013년부터 주최해 온 독[讀]한, 습관 강연회가 올해에도 어김없이 열렸습니다. 2015년 독[讀]한, 습관은 10월 1일 서울을 시작으로 경기, 인천, 충남과 같은 다양한 지역에서 총 10번 개최됩니다. 저는 올해 독한습관의 시작을 알리는 첫 번째 강연회에서 빅데이터 전문가 송길영의 독[讀]한, 습관을 만나고 왔습니다. 리더(Leader)가 되려면 리더(Reader)가 되어라! 요즘 젊은이들은 다양한 미디어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책을 점점 멀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읽기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고 우리 모두가 알고 있는 것입니다. 실제로 이 시대의 많은 리더(Leader)들의 공통점은 바로 그들이 충실한 리더(Reader)였다는 사실입니다. 독[讀]..

2015. 10. 12. 09:00
악플 만연 사회-우리는 더 이상 악플을 악플로만 보아선 안된다

인터넷에서 악플, 혐오글 등이 넘쳐 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연예인에 대한 악플 수준이었다면 이제는 여시충, 지균충, 맘충, 홍어 등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혐오 발언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전혀 상관 없는 스포츠 기사에도 추천을 제일 많이 받은 글은 해당 기사에 대한 의견을 적은 댓글이 아니라 대통령에 대한 욕인 경우가 포탈 사이트 뉴스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가끔은 선수가 부진한 것을 대통령에 대한 욕으로 연결 시킬 수 있는 상상력을 동원한 창의성에 놀라는 경우까지도 있습니다. 범죄 기사가 올라오면 해당 행위를 한 사람을 욕하는 것이 아니라 기사의 출처, 참고 사진의 지역 등 온갖 정보를 추적해 해당 지역 사람을 싸 잡아 욕을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때문에 국내 네티즌의 온라인 문..

2015. 10. 8. 09:00
언론의 미래, 내일로 통하다

‘내일로 통하다’라는 주제로 열린 중앙미디어콘퍼런스 지난 달 21일, 아직 오전 9시도 되지 않은 시각이었지만,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는 많은 사람들로 붐비었습니다. 무슨 일인 걸까요? 그것은 바로 중앙일보 창간 50주년을 기념하여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에서 ‘중앙미디어콘퍼런스’가 열렸기 때문인데요. 이번 콘퍼런스는 ‘내일로 통하다(Know Way Out)’라는 주제로 개최되었고, 세계적인 전문가들이 초청되어 미디어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논의를 하는 자리였습니다. 언론이 처한 위기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콘퍼런스에 참여할 수 있었답니다. 총 4개의 세션으로 이루어졌고, 각 세션마다 3~4명의 연사가 20~30분 정도의 강연을 하는 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세계적으로 명망있는 인사들..

2015. 10. 7. 14:00
1 ··· 225 226 227 228 229 230 231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