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리터러시 이벤트 책 다독다독 신문읽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교육 NIE 신문 한국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기자 뉴스 독서 스마트폰 공모전 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조선 독서법과 ‘에버노트’

    2015.06.22
  • 작은 의심이 밝혀낸 대형마트의 ‘꼼수’

    2015.06.22
  • 출발점에 선 저널리즘의 ‘SNS 윤리’

    2015.06.19
  • 팟캐스트 저널리즘의 특징과 현황

    2015.06.19
  • 기술의 발달에 따른 미디어 환경의 변화

    2015.06.18
  • 대학이 무슨 소용? 나의 꿈은 공무원

    2015.06.18
조선 독서법과 ‘에버노트’

어원적으로 ‘독서(讀書)’라는 단어는 ‘소리 내어 읽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답니다. 그래서 옛날에는 독서한다는 것은 당연히 청아한 목소리로 소리 내어 읽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소리 내어 읽는 다는 것은 독서 계보 상에서 보면, 음독에 해당됩니다. 책과 독자가 혼연일체가 되는 과정,음독(音讀) 책 속의 글자 하나하나를 소리 내어 읽는 것은 책과 독자가 혼연일체가 되는 과정이며, 몰입의 경지에 이르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음독은 책의 내용을 온 몸으로 체득하는 것으로, 책 속의 의미를 ‘깨닫는 방법’으로 주로 활용되었습니다. 이러한 음독은 공개적인 독서방법이기도 했습니다. 아이가 방안에서 소리 내어 읽으면, 공부하고 있다는 것이 공개되는 셈입니다. 또한 무슨 책을 읽는 가가 알려져, 책 읽는 사람의 지적수준이..

2015. 6. 22. 14:00
작은 의심이 밝혀낸 대형마트의 ‘꼼수’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동아일보 소비자 경제부 기자/ 한우신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기자가 의심하는 문제가 모두 뉴스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의심하지 않는 문제는 뉴스가 되지 않습니다. 동아일보 기사 ‘대형마트 파격 할인의 배신’의 시작은 작은 의심이었습니다. 팀 회의 시간에 누군가 ‘대형마트에서 파는 제품의 가격이 시기별로 어떻게 변했는지’ 알려주는 스마트폰 앱이 있다는 말을 했습니다(실제로 이 앱은 우리 기사가 나가고 얼마 후 방송사에서 뉴스로 보도되기도 했습니다). “왜 이런 앱이 생겼을까”에 대한 의문이 들었습니다. 앱이 생긴 건 소비자들이 대형마트의 상품이 예전에는 얼마였는지 궁금해 하는 탓일 터. 과거 가격이 궁금한 건 대형마트들이 ‘현재 판매 가격’이 과거보다 할인된..

2015. 6. 22. 09:00
출발점에 선 저널리즘의 ‘SNS 윤리’

다양한 뉴스 접촉 통로…매스미디어, 포털, 그리고 SNS 우리나라에서 이용자들이 뉴스를 주로 접할 수 있는 경로는 대략 3가지로 모아지는 듯합니다. 첫째 전통적인 종이신문과 방송 등 매스미디어라 불리는 기성 매체, 둘째 상당수의 언론사가 자의반 타의반으로 의존하고 있는 포털 사이트, 셋째 SNS와 같은 소셜 미디어입니다. TV가 선전 중이긴 하지만 매스미디어 전체로 보면 이용률이 예전에 비해 현저히 줄었습니다. 포털에 접속해 뉴스를 소비하는 이용자가 개별 언론사의 홈페이지에 직접 접속하는 이용자들보다 많습니다. SNS 활용은 시작 단계에 있지만 스마트폰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언론사들마다 SNS 마케팅에 적극 나서고 있는 만큼 잠재력이 다분합니다. 포털 중심 유통 구조 속에서 다른 길은 없나? IMF 전까지..

2015. 6. 19. 13:45
팟캐스트 저널리즘의 특징과 현황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교수 / 이미나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2013년부터 2학기에 학부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을 하고 있습니다. 수업 과제 중의 하나가 팟캐스트 제작입니다. 서너 명이 팀을 구성해 3회 정도의 오디오 방송을 제작하는데 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해 방송 채널을 만들고 제작한 내용을 방송합니다. 아이튠즈(iTunes)에 팟캐스트 등록 신청을 하기도 하는데 실습으로 하는 실험용 성격이 짙어서 하고 싶은 학생들만 신청하게 합니다. 그래도 다른 사람이 방송을 들었는지 모니터하는 과정은 과제수행 보고서에 반드시 포함시킵니다. 2005년에 사전 등록 2013년 가을은 ‘나는 꼼수다’가 이미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어서 팟캐스트가 학생들에게 생..

2015. 6. 19. 09:00
기술의 발달에 따른 미디어 환경의 변화

기자가 좋은 글과 사진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대부분 기자의 양심과 기자 정신 같은 정신적 가치에 가장 큰 의미를 부여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정신적 가치가 가장 중요합니다. 하지만, 때로는 높은 상부 구조적 가치보다 저변에 깔려있는 기술 같이 하부적 바탕이 때로는 더 많은 것을 결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진의 발달로 뒤바뀐 전쟁상황 매스 미디어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전쟁의 불쏘시개가 되어 전쟁을 키우기도 하고 때로는 전쟁의 참혹성을 알려 반전 운동을 이끌어 내 전쟁을 끝내는데 큰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 시대적 상황으로 기자 윤리가 크게 높아지거나 특정 시기에 기자 윤리가 땅에 떨어져서가 아니었습니다. 기자 윤리와 무관하게 당시 기술 수준에 따라 결정되기도 ..

2015. 6. 18. 14:00
대학이 무슨 소용? 나의 꿈은 공무원

갈수록 취업의 문턱이 높아져가고 있습니다. 4년제 대학교를 나와도 좋은 직장에 취직된다는 보장도 없고 굳이 비싼 돈 들여가며 대학 나온다고 해도 달라질 건 없다는 인식이 많습니다. 무엇을 하든 열심히만 하면 꿈은 이뤄진다는 말이 이제 허풍처럼 들립니다. 소 팔아 마련한 등록금으로 열심히 공부해 성공의 기로에 선 이들은 배부른 소리라고 할지도 모릅니다. 많은 이들이 대학에 가기 위해 노력했고 등록금 마련을 위해 가진 것을 팔거나 힘든 노동을 하고도 취업은 갈수록 힘이 듭니다. 사실 대학을 반드시 나와야 되는 것도 아니지만 대학에서 열심히 공부하면 취업이 보장됐던 시대와 달리 지금은 대학 졸업자 취업률이 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보다 더 낮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지난해 대졸 취업률 IMF 때보다 낮..

2015. 6. 18. 09:00
1 ··· 251 252 253 254 255 256 257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