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44)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이벤트 독서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미디어 스마트폰 책 공모전 기자 신문 뉴스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다독다독 한국언론진흥재단 NIE 계간미디어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 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44)

  • 53년 전 신문기사로 본 오늘 (4.19)

    2013.04.19
  • 생각의 전환 ‘라면샌드위치’ 가능하려면?

    2013.04.18
  • 다독다독 대학생 서포터즈 합격자 발표

    2013.04.17
  • 뉴스스탠드 시행 2주,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

    2013.04.17
  • 꿈꾸는 청춘의 손에 쥐여 주고 싶은 한 권의 책

    2013.04.16
  • 인사담당자 어의없게(?) 만드는 불합격 자소서

    2013.04.16
53년 전 신문기사로 본 오늘 (4.19)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아마 모든 분들이 알고 계실 대한민국 헌법 제1장 제1조와 2조입니다. 그렇다면 그 헌법 전문에서도 인정하는 우리나라의 두 뿌리가 되는 역사적 사건을 아시나요? 바로 3.1 운동과 4.19 혁명입니다. 대한국민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이념을 계승한다고 적혀있죠. 오늘은 바로 대한민국의 뿌리가 되는 4.19혁명 53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뜻 깊은 날에 당시부터 지금까지 신문 기사들은 4.19를 어떻게 조명하고 있는지 살펴볼게요. [출처 – 서울신문] 4.19 혁명이 일어난 배경 우리나라의 초대 대통령이었던 이승만은 국민들의 기대와는 달리 안타깝게도 1848..

2013. 4. 19. 09:43
생각의 전환 ‘라면샌드위치’ 가능하려면?

‘라면샌드위치’를 아시나요? 보통 우리가 생각하는 샌드위치는 고소한 식빵 사이에 다양한 채소와 햄, 치즈가 들어간 형태를 떠올리게 되는데요.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라면샌드위치’는 이런 고정관념을 깨고 라면 사이에 치즈와 햄을 끼워 만들었습니다. 이 ‘라면샌드위치’는 오늘 우리가 생각해볼 ‘강제결합법’의 적절한 예시로 볼 수 있는데요. 서로 상관없는 아이디어나 물건들을 결합해 새로운 아이디어나 물건을 재생산해내는 활동이 바로 ‘강제결합법’입니다. 이러한 ‘강제결합법’이 아이의 창의력 키우기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사실! 오늘은 신문을 활용한 ‘강제결합법’ NIE에 대해 살펴볼까 합니다. ▶라면햄 샌드위치, 레시피 봤더니.. ‘식빵 없을 때 대박상품’ (서울신문,2013-04-15) ▲라면샌드위치 [출처-..

2013. 4. 18. 09:56
다독다독 대학생 서포터즈 합격자 발표

2013. 4. 17. 14:48
뉴스스탠드 시행 2주,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

N포털 사이트의 신문보기 방식이 로 바뀐 지도 2주가 지났습니다. 기존에 제목을 통해 독자를 끌어들이던 방식에서 신문 지면을 그대로 가져와 게재하는 방식을 택한 는 도입부터 온라인에서 뜨거운 감자였습니다. 논란의 중심이었던 를 시작한지 2주가 지난 지금, 초기부터 거론되었던 언론사 트래픽 감소가 역시나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되었습니다. 50%이상 감소한 방문자 수에 많은 언론사는 충격을 감추지 못했는데요. 포털사이트 하나로 언론사 전체가 들썩이게 된 이유, 현재 온라인 뉴스 생태계는 어떤 변화를 앓고 있는 것일까요? ▲ 신문 가판대 포털사이트와 언론사의 갈등, 첫 시작부터 많은 언론사들의 우려를 샀던 도입이 2주가 지난 지금, 예상보다 더 큰 후유증이 몰아쳤습니다. 무료로 포털사이트에 기사를 제공하는 언론..

2013. 4. 17. 09:54
꿈꾸는 청춘의 손에 쥐여 주고 싶은 한 권의 책

우리는 인생을 살면서 누구나 성공한 삶을 살기를 바란다. 하지만 과연 어떤 삶이 우리가 바라는 성공한 삶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우리 사회에서는 누구나 성공이라는 것을 바라지만, 그 성공이라는 기준이 상당히 모호한 경우가 많다. 특히 지금 대학교에 다니고 있는 대학생이나 중고등학교에 다니는 많은 학생의 성공 기준은 부모님이 바라는 대로 ‘명문대 진학과 고스펙을 획득하여 좋은 기업에 취업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물론, 세간에서는 그런 것을 가리켜 ‘성공’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자신의 인생에서 보았을 때 행복하지 않고, 즐겁지 않다면 그것은 성공이라고 말할 수 없다. 누군가는 ‘삶이 다 그런 것이 아니겠느냐?’고 말할지도 모르겠지만, 그런 삶을 살아봤자 막연한 후회만이 가슴에 쌓이게 되고..

2013. 4. 16. 14:13
인사담당자 어의없게(?) 만드는 불합격 자소서

공채시즌이 계속되며 바쁘고 마음 졸이는 분 많으실 텐데요. 옛말에 바쁠수록 돌아가라는 말이 있죠. 잠시 심호흡을 하고 기본을 돌아보는 건 어떨까요? 기업들이 예전처럼 스펙을 보기보다 사람됨에 관심을 두기 시작하면서 이력서는 물론 자기소개서의 비중이 많이 늘어났습니다. 하지만 좋은 내용을 꽉꽉 채워넣고도 맞춤법 때문에 최악의 자소서로 취급받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이런 기초적인 부분을 간과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고 하는 데요. 과연 자소서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요? [출처 – 서울신문] 인사담당자가 선호하는 자기소개서 키워드는? 한 채용 업체의 조사에 의하면 기업 인사담당자에게 호감이 가는 자소서와 최악으로 꼽는 자소서에는 일정한 패턴이 있다고 합니다. 호감 가는 키워드 – 팀워크, 책임감, 성실..

2013. 4. 16. 09:55
1 ··· 412 413 414 415 416 417 418 ··· 541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