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1)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책 독서 이벤트 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기자 뉴스리터러시 스마트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NIE 다독다독 미디어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교육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뉴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1)

  • 면접을 대비한 기업 정보, RSS 리더로 쉽게 받아보자

    2011.06.03
  • 댓글로 통하는 독서모임, 소셜북스를 아세요?

    2011.06.02
  • 요즘 아이들이 읽기에 집중하지 못하는 3가지 이유

    2011.06.02
  • 보도사진상을 수상한 사진기자가 쓰는 카메라는?

    2011.06.01
  • 북한 신문에 기자 실수로 오탈자가 생긴다면?

    2011.06.01
  • 일본 '아침독서운동' 우리나라와 결정적 차이점은..

    2011.05.31
면접을 대비한 기업 정보, RSS 리더로 쉽게 받아보자

지금 직장을 다니고 있는 사람들도 이력서를 작성하기 위해 기업 홈페이지를 방문해본 기억이 있을 겁니다. 취업을 위해 이력서를 작성하려면 해당 기업의 정보를 최대한 파악한 후 작성을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대학생들의 이력서나 면접상황을 보면 이런 기본적인 것들이 잘 되어있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취업, 인사 포털 사이트 인크루트의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기업 정보를 충실히 파악한 지원자가 17.7%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었죠. 면접을 대비한 기업 정보, 어떻게 습득할 수 있을까? 기업 면접에서는 사업영역, 제품, 서비스에 관한 질문이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 아무리 훌륭한 능력이나 자질을 갖추고 있다고 하여도 지원 기업에 대한 정보조차 충분히 숙지하..

2011. 6. 3. 09:14
댓글로 통하는 독서모임, 소셜북스를 아세요?

좋은 책이란 물론 거침없이 읽히는 책이다. 그러나 진짜 양서는 읽다가 자꾸 덮히는 책이어야 한다. 한두 구절이 우리에게 많은 생각을 주기 때문이다. 이렇듯 양서란 거울 같은 것이어야 한다. 그래서 한 권의 책이 때로는 번쩍 내 눈을 뜨게 하고, 안이해지려는 내 일상을 깨우쳐 준다. - 무소유 본문 中 (법정스님) 스마트폰 1000만대 시대에 맞춰 짧은 메시지를 주고 받는 소셜네트워크(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뉴스나 속보를 전달하는 공적인 기능은 물론, 자투리 시간을 보내거나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개인적인 공간으로서의 역할도 겸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이런 단문 메시지를 선호하는 경향이 늘수록, 반대로 책에 대한 관심은 매우 하락하고 있습니다. ..

2011. 6. 2. 12:57
요즘 아이들이 읽기에 집중하지 못하는 3가지 이유

“자, 자유롭게 독서하는 시간이에요.” 우리 반은 1주일에 한번 아침자습으로 자율독서활동을 갖습니다. 10여 년 전 처음 교단에 섰을 때만 해도 아이들은 독서하는 시간을 일부러 시간 내어 갖게 해주면 환호성을 올리며 좋아했답니다. 요즘 아이들은 독서하는 시간이라고 해도 시무룩한 표정을 지으며 그다지 반기지 않는 눈치입니다. 책 읽기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며 부모님들이 책 읽기교육에 열을 올리고 있는 사회풍토와는 정반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학교에서 하는 독서활동시간에 만화책을 찾는가 하면 책장만 만지작거리며 읽는 것 자체를 힘들어하는 모습은 현재 우리 아이들 읽기교육의 현주소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왜 아이들은 책 읽기를 싫어할까요? 우리 아이들이 책 읽기를 힘들어하는, 어쩌면 더 나아..

2011. 6. 2. 08:56
보도사진상을 수상한 사진기자가 쓰는 카메라는?

흔히 사진을 찰나의 예술, 순간의 아름다움이라는 말로 표현합니다. 퓰리처상을 수상하거나 각종 전시회에 소개된 사진을 보면, 그 잠깐의 순간을 사각틀에 담아내기 위해 몇날 며칠을 인내하며 찍어낸 경우도 많다는 걸 알 수 있는데요. 특히 신문에서는 길게 쓴 기사보다 한장의 사진이 모든 것을 말해줄 수 있을만큼 그 영향력이 대단하다고 할 수 있죠. 한국사진기자협회에서는 이렇게 사진기자들의 노력이 담긴 사진을 알리고, 많은 사람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이달의 보도상’을 선정하고 있습니다. 지난 99회 이달의 보도상에서는 ‘그래도 난 멈추지 않는다’라는 주제로 서울신문의 정연호 기자가 생활 스토리 부문 수상의 영예를 안았는데요. 과연 정기자가 바라본 카메라 렌즈 속 세상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아스팔트가 ..

2011. 6. 1. 14:07
북한 신문에 기자 실수로 오탈자가 생긴다면?

전 세계에 존재하는 신문 중 오자(誤子)나 탈자(脫子)를 가장 찾기 힘든 신문은 어느 신문일까요? 물론 세계 모든 신문을 다 보는 사람이야 없겠지만, 만약 제가 이런 질문을 받는다면 주저 없이 “북한 노동신문”이라고 대답할 것입니다. 그 이유는 노동신문만큼 교열 단계가 많은 신문은 세계에 아주 극소수 밖에 존재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제가 전혀 없다고 하지 않고 극소수라고 답한 이유는 위에서 쓰다시피 제가 전 세계 신문을 다 보진 못했기 때문입니다. 혹시 모르죠. 중국의 인민일보도 교열시스템이 아주 철저할 수도 있죠. 교열 실수하면 바로 ‘혁명화’ 직행 그러나 분명한 것은 오자를 냈을 때 처벌은 북한이 가장 심하다는 점이죠. 교열 기자들이 실수로 김정일 관련 기사의 표현에 오자를 냈으면 그는 바로 ..

2011. 6. 1. 09:03
일본 '아침독서운동' 우리나라와 결정적 차이점은..

‘어린이에게 책은 미래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아이들에게 책은 가보지 못한 나라를 가보고, 경험해 보지 못한 세상을 알게 해주는 창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부모님들도 어린 시절에 되도록이면 많은 책을 읽히려고 합니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에서는 살펴볼 수 없는 독특한 경향이 하나 있는데요. 아이가 본인이 읽고 싶은 책을 직접 고르는 것이 아니라, 부모님이 골라준 책을 읽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아이들이 읽게 되는 책은 대부분 고전이나 교양서적 등 향후 학교를 다닐 때 도움이 되는 ‘선행학습’용 서적이 주류를 이루게 되는데요. 왕성한 호기심으로 여러 가지 책을 읽으며 상상의 나래를 피워야 할 시기에 이미 부모가 정한 ‘틀’에 갇히게 되는 셈입니다. 이런 불필요한 가이드라인으로 인해 다양..

2011. 5. 31. 13:46
1 ··· 518 519 520 521 522 523 524 ··· 53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