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 스마트폰 이벤트 신문읽기 미디어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NIE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책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 독서 기자 뉴스 미디어교육 언론진흥재단 공모전 뉴스리터러시 다독다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책 안 읽는 청소년’ 일본의 해결책은?

    2011.05.18
  • 한 여자의 꿈을 이루게 해준 신문 스크랩 이야기

    2011.05.18
  • 직장인 독서를 위한 4가지 제안

    2011.05.17
  • 월드 IT쇼에서 찾아본 출판물의 미래

    2011.05.17
  • 아빠와 맞짱토론하는 고등학생 딸아이의 비결

    2011.05.16
  • 신문 1면을 내 얼굴로 채울 수 있는 ‘신문 박물관’

    2011.05.16
‘책 안 읽는 청소년’ 일본의 해결책은?

2008년 4월 11일 필자는 일본 요코하마와 신주쿠를 연결하는 JR 신주쿠-쇼오난라인의 열차에 탑승하고 있었습니다. 출근 시간이어서 승객들로 복잡한 객실에서 한 가지 재미있는 풍경을 볼 수 있었습니다. 40대 중반 이후로 보이는 7~8명은 열심히 책을 읽고 있었습니다. 얼핏 살펴보니 그림 한 점 없이 문자만 빼곡하게 들어찬 책이더군요. 대부분 문고판 크기로 하차할 때엔 읽던 책을 주머니에 쏙 넣었습니다. 출근길에 요코하마와 신주쿠를 연결하는, 혼잡한 급행 열차를 타고 자투리 시간을 쪼개 독서하는 모습이 신선하게 다가왔지요.그런데 이것과 대비되는 장면도 볼 수 있었습니다. 젊은 층일수록 독서를 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젊은이 10여 명은 손 전화나 휴대용 게임기를 만지작거리고 있었습니다. 일부는 눈을 감고..

2011. 5. 18. 15:03
한 여자의 꿈을 이루게 해준 신문 스크랩 이야기

여러분에게 누군가 갑작스레 ‘지난 주 가장 이슈가 됐던 뉴스는?’이라고 질문을 한다면, 혹시 바로 대답할 수 있나요? 어떤 이야기가 화제가 됐는지는 알 수 있더라도 자세하게 설명하기에는 막막한 질문일 수 있는데요. 이런 질문을 받더라도 막힘없이 술술 대답할 수 있다면, 비결은 바로 ‘신문기사 읽기’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한 읽기가 아닌 신문의 정보를 내 것으로 만들어야 진정한 신문읽기라고 할 수 있겠죠. 그렇다면, 어떻게 신문의 정보를 제대로 흡수할 수 있을까요? 많은 방법이 있겠지만 신문이 없으면 하루도 살 수 없다는 신문 애독자들이 한결같이 활용하는 방법은 바로 ‘신문 스크랩’입니다. 신문 스크랩이 마냥 귀찮고 시간 낭비라는 생각이 들 수 있겠지만, 스크랩을 통해 자신의 꿈을 이룬 애..

2011. 5. 18. 09:09
직장인 독서를 위한 4가지 제안

직장생활 7년 차로 접어듭니다. 처음 5년간은 기차 출퇴근을 했는데 회사까지 왕복 1시간 20분이 걸렸답니다. 그러니 매일 아침, 저녁으로 꼬박 기차 안 객실에 앉아 1시간 20분을 소비해야 했지요. 제 출퇴근 복장은 남과 다를 바 없었지만, 다른 게 있었다면 손에 든 가방이었죠. 마치 고3 학생의 책가방처럼 두툼한 날이 많았거든요. 가방 안에는 그날 왕복 출퇴근 기차 안에서 읽을 책과 신문이 들어있었죠. 필기구를 담은 필통까지 들어 있었으니, 매일 출퇴근길은 공부하는 시간이나 마찬가지였답니다. 그래서 출퇴근길이 오히려 기다려지곤 했습니다. 그때 들인 습관 때문인지 2년 전부터는 자동차 출퇴근을 하지만, 매일 책 읽고 신문 보는 습관은 바뀌지 않았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읽기 습관을 갖고 계시나요? 독서는..

2011. 5. 17. 13:35
월드 IT쇼에서 찾아본 출판물의 미래

지난 주 5월 11일부터 14일까지, 국내외의 첨단 IT기술을 알아볼 수 있는 ‘월드 IT쇼’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렸습니다. 모바일 및 디스플레이 분야의 트렌드는 물론, 최신 휴대전화나 TV 등 우리생활과 밀접한 최신 기기도 구경할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손꼽아 기다리던 전시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이런 IT기술로 인한 태블릿PC나 스마트폰의 발달은 무엇보다 신문이나 책 같은 ‘읽기문화’에도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앞으로의 미디어는 어떤 변화를 겪게 될까요? 또, 출판물들은 어떤 모습으로 진화하게 될까요? 이런 관점에서 둘러본 월드 IT쇼, 그 현장을 소개합니다. 시대의 대세, 3D와 소셜네트워크 이번 행사를 한 마디로 정의하자면 ‘3D 향연’이라고 할 수 있..

2011. 5. 17. 09:07
아빠와 맞짱토론하는 고등학생 딸아이의 비결

내가 언제부터 신문을 읽기 시작했는지 정확히 기억은 나지 않지만, 아마 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였을 것이다. 그때부터 아주 조금씩이라도 거의 매일 읽어왔으니, 거의 6년째 되어가는 셈이다. 그러면서 신문 읽기는 차차 내 삶의 일부가 되어갔고, 이젠 정말 밥 먹을 때에도 신문을 펼쳐 본다. 그만큼 신문은 내 삶에서 각별한 존재가 되었다. 나는 상식을 쌓기 위해서나 강요에 의해서 신문을 보기 시작한 것은 아니다. 어렸을 때부터 책 읽기를 정말 좋아했는데, 초등학교 5학년 때의 어느 날 학교에서 돌아오니 딱히 읽을만한 것이 없었다. 가만히 앉아서 둘러보니 신문이 눈에 들어왔고, 이거라도 읽어보자는 심정으로 읽기 시작했다. 그동안 신문은 그냥 재미없는 것, 아빠만 읽는 것이라는 생각이 박혀 있었는데 막상 읽어보니..

2011. 5. 16. 13:24
신문 1면을 내 얼굴로 채울 수 있는 ‘신문 박물관’

가정의 달 5월, 따뜻한 봄날을 맞아 가족나들이를 준비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모처럼 나서는 나들이 길, 이왕이면 문화도 함께 즐길 수 있다면 더 좋을 것 같은데요. 다양한 테마 박물관이 밀집한 광화문 인근은 문화와 재미를 한번에 즐길 수 있는 명소로 유명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특색 있는 곳을 꼽으라면 동아 미디어센터에 있는 ‘신문 박물관’을 들 수 있을텐데요. 신문 박물관에 입장하면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이 세계 80여 나라에서 발행된 2000년 1월 1일자 130여종의 신문입니다. 130여종의 신문을 한자리에 모아 문화적 특성을 비교해 볼 수 있도록 전시하고 있는데요. 국내외의 주요신문과 뉴스 전문채널의 보도 상황을 PDP 대형화면을 통해서도 볼 수 있습니다. 가장 재미있게 본 코너, ‘신문의 역사..

2011. 5. 16. 09:24
1 ··· 519 520 521 522 523 524 525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