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 뉴스 다독다독 한국언론진흥재단 책 독서 이벤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스마트폰 기자 NIE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리터러시 공모전 신문읽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교육 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89)

  • 파파라치, 네티즌 수사대 ‘비뚤어진 대중의 호기심’

    2011.05.24
  • TV 없는 우리 집이 세상 보는 방법

    2011.05.24
  • '대학생이 질문하고 초등학생이 답하는’ 인터넷 지식의 위험

    2011.05.23
  • 보고나면 까먹는 일회성 정보의 시대, 올바른 해법은?

    2011.05.23
  • 신문에서 창의력을 배우는 아이들

    2011.05.20
  • 온라인 뉴스 대신 종이 신문 속에서 균형 찾는 방법은?

    2011.05.20
파파라치, 네티즌 수사대 ‘비뚤어진 대중의 호기심’

사례 1 영국 왕실과 사돈을 맺은 미들턴 집안이 타블로이드 신문과 파파라치들의 집요한 사생활 추적에 정면 대응을 선언했습니다. 영국 왕위계승 서열 2위 윌리엄 왕자와 결혼한 케이트 미들턴이 유명세를 타면서 현지 타블로이드 신문들은 연일 그녀와 가족들의 일상사를 쏟아내고 있는데요. 얼마 전에는 케이트 미들턴과 여동생 피파의 비키니 사진이 공개되기도 했습니다. 그동안 언론 보도에 침묵하다시피 해온 미들턴 가족은 사생활 침해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며 영국 언론고충처리위원회에 정식으로 불만을 제기했는데요. 앞서 1997년 윌리엄 왕자의 어머니 故 다이애나비 역시 파파라치를 따돌리다가 난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었습니다. 사례 2 가수 서태지와 배우 이지아가 위자료 및 재산분할 소송 중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네..

2011. 5. 24. 13:25
TV 없는 우리 집이 세상 보는 방법

엄마, 아빠가 신문을 즐겨 보니까 아이들도 신문을 넘겨보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아홉 살 큰 아이는 처음에 한 꼭지의 만평을 보느라 신문을 찾다가 조금씩 대문 사진도 보고 이런 저런 기사들 중에 제 관심을 끄는 것이 있나 찾아보기도 하게 되었습니다. 뭐든지 오빠를 따라 하는 다섯 살 여동생도 함께 들여보다 보니, 자연스럽게 두 아이와 함께 신문을 보며 세상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이 늘게 되었습니다. 아이들과 신문을 볼 때면 늘 벽에 세워두고 있는 커다란 세계지도를 곁에 가져다 놓습니다. ‘시리아’에 대한 기사가 실리면 기사를 읽고 지도에서 시리아의 위치를 찾아 보기 위해서인데요. 세계 지도에는 나라별로 주요 도시까지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세계지리 공부까지 같이 할 수가 있습니다. 신문을 보며 세계..

2011. 5. 24. 09:29
'대학생이 질문하고 초등학생이 답하는’ 인터넷 지식의 위험

요즘 학교나 기관에서 신문을 교재로 활용하는 신문활용교육(NIE)이 활성화 되고 있지만, 정작 교육을 받는 아이들은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부모님이나 선생님에게 떠밀려 어쩔 수 없이 수업을 듣는 경우도 있는데요. 과연 어떻게 해야 스스로 흥미를 느끼는 NIE가 될 수 있을까요? 지난 5월 19일 문화체육관광부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부모와 함께하는 신문활용교육 특강’이 있었습니다. 이 자리에는 언론진흥재단에서 미디어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최정애 씨가 나섰는데요. 과연 그녀는 어떤 힌트를 주었을까요. 세상을 보는 창 신문, 마음을 여는 문 NIE 가정에서 자녀들에게 어떻게 NIE를 할 수 있을까요? 최강사는 재량활동 현장이나 NIE교실을 처음 방문하면, 아이들은 신문에 전혀 관심이 없어하고 그것 또한 수업의 ..

2011. 5. 23. 13:05
보고나면 까먹는 일회성 정보의 시대, 올바른 해법은?

한 청년이 목적지를 향해 가고 있다. 차에 네비게이션은 물론, 지도조차도 없는 그는 이정표에 의지하여 목적지를 찾아가기로 한다. 청년이 첫 번째로 간 길은 8차선 고속도로이다. 그는 목적지에 빨리 도착하기 위해 이 길을 택했다. 하지만 이게 웬걸, 8차선 넓은 도로에서 그는 어느 차선을 타야 할지 갈피를 못 잡는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고속도로에서의 속도는 그가 이정표를 보기에 너무 빨랐다. 그가 뒤늦게 이정표를 봤을 때는 가야 할 길을 이미 지나쳐 있었다. 그가 두 번째로 간 길은 일방통행길이다. 그는 일방통행 길이 빠르며, 편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여기서도 문제는 계속되었다. 일방통행길이 그에게 준 선택지는 전진, 단 하나뿐이었다. 뒤늦게 다른 길을 보았지만, 되돌아가지 못하고 오로지 앞으로만..

2011. 5. 23. 09:22
신문에서 창의력을 배우는 아이들

학교나 기관에서 실행하는 NIE현장을 보면 정말 다양한 방법으로 신문을 활용하고 있는데요. 스크랩도 하고 기사에 밑줄도 긋고 받아쓰기도 하는 등, 그래서 신문은 살아있는 교과서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 찾아간 ‘서울북부여성발전센터’의 NIE수업현장에서는 ‘생각 키우기! NIE’라는 주제로 신문에 담긴 다양한 정보를 통해 정보 검색과 활용 능력을 향상 시키는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데요. 이날 찾아간 NIE교실에서 아이들이 얼마나 신문을 재미있게 활용하고 있었는지 소개하겠습니다. 신문과 함께 상상력 키우기 북부여성발전센터의 NIE는 지난 4월 5일부터 시작해 매주마다 새로운 주제를 통해 알찬 수업을 하고 있었습니다. 이날은 신문 사진으로 오감 표현하기와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는 시간으로 진행됐습니다. 오감..

2011. 5. 20. 13:14
온라인 뉴스 대신 종이 신문 속에서 균형 찾는 방법은?

안타깝게도 21세기 젊은이들에게 신문과 같은 정적인 종이 매체들은 더 이상 정보의 보고가 아닌 듯 보입니다. 모든 정보가 ‘검색엔진’으로 통하는 세상이 되면서 파편적인 문화만 넘쳐난 인터넷의 기능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는 의견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2007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도리스 레싱(Doris Lessing)은 수상 기념 연설에서 ‘인터넷의 어리석음’에 대해 우려해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그녀는 2007년 12월 7일 대변인을 통해 발표한 연설문에서 “오늘날 선진국 젊은이들은 TV와 인터넷에 빠져 책에 흥미를 잃고 있다”며 “모든 세대를 어리석음으로 유혹하고 있는 인터넷 때문에 우리의 정신이 어떻게 바뀔지 걱정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웹은 불과 몇 십 년 전만 해도 확신을 가졌던 사실들에 ..

2011. 5. 20. 09:45
1 ··· 520 521 522 523 524 525 526 ··· 53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