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0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6)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이벤트 뉴스 뉴스읽기뉴스일기 다독다독 NIE 독서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신문읽기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신문 책 스마트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기자 미디어교육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언론진흥재단 뉴스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09)

  • 제2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 Q&A 이벤트

    2020.06.30
  • 제2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개인/단체 지원 구분

    2020.06.26
  • 코로나19로 인해 달라진 교육현장 - 대학

    2020.06.26
  • '협력' 강조하는 핀란드의 미디어 교육

    2020.06.24
  • 신통방통! 싱가포르의 미디어 리터러시

    2020.06.19
  • 제2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1회 공모전과 달라진 점이 있다면?

    2020.06.19
제2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 Q&A 이벤트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SNS 채널을 통해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에 대한 안내와 작성 가이드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혹시 제2회 공모전과 관련하여 풀리지 않는 궁금증이 있나요? 미디어 리터러시 페이스북에서 댓글을 남겨주세요! 선정된 질문에 대한 답변이 함께 공개됩니다. 참여하고 아이스크림 받기 ▶ http://bitly.kr/Kx4V461Hqj ■ 문의 : 공모전 운영사무국 02-2257-6389 (평일 10:00~17:00 운영)

2020. 6. 30. 14:55
제2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개인/단체 지원 구분

혼자서, 혹은 누군가와 함께 열심히 일기를 작성하고 있나요? 많은 분들이 공모전에 참여하실 때, 개인과 단체 지원의 기준을 궁금해 하시는데요, 하나의 일기장을 몇 명이 작성하냐에 따라 구분됩니다. 개인 분야는 혼자 일기장 한 권을 모두 작성하는 경우, 단체 분야는 다수가 일기장 한 권을 나누어 작성하는 경우입니다. 한 학급에서 매일 함께 일기장을 작성한다고 하더라도 한 권의 일기장을 다 같이 작성한다면 단체 지원, 나만의 일기장을 각자 작성한다면 개인 지원입니다. 4명이 그룹을 지어 하나의 일기장 작성한다면 ‘4인 단체 지원’이 되겠죠? 단체는 2인 ~ 최대 30인까지 한 팀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나의 삶과 경험을 뉴스 내용과 비교하며 생각을 정리할 수 있다면 나만이 적을 수 있는 특별한 내용이 되겠..

2020. 6. 26. 16:44
코로나19로 인해 달라진 교육현장 - 대학

나의 원격수업기-대학 원격수업과 교수의 역할 텅 빈 교실에 눈물이 왈칵, 교수도 학생이 그립다 코로나19로 인해 달라진 교육현장 코로나19 위기가 계속되면서 대학가도 비정상적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개학이 미뤄지고 온라인 강의가 시작되더니, 한 학기 내내 교수와 학생들이 얼굴 한 번 못 본 채 종강을 맞이할 참이다. 교수들은 벼락치듯 갑자기 시작된 온라인 강의를 준비하느라 곱절로 힘이 들고, 학생들의 피드백을 받지 못하니 걱정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국민대 홍주현 교수의 원격수업기를 소개한다. 글 홍주현(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 교수와 학생은 메시지만 주고받는 비즈니스 관계가 아니다. 서로 공감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신뢰를 형성하는 관계이다. 반면 온라인 강의 상황에서는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배제된..

2020. 6. 26. 15:33
'협력' 강조하는 핀란드의 미디어 교육

모두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를 위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발전 비결은 ‘협업’과 ‘팀워크’ 핀란드의 새로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정책 미디어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선진국인 핀란드에서 최근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한 새로운 정부 정책이 발표됐다. 핀란드 미디어교육의 중심 기구이자, 개정 정책안 작성을 맡았던 핀란드국립시청각기구(KAVI) 부소장 사라 살로마의 기고문을 소개한다. 글 사라 살로마 / 번역 송은아 지속가능한 구조와 체계적이며 장기간 지속될 수 있는 투자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모든 시민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는 마찬가지로 하룻밤 만에 또는 노력 없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모든 교육은 본질적으로 지속적이다. 미디어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오늘날의 세계에서 미디어 리터러..

2020. 6. 24. 15:45
신통방통! 싱가포르의 미디어 리터러시

‘뉴스·미디어 리터러시 툴킷’ 알아보기 학생 눈높이 맞춘 ‘사실-의견’ 구별, ‘허위정보’ 판별법 싱가포르의 미디어 리터러시 세계적으로 우수한 교육 시스템을 갖춘 나라로 평가받는 싱가포르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도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12년 미디어 리터러시 강화와 건전한 사이버 문화 구축을 위해 설립된 미디어리터러시위원회를 중심으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고 한다. 글 황치성 가짜뉴스 판별과 관련된 중요 내용들을 포괄하고 있고, 또 학생들이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사례들을 적재적소에 응용함으로써 학생들의 관심도를 높이고 수업 효과를 극대화했다. ECD가 주관하는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매번 세계 최상위권을 차지하는 싱가포르는 가짜뉴스에 대한 교육..

2020. 6. 19. 13:35
제2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1회 공모전과 달라진 점이 있다면?

2회로 접어든 ! 1회 공모전과 비교해 어떤 점이 달라졌을까요? 일기장 내지 구성부터 출력 가능한 PDF 일기장까지! 변화된 점들을 확인하며 어떤 점을 유의해야하는지 알려드립니다. 1회 공모전에서 선정된 우수지도자 분들이 어린이부터 청소년, 성인까지 다양한 연령에 대한 작성 꿀팁을 알려주셨습니다. 일기장 앞단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니, 뉴스일기와 함께 미디어리터러시에 대해 지도하실 때 참고해주세요! 2회 일기장에 새롭게 추가된 언론사/기사발행일/기자명 표기란을 작성하며 기사출처를 명확히 밝혀주세요. QR코드를 통해 기사 링크를 연결하여도 좋습니다. 1회와 마찬가지로 자유로운 글쓰기를 권장하니 아래 빈칸을 다양한 나만의 방식으로 채워주세요! 1회 공모전 때 준비된 일기장이 조기소진되어 아쉬워하신..

2020. 6. 19. 10:21
1 ··· 91 92 93 94 95 96 97 ··· 535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