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37)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7)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9)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신문 NIE 다독다독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뉴스 뉴스읽기뉴스일기 스마트폰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이벤트 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뉴스리터러시 책 독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기자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미디어교육(253)

  • 청소년과 선거, 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2020.04.14
  • 국회의원 선거, 국가 건설·경영 원리도 머리에 쏙쏙

    2020.04.10
  • [미디어 리터러시 이해하기] 수강하고 허위 정보 분별하자!

    2020.03.31
  • ‘노년 삶의 질’ 높이고 ‘사회 통합’에도 기여

    2020.03.25
  • ‘교육’과 ‘재미’의 황금 조합을 찾아서

    2020.03.06
  • 참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위해 온 사회가 동참

    2020.03.04
청소년과 선거, 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청소년과 선거, 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교복 입은 민주시민 위한 ‘선거-미디어 리터러시’ 콜라보 최근 선거 기준 연령이 만 18세로 낮춰지면서 ‘학생 유권자’가 현실화됐다. 더불어 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학교 내 선거 교육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이와 관련해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선거 교육을 연계할 순 없을지 살펴본다. 글 박한철 (덕성여고 교사) 정보 분별에 대한 기초가 쌓이면 선거 관련 기사를 선정해 뉴스 기사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배우고 익힌다. 정당의 공약집에 대해서도 같은 활동을 실시할 수 있다. 후보자의 개별 공약집이나 선거공보, 뉴스 보도 등도 분석할 수 있다. 사람들은 흔히 선거를 민주주의의 꽃, 민주주의의 학교라고 말한다. 민주주의가 좋은 열매를 ..

2020. 4. 14. 18:00
국회의원 선거, 국가 건설·경영 원리도 머리에 쏙쏙

국회의원 선거, 국가 건설·경영 원리도 머리에 쏙쏙 인기 게임 응용한 시사‧정치 수업 최근 미국에서는 게임을 만드는 과학자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게임을 이용해 전통적인 연구 방법으로 해결하기 어려웠던 문제를 풀거나, 집단지성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선거나 입법부의 역할을 어린 학생들에게 주입식으로 가르치면 이해하기 어렵지만, 학생들이 직접 시뮬레이션 게임을 만들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글 박미영 (한국 NIE 협회 대표) “스포츠토토, 안 하는 애들은 거의 없어요.” “맞아요. 남학생들은 거의 다 한다고 보시면 돼요.” 고등학교 학생들의 말입니다. 학생들은 지혜로운 호모 사피엔스인 동시에 놀이하는 호모 루덴스입니다. 요한 호이징하는 저서 《호모 루덴스》에서 놀이의 범주로 ‘경쟁,..

2020. 4. 10. 10:32
[미디어 리터러시 이해하기] 수강하고 허위 정보 분별하자!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리터러시 이해하기]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이해하기’ 수강하고 허위 정보 분별 해보아요~! ✔본 과정은 학점 미인정 과정으로, 미디어리터리시 이해를 돕기 위한 무료 과정입니다. ✔이수조건 : 진도율 80% + 온라인평가시험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이수증은 각종 증빙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www.hstudy.co.kr/newmain/group.asp?inx=834

2020. 3. 31. 10:54
‘노년 삶의 질’ 높이고 ‘사회 통합’에도 기여

연구서 ‘노인 미디어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노년 삶의 질’ 높이고 ‘사회 통합’에도 기여 미디어 환경은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집단과 그렇지 못한 집단의 격차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노인의 미디어 격차는 다른 집단에 비해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고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노인 대상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을 설파하며 현실적 활성화 방안까지 제시한, 한국언론진흥재단 지정과제 ‘노인 미디어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글 조재희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학부 교수) 고도로 디지털화된 한국 사회에서 심각한 격차를 겪고 있는 노인에 대한 미디어교육은 노인들의 일상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이다. 또한, 미디어교육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젊은 세대와의 ..

2020. 3. 25. 10:08
‘교육’과 ‘재미’의 황금 조합을 찾아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영상 ‘그것이 알고 싶다며’ 제작기 수많은 정보가 쏟아지고 진짜와 허위정보가 뒤섞여 혼란스러운 미디어 환경 속에서 미디어 리터러시는 현대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핵심 역량이다. 미디어교육 사업을 펼치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매년 미디어 리터러시를 널리 알리고, 허위정보에 대한 경각심 고취를 위해 교육용 영상을 제작해 오고 있다. 올해 만들어진 제1차 교육 영상 ‘미디어 리터러시, 그것이 알고 싶다며’의 제작 뒷이야기를 전한다. 글 김현아 (SBS 모비딕 작가) 미디어 리터러시를 알리기 위한 많은 콘텐츠들이 있었는데 대부분 쉽게 설명하려는 기조였다. 우리는 한 발 더 나아가고자 했다. 미디어 리터러시가 부족하면 어떤 부작용들이 생겨날지 실제 사례를 통해 보는 이들의 머릿속에 각인시키는 효과를..

2020. 3. 6. 10:30
참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위해 온 사회가 동참

미디어교육 프랑스 연수 참가기 프랑스는 국가적 차원에서 미디어교육을 적극 실시하는 나라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미디어교육 전담 국가 기구인 클레미는 《미디어리터러시》에서도 여러 번 소개됐다. 최근 각 학교에서 미디어교육을 담당하거나 관심 있는 선생님들이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주최하는 프랑스 미디어교육 연수를 다녀왔다. 주요 내용을 간략히 소개한다. 글 황의석 (대전 백운초 교사) 프랑스 미디어교육의 가장 큰 특징은 정부와 공공기관, 학교, 언론사, 시민사회, 학부모가 함께 참여한다는 것인데 이는 우리나라 미디어교육과 가장 비교되는 지점이다. 미디어교육을 효과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시행하려면 미디어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이 모든 이들의 합의가 필요하다. 미디어 리터러시란 무엇일까? 최근에 이루어지고 ..

2020. 3. 4. 11:19
1 ··· 31 32 33 34 35 36 37 ··· 43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