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2)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 기자 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미디어교육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독서 뉴스읽기뉴스일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다독다독 스마트폰 공모전 NIE 책 신문읽기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재단 신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미디어교육(251)

  • 한겨레, 미디어가 알아야 할 '이용자 리터러시'

    2019.12.02
  • BTS가 선생님, ‘SKY 캐슬’은 수업 교재

    2019.11.27
  • [교육자들의 열린 서재 온더레코드에서 개최된 미디어리터러시 토론회]

    2019.11.15
  • 한겨레, 우리 아이 '디지털 걸음마' 어떻게 도와줄까?

    2019.11.06
  • 당신이 남긴 디지털 발자국,부메랑 돼 돌아온다

    2019.11.01
  • ‘중독’ 손가락질 전에 ‘올바로 즐기기 교육’부터

    2019.10.23
한겨레, 미디어가 알아야 할 '이용자 리터러시'

미디어를 보고, 쓰고, 읽는 시청자의 능력이 크게 달라진 요즘 수용자로서 미디어 콘텐츠를 일방적으로 받아들이던 예전과는 많이 달라졌죠? 미디어 생산자는 미디어 이용자가 미디어에 끼치고 있는 영향력을 이해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입니다. 기사 출처 : 한겨레(최선영의 미디어전망대) 한겨레 기사 보러가기 ▶ https://hoy.kr/UtRvW 미디어가 알아야 할 ‘이용자 리터러시’ 최선영의 미디어전망대 www.hani.co.kr . #최선영의_미디어전망대 #한겨레 #이용자리터러시 #미디어조직 #미디어리터러시교육 #이용자 #미디어교육 #디지털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2019. 12. 2. 11:30
BTS가 선생님, ‘SKY 캐슬’은 수업 교재

서울 창천중 미디어 리터러시 동아리 활동 허위정보 문제가 심각해지며 ‘미디어 리터러시’가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더불어 어린 학생들에게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재미있고 효과적으로 키워줄 수 있는 전문가와 수업이 절실하다. 지역도서관과 미디어 리터러시 전문가가 공동으로 진행 중인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을 소개한다. 글 황치성 (전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 미디어 메시지를 비판적으로 읽고 만들며 참여하는 능력, 즉 미디어 리터러시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졌다. 미디어 리터러시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역량으로, 그리고 허위정보를 판별하는 최적의 도구로 관심을 받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이란 말이 있다.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보다 못하다는 뜻으로, 직접 경험해야 확실..

2019. 11. 27. 14:26
[교육자들의 열린 서재 온더레코드에서 개최된 미디어리터러시 토론회]

지난 8월 22일 서울 대학로 공공그라운드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주제로 다양한 기관, 조직 관계자들이 터놓고 이야기하는 자리가 있었습니다! 교사, 도서관 사서, 기자와 한국언론진흥재단과 시청자미디어센터 등 유관기관 관계자 40여 명이 참석해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의견과 현장에서 느낀 고충 등을 자유롭게 나눴는데요, 그 현장의 이야기 자세히 보러 가실까요? 클릭이 돈 되는 시대, '가짜 뉴스' 잡으려면 '미디어 리터러시'부터 알아야 클릭이 돈이 되는 시대, 온라인 공간에 아주 매력적인 뉴스... www.ytn.co.kr 기사 출처 : YTN(사회) 서정호 기자 YTN 기사 보러가기 ▶ https://hoy.kr/Uo6U0 #허위정보 #협업의_필요성 #설득과이해 #미디어교육 #뉴스 #미디어 #YTN #미..

2019. 11. 15. 16:39
한겨레, 우리 아이 '디지털 걸음마' 어떻게 도와줄까?

미디어를 접하는 나이가 점점 낮아지면서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김아미 경기도교육연구원 부연구위원님의 칼럼을 통해, 유럽연합의 유아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네트워크 ‘디지리티’(DigiLitEY)가 제공하는 가이드라인을 함께 살펴볼까요? ​ 한겨레 기사 보러가기 ▶ ​https://hoy.kr/x0roR 우리 아이 ‘디지털 걸음마’ 어떻게 도와줄까? 아미샘의 ‘미디어가 왜요?’ www.hani.co.kr #유아 #어린이 #청소년 #미디어 #가이드라인 #디지털교육 #유아미디어교육 #미디어교육 #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2019. 11. 6. 17:20
당신이 남긴 디지털 발자국,부메랑 돼 돌아온다

학생들이 원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Ⅱ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빈번한 요즘, 어린 학생들도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자신이 올린 사진이 악용되지나 않을까 두려움을 느낀다고 한다. 때문에 온라인에서 개인정보가 언제 어떻게 만들어지고 유출되는지 정확히 아는 것은 막연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일명 ‘디지털 발자국’을 주제로 한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시간 속으로 들어가 본다. 글 박미영 (한국NIE협회 대표) 지난 봄, 학생들에게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에서 배우고 싶은 것’을 물어봤습니다. “Whaaaaaaaaaaaaat?” 아마 스티브 잡스라면 이렇게 소리쳤겠죠. “소비자는 자신이 진정으로 무엇을 원하는지 모른다”는 이유로 아이팟, 아이폰 등을 출시할 때 소비자 조사를 ..

2019. 11. 1. 16:13
‘중독’ 손가락질 전에 ‘올바로 즐기기 교육’부터

게임 과몰입과 리터러시 교육 세계보건기구 WHO가 2022년부터 게임이용장애를 공식 질병으로 분류하기로 결정한 뒤 게임업계의 반발이 거세다. 그러나 과도한 게임 이용이 ‘중독’이냐 아니냐를 정의하기보다는 지나친 게임 몰입과 그에 따른 문제점들을 방지하고 해결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즉, ‘게임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한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글 강신규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미디어광고연구소 연구위원) 세계보건기구(WHO)가 2019년 5월 25일 ‘게임이용장애(gaming disorder)’를 질병에 포함하는 국제질병분류 제11차 개정안(이하 ‘ICD-11’)을 통과시켰다. 게임이용장애는 도박 중독과 함께 중독성 행동장애(disorders due to addictive behaviours) 범주에 포함된..

2019. 10. 23. 17:12
1 ··· 33 34 35 36 37 38 39 ··· 4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