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7)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0)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읽기 뉴스읽기뉴스일기 공모전 미디어교육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NIE 스마트폰 책 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한국언론진흥재단 독서 다독다독 뉴스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 기자 이벤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미디어교육(252)

  • ‘미디어와 선거’ 미디어교육의 오랜 핵심 주제

    2020.05.08
  • ‘시민-플랫폼·언론-국회·정부’ 전 사회적 대책과 실천 필요

    2020.05.04
  • 예비 교사도 미디어 리터러시 배우고 싶어요!

    2020.04.29
  • 놀이로 배우는 첫 만남, 미디어는 내 친구

    2020.04.24
  • 학교와 학교 밖 미디어교육 함께 해야 효과적

    2020.04.22
  • 청소년과 선거, 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2020.04.14
‘미디어와 선거’ 미디어교육의 오랜 핵심 주제

미국의 선거 관련 미디어교육 현황 ‘미디어와 선거’ 미디어교육의 오랜 핵심 주제 지난 2016년 대선을 거치면서 미국에서는 허위정보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동시에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학교 정규 교과과정에서 선거 관련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이루어져왔다. 관련 내용을 소개한다. 글 윤지원 (미 로드아일랜드 미디어교육연구소 교수) 2016년 미국 대선은 가짜뉴스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과 우려를 낳는 계기가 됐고 수많은 언론과 평론가들이 2016년을 가짜뉴스의 해로 지목했다.1) 〈버즈피드(BuzzFeed)〉의 분석에 따르면, 미국 2016 대선 관련 기사 중 페이스북에서 가장 많이 읽힌 상위 20개의 가짜뉴스가 19개의 전통 언론사에서 나온 상위 20개 ..

2020. 5. 8. 10:51
‘시민-플랫폼·언론-국회·정부’ 전 사회적 대책과 실천 필요

‘허위조작정보 문제 해결을 위한 제언’ 공개 토론회 인터넷이 발달하고 SNS가 급속히 확산되면서 사실이 아닌 내용이 진짜 뉴스처럼 확산되고 이로 인한 문제의 심각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허위조작정보가 민주주의에 큰 위협이라는 문제 인식 아래 국내에서도 학계, 언론 단체, 시민 단체 등의 전문가들이 모여 허위조작정보 문제 해결을 위한 여러 방안을 제언했다. 관련 내용을 소개한다. 글 성욱제 (KISDI 방송미디어연구실 연구위원) 지난해 12월 20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과 ‘허위조작정보에 관한 전문가 회의’(위원장 이재경, 이하 ‘전문가 회의’)1)는 프레스센터 18층 회의장에서 ‘허위조작정보 문제 해결을 위한 제언’이라는 이름의 공개 토론회를 개최했다. 공개 토론회는 ‘전문가 회의’와 정보통신정..

2020. 5. 4. 10:48
예비 교사도 미디어 리터러시 배우고 싶어요!

‘교육대 미디어 리터러시 강좌 확대’ 제안 학교 현장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당연히 미래 교사를 위한 대학 내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강좌가 충실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해 한 교육대 학생들이 학교 측에 직접 미디어 리터러시 강좌의 확대를 요청했다고 한다. 글 김현희·심현지·임선형·조수빈 (경인교대 사회과교육과 학생) “초등교사가 됐을 때 현실적으로 가장 필요한 능력이 바로 미디어 리터러시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현재 교육대학교 과정 중에는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된 강의가 적어 대다수 학생이 이를 알고 적용해 볼 능력을 기르지 못하는 것 같아 아쉽다.” ‘미디어 리터러시 강좌 확대 편성’ 제안은 ‘현대 사회의 연구’라는 ..

2020. 4. 29. 14:15
놀이로 배우는 첫 만남, 미디어는 내 친구

놀이로 배우는 첫 만남, 미디어는 내 친구 유아 대상 미디어교육 ‘미디어랑 나랑 꼬꼬마 미디어 리터러시’ 어린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은 쉽지 않다. 어른의 눈높이로 어린이를 판단하면 어린이들에게 필요한 교육이 아니라,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교육이 되기 마련이다. 미취학 어린이를 대상으로 놀이와 접목해서 미디어교육을 하는 현장을 찾아가본다. 글 윤현옥 (미디어교육 강사) 앞으로 아이들은 이제껏 경험하지 못한 미디어 세상을 더 많이 만나게 될 것이다. 어른들이 만들어 놓은 미디어 세상에서 길을 잃지 않고 어른보다 더 현명하고 똑똑한 어린이, 청소년 미디어 이용자로 자라주길 희망한다. 지금 어린이들이 만나는 미디어 세상은 부모 세대가 경험하지 못했던 세계다. 부모들은 아이들의 미디어 노출 시..

2020. 4. 24. 09:00
학교와 학교 밖 미디어교육 함께 해야 효과적

[미디어교육 석학 인터뷰] 줄리안 세프톤-그린 호주 디킨대 교수 디지털 미디어교육 분야의 저명한 학자인 줄리안 세프톤-그린(Julian Sefton-Green) 호주 디킨대(Deakin University) 교수가 지난 11월 말 한국을 방문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을 포함해 7개 기관이 공동 주최한 ‘2019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국제 콘퍼런스’의 기조 강연자로 참석한 세프톤-그린 교수는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개인의 기능과 윤리적 차원에 머물러서는 안되며, 더 깊이 있는 사회적 이해를 지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미디어 이용 현황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이해를 강조하는 공적 담론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콘퍼런스가 끝난 뒤 세프톤-그린 교수를 따로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인터뷰 정현..

2020. 4. 22. 09:41
청소년과 선거, 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청소년과 선거, 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교복 입은 민주시민 위한 ‘선거-미디어 리터러시’ 콜라보 최근 선거 기준 연령이 만 18세로 낮춰지면서 ‘학생 유권자’가 현실화됐다. 더불어 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학교 내 선거 교육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이와 관련해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선거 교육을 연계할 순 없을지 살펴본다. 글 박한철 (덕성여고 교사) 정보 분별에 대한 기초가 쌓이면 선거 관련 기사를 선정해 뉴스 기사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배우고 익힌다. 정당의 공약집에 대해서도 같은 활동을 실시할 수 있다. 후보자의 개별 공약집이나 선거공보, 뉴스 보도 등도 분석할 수 있다. 사람들은 흔히 선거를 민주주의의 꽃, 민주주의의 학교라고 말한다. 민주주의가 좋은 열매를 ..

2020. 4. 14. 18:00
1 ··· 30 31 32 33 34 35 36 ··· 4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