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교육(251)
-
직접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뛰어든 미디어 조직
영국의 뉴스 리터러시 프로젝트 사례로 보는 미디어 교육의 방향 written by. 한지유 (계간 시민 기획위원) 영국 학술지 는 올 2월에 “포스트-팬데믹 시대 뉴스 리터러시 활동과 미디어 조직의 역할(The Place of Media Organisations in the Drive for Post-pandemic News Literacy)”1)이라는 연구 논문을 게재했다. 는 ‘챗GPT’ 특집을 맞아 뉴스 미디어가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적절한지 살펴본 이 논문을 챗GPT로 번역하고 계간 시민 기획위원이 요약해 소개한다. 뉴스 미디어가 직접 운영하거나 자금을 지원하는 프로젝트에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맡겨지는 현실을 우려하면서도, 전문 훈련을 받은 기자들이 수용자와 소통함으로써 저널..
2023.10.17 -
여름호 <미디어리터러시> 발간 기념 퀴즈 이벤트
여름호 의 퀴즈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이번 호 를 읽고 퀴즈 2개의 정답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정답을 모두 맞힌 분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총 10분께 교보문고 기프트카드 교환권 1만 원권을 드립니다. Q1. 이번 여름호의 특별기획 주제는? 정답: ○○ 리터러시 교육 Q2. 디지털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이해와 윤리 의식을 바탕으로,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평가하여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생산·활용하는 능력을 일컫는 단어는? 정답: ○○○ ○○ (힌트: 특별기획 2-내 삶에 들어온 인공지능, ‘모르면 독, 알면 약’ p.14 中) 특별기획 본문 바로가기: https://www.kpf.or.kr/synap/skin/doc.html?fn=1691537754235.pdf&rs=/synap/resul..
2023.08.31 -
‘수동적 감상자’에서 ‘능동적 참여자’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메타버스 미술 수업 written by. 이재예 (서울대 사범대학 협동과정 미술교육 전공 강사) 이정은 (중앙대 예술대학 미술학부 서양화과 강사) 디지털 리터러시를 디지털 기기를 활용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필요한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지식과 능력이라고 정의한다면, 디지털 미디어의 사용이 생활 그 자체인 지금의 어린이·청소년에게는 어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할까? 이러한 질문에 답을 얻고자 미술(교육)을 전공한 연구자 두 명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시각 예술 수업을 시도했다. 수업 진행 과정과 내용을 소개한다. 체험형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수동적 디지털 감상자’에 머물지 않고 ‘능동적 참여자’로 활동할 수 있었다. 앞으로 이와 ..
2023.06.29 -
민주주의 위협하는 AI 허위정보 꼼짝마!
미국-생성형 AI 시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written by. 박유신 (전국미디어리터러시교사협회장·삼광초 교사) 챗GPT, 바드 등 생성형 AI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나쁜 의도를 가지고 AI를 악용할 경우 허위정보가 무분별하게 대량으로 퍼져나갈 수 있고, 허위정보의 유통은 뉴스 신뢰도에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우려 속에 미국의 미디어교육 기관들이 AI 시대에 맞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힘을 쏟고 있다고 한다. 관련 내용을 소개한다. 2023년 4월 3일자 는 포토 저널리즘의 윤리와 생성형 AI의 문제에 대해 다룬다. 생성형 AI는 더욱 정교한 가짜 콘텐츠를 만들 수 있고 이로 인해 선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어 경계해야 한다고 는 주장한다. ..
2023.06.28 -
금 나와라, 뚝딱? 준비 시간 줄었지만…아직은 ‘글쎄’
챗GPT를 활용한 미디어교육 수업 준비 written by. 김광희 (경기 진말초 교사) 지난 2월 13일 교육부는 챗GPT와 관련해 전 직원 대상 공개 포럼을 개최했다. 챗GPT 시연을 지켜본 교육부 관계자 사이에서는 ‘앞으로 교육부 직원이 필요 없을 것’이라는 걱정 섞인 우스갯말도 나왔다고 한다. 챗GPT가 교육계에 큰 변화를 가져올 기술이라는 전망이 있다. 만병통치약은 아닐지라도 수업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학교 수업 준비를 위해 챗GPT를 활용한 흥미로운 사례가 있어 소개한다. 챗GPT의 대화형 알고리즘으로 인해 수업 자원 탐색 과정이 상당 부분 줄었을 뿐 아니라 챗GPT가 제안하는 활동 중 유의미한 활동을 상당수 발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줄어든 시간이 ..
2023.06.20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 ‘다양성의 가치’ 가르치자
미디어의 소수자 재현: 노인과 장애인 written by. 강진숙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우리가 매일 접하는 뉴스와 미디어 콘텐츠 속에는 의외로 많은 차별과 혐오 표현이 등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표현은 주로 노인, 여성, 장애인, 이주노동자 등 사회적 소수자, 사회적 약자를 향하고 있다. 비장애인, 남성 등 주류의 시선으로 이들을 그려내기 때문이다. 다섯 번째 순서는 바로 미디어의 소수자 재현의 문제점을 들여다보았다. 우리가 매일 시청하는 미디어 속 노인과 장애인의 모습은 특정한 방식으로 구성된 가공의 이미지이다. 다양한 현실의 모습이 아닌 하나의 전형적 이미지로 재현될 경우, 소수자에 대한 우리의 선입견과 편견이 강화되어 공동체 사회의 다양성의 가치가 훼손될 수 있다. ..
2023.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