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기자 뉴스 NIE 뉴스리터러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미디어리터러시 신문 책 공모전 뉴스읽기뉴스일기 이벤트 미디어교육 다독다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신문읽기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재단 미디어 독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미디어리터러시(569)

  • 사람보다 뛰어난 거짓말, AI 리터러시 교육으로 잡아라!

    2024.02.14
  • AI 제공 정보는 비판적 수용, 관련 법제도 마련 시급해

    2024.02.07
  • 나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길, ‘세 발자국’

    2023.12.29
  • 인공지능 시대, 공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다

    2023.12.28
  • 가짜뉴스 감별법부터 미디어 콘텐츠 제작까지

    2023.12.27
  • 개인별·수준별 미디어교육에 활용 가능

    2023.12.27
사람보다 뛰어난 거짓말, AI 리터러시 교육으로 잡아라!

생성형 AI 시대, 허위정보 대응 방안 ​ written by. 노혜령 (㈜프레스온 대표‧《가짜뉴스 경제학》 저자) 챗GPT가 쏘아올린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뜨거운 관심은 주로 AI가 인간을 대신할 수 있는지, 또는 인간의 직업을 위협할 수 있는지 등에 쏠려 있다. 그러나 AI가 진화하면서 가짜뉴스의 심화에 대해 더 관심을 갖고 경계할 필요가 있다. AI가 생성하는 허위정보가 상당히 정교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생성형 AI 허위정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살펴보았다. 인간과 챗GPT가 생성한 가짜 정보를 비교한 최신 연구(Zhou, J. et.al., 2023) 결과를 보면 AI가 만든 허위정보가 신뢰성, 투명성, 불편부당성 같은 기존 저널리즘 규칙을 사람보다 더 잘 지킨다. ​ AI로 생성한 허위정보1)를..

2024. 2. 14. 10:00
AI 제공 정보는 비판적 수용, 관련 법제도 마련 시급해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 허위정보의 사례와 위험성 ​ written by. 최종선 (영국 셰필드대학 저널리즘스쿨 어드밴스드 펠로우)1) ​1) Advanced Fellow Researcher at the University of Sheffield’s School of Journalism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에 허위정보의 사례 및 위험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생성형 인공지능의 개념, 서비스 내용, 생성형 인공지능의 장단점, 오남용 사례, 허위정보의 위험성 및 대응 방안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관련 내용을 소개한다. 특히, 생성형 AI의 특성상 해당 서비스가 설계되고 작동되는 알고리즘을 예측하기 어렵고, 그에 따른 결과물을 정확하고 진실하다고 담보할 수 없기 때문에 이용자가 정보의 진실성, 허위성을 섣불리 ..

2024. 2. 7. 10:00
나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길, ‘세 발자국’

‘2023 미디어교육대상’ 수상 소감 ​ written by. 이진석 (덕포초 교사) ​ 한국언론진흥재단은 국내 최초로 미디어교육을 시작한 공공 기관으로 전 국민의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에 기여한 유공자를 발굴·포상하기 위해 매년 ‘미디어교육대상’ 시상식을 개최하고 있다. 올해는 총 일곱 명의 미디어교육 관련 교원이 영예의 수상자로 선정됐다. 이 가운데 교육부장관상을 수상한 이진석 교사의 수상 소감을 전한다. 나는 일선 교육 현장에서 아이들과 함께 지내면서 교육에 힘쓰는 현장 미디어교육 연구자이다. 현장에서 정말 필요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무엇인지 연구하며 아이들의 성장을 지켜보고, 이러한 현장 연구를 다른 사람들과 나누며, 함께 성장하고 싶다. 어디서부터 이야기를 해야 할까? 의식의 흐름대로 이야기하..

2023. 12. 29. 09:30
인공지능 시대, 공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다

‘2023 미디어교육 전국대회’ 개최기 ​ written by. 최용재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팀 사원) ​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난 11월 10일 ‘인공지능의 시대,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의 시간’을 주제로 를 개최했다. 올해 전국대회는 바야흐로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가는 디지털 네이티브인 우리 청소년들에게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했다. 전국대회 현장 모습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는 인공지능 시대 속 공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이정표와 같았다. 양질의 강연과 함께 공교육을 지원하는 재단의 미디어교육 사업을 알리고 공교육에서 활동하는 교육가들에게 미디어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제시하는 뜻 깊은 자리였다. 디지털 미디어의 계속되는 진화는 순기능뿐만 아니라 가짜뉴스 유포 등의..

2023. 12. 28. 17:32
가짜뉴스 감별법부터 미디어 콘텐츠 제작까지

명지전문대 ‘인공지능 오픈AI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 written by. 백재순 (명지전문대 AI빅데이터학과 교수) ​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대학 및 지역사회의 교육 인프라 연계를 통해 미디어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주민 대상 생애주기별 맞춤 교육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향상에 기여하고자 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총 25개 대학이 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는데, 이 중 명지전문대 평생교육원이 진행한 ‘인공지능 오픈AI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사업 결과를 소개한다. 자기효능감 측정 결과, 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변화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최신 인공지능 기술을 통한 미디어 경험을 통해 아이들이 또래 친구들에 비해 미디어에 대해 자신감을 가질 수 있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2022년..

2023. 12. 27. 18:30
개인별·수준별 미디어교육에 활용 가능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위한 유튜브 리터러시 체크리스트 개발 연구 ​ written by. 김형진 (명지대 미래융합경영학과 교수) ​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어린이의 하루 미디어 사용 시간은 1시간 42분이고, 미디어 이용 시 가장 빈번한 활동은 유튜브를 비롯한 동영상 스트리밍 채널 시청이라고 한다. 이들이 유튜브로 대표되는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하지 못하게 막기는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 의식에서 국내 연구팀이 어린이·청소년의 건강한 유튜브 활용에 도움을 주기 위해 유튜브 리터러시 관련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를 소개한다. 교육이 완료된 단계에서 본 체크리스트는 교육 성과 측정을 위한 프레임워크로 활용되어 관련 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성과를 정량적인 지표로 측정하고 추후 연계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

2023. 12. 27. 17:38
1 ··· 3 4 5 6 7 8 9 ··· 95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