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 언론진흥재단 이벤트 공모전 다독다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독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기자 미디어리터러시 신문 신문읽기 뉴스리터러시 미디어교육 NIE 뉴스읽기뉴스일기 스마트폰 책 뉴스 한국언론진흥재단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미디어리터러시(569)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들어온 미디어 리터러시, 어떻게 구체화되었나

    2024.11.06
  • [제5회 청소년 체커톤 대회 대상작 소개(2)] 띵커톤 -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부산 수돗물, 부산 시민들이 마셔도 안전한가?

    2024.11.05
  • [현대인의 고질병] '포모(FOMO)'란 무엇인가?

    2024.10.30
  • 변화된 미디어 환경에 길을 밝혀줄 <미디어리터러시>

    2024.05.22
  • ‘모두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법’ 나누는 축제의 장

    2024.05.14
  • 더 나은 디지털 세상을 위한 전 세계의 노력

    2024.05.08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들어온 미디어 리터러시, 어떻게 구체화되었나

|글. 양소은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선임연구원) 외 3인|지난 2021년 교육부가 발표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르면 초등부터 고등에 이르기까지 미디어 리터러시가각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로 편입되어 있어 교육계는 물론 미디어 연구자들에게 큰 관심을 끌었다. 이지선 서원대학교 교수를 비롯한미디어 연구자 3인은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실질적 도움을 주는 연구를 진행했다. 해당 연구를 진행한 연구자들이 직접 연구보고서 내용을 일부 요약하여 소개한다.  이 연구를 시작한 배경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미디어 리터러시 내용 적용의 문제점 2022 개정 교육과정은 2024년부터 학교 현장에 순차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했다. 이번 교육과정에서는..

2024. 11. 6. 10:18
[제5회 청소년 체커톤 대회 대상작 소개(2)] 띵커톤 -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부산 수돗물, 부산 시민들이 마셔도 안전한가?

안녕하세요! 대학생 기자단'미리프렌즈'의 송연경입니다.​​지난번 콘텐츠에 이어작년에 열렸던 제5회 체커톤 대회두번째 대상작을 만나볼 시간입니다~! ​과연 이번 팀은 어떤 주제로 팩트체크를 진행했을지궁금하지 않으신가요?저는 이번 팀의 결과물을 보며'어떻게 이렇게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수집했을까?' 하는감탄이 절로 나왔는데요!​그 놀라운 과정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다들 attention~~~​이번 대상작의 주인공은 일상에서 팩트체크를 생각하는'띵커톤(think-a-thon)' 팀입니다!​부산에서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하는네 명의 학생이 모여 팀을 이루었는데요.전공생들인만큼 팩트체크의 중요성을 실감하며지역사회 변화에 대한 책임감을 갖고 대회에 임했다고 합니다!띵커톤 팀의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말도 ..

2024. 11. 5. 09:33
[현대인의 고질병] '포모(FOMO)'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의 대학생 기자단 미리프렌즈 김나연입니다:)  오늘은 현대인의 고질병으로 불리는'포모(FOMO)'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봅시다.      ​"SNS에서 인기있는 레스토랑이나 호텔을 따라가고,지인이 떼돈을 벌었다는 소식에 무작정 주식에 도전하는 것"​혹시 여러분도 위와 같은 상황을 겪어본 적 있으신가요?포모(FOMO)란 Fear Of Missing Out의 약자로놓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뜻합니다. 이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보다 큰 만족감을 경험하고 있다는 인식에서 유발되는 ‘원하지 않는 불안감’인데요.[1] 포모(FOMO)와 관련한 대표적인 사례는미국 실리콘밸리 역사상 최대 사기극이라고 평가받는바이오 벤처기업 '테라노스 사건'입니다. 2014년 테라노스는손가락 끝에서 채취한 극소량의 혈액..

2024. 10. 30. 13:06
변화된 미디어 환경에 길을 밝혀줄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시민 기획위원 활동 소감 written by. 한지유 (계간 ≪미디어리터러시≫ 시민 기획위원) 계간 는 미디어교육 전문지로, 국민의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과 미디어 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콘텐츠를 담고 있다. 특히 2022~2023년은 시민 기획위원을 선발하여 시민 눈높이에 맞는 미디어 리터러시 주제를 발굴하고 그에 맞는 내용을 제공했었다. 지난 2년간 시민 기획위원으로서 활동해온 소감을 통해 계간 〈미디어리터러시〉가 그간 걸어온 길을 비추고, 다시금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을 살펴보고자 한다. 디지털이 곧 미디어로 확장되고, 미디어가 곧 디지털로 나아가는 시대에서 〈미디어리터러시〉는 이전의 논의를 답습하기보다는 변화된 환경을 잘 설명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는 선도적 역할을..

2024. 5. 22. 10:00
‘모두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법’ 나누는 축제의 장

2023 미국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 written by. 이혜선 (서강대 미디어융합연구소 연구원) ​ 미국에서는 매년 10월 마지막 주에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을 맞아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학생과 대중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과 이벤트가 열린다. 올해로 9회를 맞은 미국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 현장의 모습을 소개한다. NAMLE의 메간 프롬은 미디어 리터러시를 지닌 사람은 미디어 메시지가 개인·지역 공동체·사회에 미치는 영향이나 메시지 해석 과정에 자신의 편견과 인지 과정이 미치는 영향 등을 이해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 ​ 지난 10월 미국 전역에서는 ‘미국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U.S. Media Literacy Week)’을 기념하기 위한 다채로운 행사가 열렸다. 미국 미디어 리터러시..

2024. 5. 14. 10:00
더 나은 디지털 세상을 위한 전 세계의 노력

유네스코 ‘2023 글로벌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주간’ written by. 이혜선 (서강대 미디어융합연구소 연구원) ​ 매년 10월 마지막 주는 유네스코(UNESCO)에서 지정한 ‘글로벌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주간(Global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Week)’이다. 이 시기 유네스코에서는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관련 주요 현안을 논의하고, 세계 각국에서는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진흥을 위한 다채로운 행사를 개최한다. ‘2023 글로벌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주간’ 행사를 소개한다. 오드레 아줄레 사무총장은 “알고리즘 조정 및 기능, 데이터 투명성 및 가용성, 개인 정보 보호, 인권 위험 평가에 대한 지침을 제안할 것”이며, “사용자의 비판적 사고를 키워 디지털 플랫폼의 잠재..

2024. 5. 8. 10:00
1 2 3 4 5 6 ··· 95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