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7)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0)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독서 미디어교육 신문 이벤트 다독다독 언론진흥재단 미디어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뉴스 스마트폰 기자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책 NIE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리터러시 공모전 신문읽기 뉴스읽기뉴스일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미디어리터러시(592)

  • 낚시성 뉴스에 절대 현혹되지 마라

    2016.06.22
  • 뉴스 보도 원칙 7

    2016.06.16
  • 비판적 사고능력과 민주시민

    2016.06.15
  • 시청자들에게 PPL이란?

    2016.06.08
  • '안전한' 대한민국호가 흔들리고 있다

    2016.06.08
  • 강아지와 뉴스 리터러시 교육

    2016.06.02
낚시성 뉴스에 절대 현혹되지 마라

박명호, 서강대 언론대학원 미디어교육 석사·미디어 교육가 사회에서 지배적으로 사용되는 미디어가 인쇄 미디어에서 영상 미디어, 그리고 디지털 미디어로 변화하며, 뉴스의 내용과 뉴스의 소비문화도 변했다. 1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자. 10년 전 우리는 텔레비전과 종이 신문을 통해서만 뉴스를 접할 수 있었다. 당시의 ‘9시 뉴스’는 무언가 신성한 권위까지 느껴졌고, 신문 1면의 뉴스는 하루 동안 가장 큰 화젯거리였다. 지하철이나 길거리에서 양팔로 종이 신문을 넓게 펼쳐 읽는 사람들의 모습을 마주하는 것은 익숙한 일이었다. 하지만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우리의 일상의 미디어로 자리 잡게 되면서 풍경은 완전히 달라졌다. 안방 텔레비전의 권위가 추락했다. 9시 뉴스가 시작되는 시간에 맞춰 가족들이 텔레비전 앞에 ..

2016. 6. 22. 11:00
뉴스 보도 원칙 7

[요약] 뉴스 보도의 7가지 원칙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사람은 기본적 본능에 의해 뉴스를 원한다! 뉴스는 우리에게 외부 세계의 인물과 쟁점, 현상들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알려주는 커뮤니케이션의 일부분입니다. 역사가들에 따르면, 과거 지배자들은 뉴스를 이용해 여러 사회를 하나로 묶기도 하고, 사회 구성원들에게 통합적인 느낌과 목적을 공유해 결속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우리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뉴스 보도에는7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이 7가지 원칙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1. 정확성 뉴스 보도에서 정확성은 사실에 입각한 보도를 의미합니다. 사실로 밝혀진 정보만을 뉴스 내용에 포함하는 것이 정확성의 원칙이므로, 사실확인을 충분히 거치지 않은 정보를 속보의 목적으로 보도한다거나 추측성 기사를 작..

2016. 6. 16. 11:00
비판적 사고능력과 민주시민

정형근, 정원여자중학교 교사 · 이화여자대학교 겸임 교수 #비판적 사고는 이치에 맞는지를 검증하는 사고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사고 능력은 무엇일까? 일반적으로 사고의 종류에는 기억, 상상, 연상, 궁리, 판단, 추론 등이 있다. 상상이나 연상 등은 상상력과 관련있고 판단이나 추론 등은 논리적 사고와 관련된다. 이때 판단하는 능력과 추론하는 사고 작용을 합하면 일종의 비판적 사고력이 된다. 한 논문에서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여러 가지 능력 중 논리적 비판력, 즉 비판적 사고능력을 가장 이해하고 적용하기 힘든 능력이라고 답한 것을 보았다. 이런 연구 조사만 놓고 보더라도 비판적 사고력은 청소년들이 길러야하지만 기르기는 어려운 사고 능력처럼 보인다. 하지만 비판적 사고력은 우리의 삶과 떨어져 있는..

2016. 6. 15. 17:00
시청자들에게 PPL이란?

[요약]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에서는 방송 시청자들이 PPL 개념과 제품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조사를 통해 시청자들은 PPL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며 거부감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방송산업계는 규정 내에서 PPL을 적절히 활용 하면서 콘텐츠 품질 향상과 시청자 만족도, 두 가지를 충족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최근 인기리에 종영된 드라마 ‘태양의 후예(KBS2)’에 등장한 PPL을 두고 논란이 뜨겁습니다. PPL(Product Placement, 간접광고)이란 영화, 드라마 등에 상품을 등장시켜 간접적으로 광고하는 마케팅 기법을 의미합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김병호) 미디어연구센터는 성인남녀 1천여 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해당 설문조..

2016. 6. 8. 14:47
'안전한' 대한민국호가 흔들리고 있다

장선화 서울경제신문 백상경제연구원 연구위원(Ph.D) 지난 5월 17일 새벽 강남역 10번 출구 근처 화장실에서 벌어진 ‘묻지마식’ 살인사건에 이어 지난 5월 28일에는 구의역에서 용역업체 직원이 수리작업 중 안전문에 끼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최근 벌어지고 있는 사건사고는 2016년 대한민국의 안전이 심각한 위기에 처해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한 가지 공통점을 지적한다면 사회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불안한 삶을 그대로 투영하고, 공감하면서 이를 겉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것이다. 단순히 SNS 등에서 ‘좋아요’ 버튼을 누르는 식의 공감이 아니라 사건 현장을 직접 찾아가서 슬픔을 표출하고 있다. 강남역 살인사건을 ‘여성혐오’라는 키워드로 단정짓기는 어렵지만 여성들이 거리로 나와 자신들이 처한 현실을 털..

2016. 6. 8. 11:00
강아지와 뉴스 리터러시 교육

권영부, 동북고등학교 수석교사·NIE한국위원회 부위원장 #강아지를 키우며 언론을 생각하다 끝내 강아지 한 마리를 품에 안고 들어왔다. 몇 날 며칠을 강아지를 키우고 싶다던 아들 녀석이 저지른 만행이다. 친구 집에서 보쌈해온 강아지라고 했다. 어찌할 수 없이 강아지를 받아들였다. 갓 난 강아지의 처연한 눈빛을 보는 순간 내 마음은 이미 무너졌고, 꼬리를 살랑거리며 품속으로 기어드는 녀석을 어찌할 수 없었다. 이제 출타 중에 강아지 안부를 묻는 꼴이 되었다. 강아지를 키우는 사람은 강아지의 여러 가지 습성을 관찰하게 된다. 바깥에서 바스락 소리만 나도 짖어대고, 무릎 사이를 파고들며 온갖 아양을 떨기도 한다. 어떤 날은 주인이 오든 말든 잠에 취해 있기도 한다. 작은 공을 물고 와서는 툭 던져 놓고 놀아달라..

2016. 6. 2. 09:19
1 ··· 93 94 95 96 97 98 9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