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이벤트 다독다독 미디어교육 언론진흥재단 미디어 뉴스읽기뉴스일기 독서 뉴스리터러시 책 NIE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신문 뉴스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기자 스마트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미디어리터러시(569)

  • ‘포용적 디지털 사회’ 위한 시민 역량 키워야

    2023.12.26
  • 재외한국학교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기회 제공

    2023.12.26
  • 시민의 기본권 보호 위한 새로운 시도

    2023.12.24
  • 커뮤니케이션 지배하는 디지털 생태계 이해 필수

    2023.12.23
  • ‘디지털 기기와 공존하는 법’ 가르치는 학교

    2023.12.22
  • ‘플레이밍’ 사회의 그늘…올바른 정보 습득으로 극복해야

    2023.12.22
‘포용적 디지털 사회’ 위한 시민 역량 키워야

디지털 플랫폼의 확장과 미래의 리터러시 교육 ​ written by. 김아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독립 연구자) ​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 등 현대인의 삶은 디지털 플랫폼과 떨어져 상상할 수 없다. 디지털 플랫폼 위에서 우리 자신을 표현하고 타인과 소통하며 또 경제 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처럼 점점 영역을 확대해 나가는 디지털 플랫폼 환경을 살펴보고, 이러한 환경에서 살아가기 위해 앞으로 어떤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한지 고민해 본다. 디지털 플랫폼의 확장으로 플랫폼의 구조적 특징과 디지털 플랫폼이 구동하는 경제적 맥락,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이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며 존재하는지 등 전반적인 환경과 구조의 요소를 살필 수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로의 확장이 필요하게 됐다. ‘리터러시는 무한 증식하는 개념..

2023. 12. 26. 15:00
재외한국학교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기회 제공

미디어교육 학습공동체 연구 소개1 ​ written by. 윤여경 (대전 둔원고 교사) ​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는 교육과정 맞춤형 미디어교육 수업 모델 개발 및 확산, 미디어교육 추진을 위한 전국 교육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을 목적으로 매년 공모를 통해 미디어교육 학습공동체 지원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관련 내용을 소개한다.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재외한국학교 상황을 고려하여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홍보하면서 올해 학습공동체의 결과물이 재외한국학교의 전반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문화 조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했다. 지금부터 여러분께 소개하고자 하는 미디어교육 학습공동체 ‘미디어크러시’는 2021년부터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재외한국학교를 대상으로 미디어..

2023. 12. 26. 10:00
시민의 기본권 보호 위한 새로운 시도

유럽연합 ‘디지털서비스법’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 written by. 오연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책임연구원) ​ 유럽연합에서는 내년부터 구글, 메타(옛 페이스북) 등 디지털 플랫폼 기업이 허위정보와 알고리즘 조작 등 디지털 플랫폼에서 유통되는 유해 콘텐츠를 자체적으로 검열하도록 하는 ‘디지털서비스법(DSA)’이 시행될 예정이다. 디지털서비스법의 주요 내용 및 함의를 살펴본다. 미디어 역량 또는 디지털 역량 등의 개인 역량 강화 담론과 교육은 온라인상에서 나타나는 위험에 대한 책임을 개인에 전가한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디지털서비스법은 그 책임을 국가와 기업으로 분산했다는 점에서 긍정적 측면을 갖는다. 2014년 유럽사법재판소는 개인 정보 주체의 요청이 있을 시 구글이 검색 결과에서 해당 개인의 ..

2023. 12. 24. 10:00
커뮤니케이션 지배하는 디지털 생태계 이해 필수

디지털 플랫폼과 리터러시 ​ written by. 황용석 (건국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 검색 엔진, 소셜 미디어, 유튜브, 인터넷 클라우드 등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이 모든 서비스는 디지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미디어이다. 현대 미디어의 주류가 된 디지털 플랫폼에 대한 이해는 오늘을 살아가는 시민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강화에 선결 조건이 됐다. 디지털 플랫폼과 리터러시의 관계를 살펴본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전통적인 읽기 및 쓰기 능력을 넘어서 미디어와 디지털 기술, 그리고 AI와 빅데이터에 대한 미묘한 이해를 포괄해야 한다. 특히 AI와 빅데이터는 디지털 플랫폼의 핵심 구성 요소이므로, 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은 필수적인 부분이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디지털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

2023. 12. 23. 10:00
‘디지털 기기와 공존하는 법’ 가르치는 학교

핀란드의 디지털 웰빙을 위한 미디어교육 ​ written by. 문수미 (핀란드 알토대 IDBM1) 프로그램 석사) ​[편집자 주] IDBM: International Design Business Management. 알토대에 있는 MBA 과정. 기술, 디자인, 마케팅을 혼합한 과정으로 다른 분야 간의 통섭을 통해 경영 능력을 향상시키는 게 목표다. 핀란드는 미디어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가 체계적이고 종합적이며 상당한 수준에서 교육되고 있는 나라이다. 미디어교육을 책임지고 담당하는 국가 기관뿐 아니라 다양한 기관과 전문가가 협업해서 전 국민의 미디어 리터러시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미디어교육 강국이자 모범국인 핀란드에서 ‘디지털 웰빙’이라는 개념이 미디어교육에 등장했다고 한다. 관련 소식을 전한다. ..

2023. 12. 22. 17:00
‘플레이밍’ 사회의 그늘…올바른 정보 습득으로 극복해야

온라인 여론몰이와 바람직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향 ​ written by. 송용준 (세계일보 문화체육부 기자) ​ 악성 댓글, 사이버 자경단, 온라인 신상털기. 모두 주로 온라인 익명성에 기대어 혐오와 비난 등의 글이 빠르게 퍼져 나가는 현상인 ‘플레이밍’의 일종이다. 올해 나온 책 ≪플레이밍 사회≫를 살펴보며 우리 사회에 만연한 온라인 여론몰이 현상과 바람직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을 고민해 본다. 아쉽게도 저자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그래도 저자의 글을 행간으로 읽다보면 결국 플레이밍의 긍정적 요소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정보 습득을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는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 ​ ​ 어떤 사안이 벌어졌을 때 사람들은 그에 대한 주변의 의견을 궁금해 한다. ..

2023. 12. 22. 15:30
1 ··· 4 5 6 7 8 9 10 ··· 95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