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6)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기자 미디어교육 독서 책 뉴스읽기뉴스일기 스마트폰 신문읽기 한국언론진흥재단 공모전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신문 이벤트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뉴스 미디어리터러시 NIE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미디어리터러시(592)

  • 기업에 관련된 기사, 어떻게 읽어야 할까

    2016.04.27
  • 세계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동향 (7) 독일·헝가리·아일랜드

    2016.04.25
  • 신문활용교육(NIE)과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2016.04.14
  • 스마트폰 세대를 위한 미디어의 이해

    2016.04.14
  • 세계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동향 (5) 오스트리아·벨기에·체코공화국

    2016.04.11
  • 세계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동향 (4) 영국의 읽기 능력 키우기

    2016.04.07
기업에 관련된 기사, 어떻게 읽어야 할까

장선화 서울경제신문 백상경제연구원 연구위원(Ph.D) 먹고 사는 데 관심이 커지면서 기업관련 기사는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취업준비생에게는 경제 상식, 시사 그리고 기업의 현황을 파악하는 정보원이 되고, 투자자들에게는 투자 판단의 중요한 기준이 되기도 한다. 이처럼 기업관련 기사의 관심이 커지면서 기사의 양도 늘어나고 있지만, 보도되는 내용을 가감없이 흡수해도 될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의문이 남는다. 최근 가습기살균제의 유해성관련 수사결과가 발표되면서 제조사인 옥시와 PB(Private Brand: 자체 브랜드)상품으로 판매했던 롯데마트 등에 비난이 빗발치고 있다. 5년전 발생한 이 사건으로 피해를 입은 사람 중에는 사망에 이르기도 하는 등 당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올랐다. 잠시 여론의 프리즘에서 사라..

2016. 4. 27. 17:00
세계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동향 (7) 독일·헝가리·아일랜드

[요약] 세계 각국에서 전개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신문활용교육(Newspaper In Education; NIE)이 어떻게 ‘뉴스 리터러시 교육’으로 확장되고 있는지 동향과 사례를 10편에 걸쳐 소개합니다. 이번 편에는 독일·헝가리·아일랜드의 사례를 살펴봅니다. #독일의 ‘차이퉁스 차이트’ 프로그램 독일의 신문활용교육(NIE)은 1979년 실행된 이후 발전을 거듭해왔습니다. 초기에는 8학년에서 9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 후에는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후 고등학생과 유치원생에게까지 확대되었습니다. 1) 차이퉁스 차이트(Zeitungs Zeit) : 최초의 NIE 프로젝트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정부와 그 지역 53개 출판사가 2006년 처음 시작한 대규모 캠페인 형태의 프로젝트입..

2016. 4. 25. 16:00
신문활용교육(NIE)과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정형근 정원여자중학교 교사·이화여대 국어교육과 겸임교수 뉴스(News)하면 무엇이 떠오를까? 뉴스는 본래 새로운 소식을 뜻한다. 그래서 누군가는 News를 동(East), 서(West), 남(South), 북(North)의 합성어로 보면서 동서남북 곧 여기저기서 들려오는 소식을 가리킨다고도 말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새로운 소식을 어디서 보고 들을까? 요즘 우리는 뉴스를 텔레비전, 신문뿐 아니라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통해 보고 듣는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사람들은 새로운 소식을 텔레비전이나 신문을 듣거나 보았지만, 요즘 학생들은 뉴스를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보고 듣는 경향이 있다. 새로운 소식을 전하는 것이 신문의 본령이라고 본다면 종이신문보다는 인터넷 기사가 신문의 본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

2016. 4. 14. 17:00
스마트폰 세대를 위한 미디어의 이해

박명호 서강대 언론대학원 미디어교육 석사, 미디어 교육가 #들어가는 말 : 미디어는 메시지다 지하철의 풍경이 과거와 많이 달라졌다. 예전엔 커다란 신문을 펴보는 사람, 소설책을 읽는 사람, 옆 친구와 담소를 나누는 사람 등 다양했지만 지금은 하나같이 스마트 폰이라는 기기를 손에 들고 쳐다보고 있다. 지금은 우리에게 너무나도 익숙한 풍경이지만, 사실 그리 오래되지 않은 낯선 풍경이다. 새로운 미디어 기기의 등장이 이처럼 우리의 일상 모습을 완전히 바꾸어 놓은 것이다. 미디어(media)는 그 말의 의미처럼 우리의 삶을 ‘매개’한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를 매개하고, 또 사람과 사회 사이를 매개한다. 그러니 사람들이 살아가는 일상 속에서 미디어의 존재는 아주 중요하다. 그 시대에 지배적으로 사용되어지는 ..

2016. 4. 14. 11:56
세계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동향 (5) 오스트리아·벨기에·체코공화국

[요약] 세계 각국에서 전개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신문활용교육(Newspaper In Education; NIE)이 어떻게 ‘뉴스 리터러시 교육’으로 확장되고 있는지 동향과 사례를 10편에 걸쳐 소개합니다. 이번 편에는 오스트리아·벨기에·체코공화국의 사례를 살펴봅니다. # 오스트리아, 신문읽기의 즐거움 재발견! 오스트리아 신문발행인협회는 1996년 이후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신문읽기의 즐거움을 재발견하고 저널리스트로서의 기초 역량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학교 신문읽기(Zeitung in der schule; Zis)’ 프로그램을 추진해왔습니다. 매년 10만 명 이상의 학생이 참여하고 있는 이 프로그램은 단순히 신문만 무료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신문 이해’, ‘비교연구’, ‘미디어교육 교사 세미나’, ‘..

2016. 4. 11. 16:56
세계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동향 (4) 영국의 읽기 능력 키우기

[요약] 세계 각국에서 전개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신문활용교육(Newspaper In Education; NIE)이 어떻게 ‘뉴스 리터러시 교육’으로 확장되고 있는지 동향과 사례를 10편에 걸쳐 소개합니다. 영국의 미래, 초등학교 학생들의 읽기 능력 증진을 위한 ‘겟 런던 리딩(Get London Reading)’프로젝트를 소개합니다. #런던의 아이들 4명 중 1명이 제대로 읽을 줄 모른다 런던 지역 일간지 ‘이브닝 스탠더드(Evening Standard)’는 ‘영국 런던에 있는 아이들 4명 중 1명이 제대로 읽을 줄 모른 채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있다’는 충격적인 조사 결과 이후, 2012년부터 초등학교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겟 런던 리딩(Get London Reading) 프로젝트’..

2016. 4. 7. 11:30
1 ··· 95 96 97 98 9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