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리터러시 뉴스 스마트폰 언론진흥재단 기자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읽기 뉴스리터러시 공모전 NIE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이벤트 독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 책 미디어 다독다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언론진흥재단(547)

  • 인쇄의 기원과 볼록판 인쇄

    2015.11.06
  • [백년간뉴스] 독서의 생활화, 지하철이 일등공신?

    2015.11.06
  • ‘올바른 독서력’으로 수능 막판 스퍼트!

    2015.11.05
  • 자신만의 이야기를 출판하는 사람들

    2015.11.05
  • 내 나이가 어때서~ 키덜트 시티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2015.11.04
  • 종이 제작 과정과 종이의 종류

    2015.11.04
인쇄의 기원과 볼록판 인쇄

인쇄의 기원 : 종이, 먹물, 돋을새김판 무엇을 하려고 3만20000년 전의 인류는 쇼베 동굴(Chauvet cave)에 동물들에 대한 장엄하고 아름다운 벽화를 그려 두었을까요. 아마도 그림을 통해 무언가를 전달하고 공유하려던 이유 때문이었을 겁니다. 놀랍게도 호모 사피엔스들은 6만년 전부터 뼈에 사람의 얼굴을 새기기 시작하면서 돌에도 의미를 지닌 무늬를 새깁니다. 신석기 시대에는 흙으로 사람의 얼굴을 빗고 토기에 농사를 짓거나 무언가를 만드는 모습을 만들었습니다. 청동기 시대에 들어서는 바위에 새겨진 그림이 더욱 구체화되고 생동감을 띠는데 그 내용에는 숫자 개념이 들어있기도 하고 종교적 내용이 담겨 있기도 합니다. 여러 사람들이 그림 앞에서 종교적, 문화적 행사를 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2015. 11. 6. 14:00
[백년간뉴스] 독서의 생활화, 지하철이 일등공신?

하루 평균 534만 명이 지하철을 이용하고 있다는 서울 지하철. 서울 시민 2명 중의 한 명 꼴로 매일 같이 지하철을 이용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텐데요. 우리 곁의 가까운 벗으로 일상을 함께하고 있는 지하철은 어떻게 탄생하고, 또 우리의 일상을 어떻게 바꾸어 놓았을까요? 일제 강점기에 한차례 좌절, 1971년 박정희 정부 시절 1호선 건설 착수 지하철 도입이 처음으로 논의된 것은 일제 강점기인 1939년으로 꽤 오래전 일입니다. 당시 경춘철도주식회사가 현재의 서울 지하철 1호선과 동일한 구간의 지하철을 건설하여 경춘선과 연계하는 것을 계획한 적이 있다고 하는군요. 아래는 당시 동아일보에 보도된 건설 계획입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자금 부족으로 실행되지는 못했습니다. 다시금 지하철 건설이 추진된 것은 그로..

2015. 11. 6. 09:00
‘올바른 독서력’으로 수능 막판 스퍼트!

“애초에 수능은 왜 치는 것일까?” 곧 있으면 11월의 가장 큰 이벤트, 수능이 다가옵니다. 후배, 가족, 친지의 응원을 받으며 어깨의 무거운 짐을 지고 시험장으로 향하는 학생들의 모습이 매년 뉴스 영상으로 등장하지요. 단 한 번의 시험으로 고등학교 3년을 평가받고 더 높은 시험 점수를 얻기 위해 재수, 삼수, 심지어는 N수라고 불릴 만큼 고생을 하는 학생에게 감정적으로만 마냥 감동하고 응원하자니, 마음이 아프고 불합리하게 느껴지는 구석도 있습니다. ‘대학’이 얼마나 의미가 있는지, 사회적으로 ‘입시’가 어떠한 구조적 문제가 있는지 등 다양한 논의가 가능할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 당장 시험을 쳐야하는 학생들에게 이런 논의는 잠시 옆으로 제쳐두고, 일단 노력한 만큼 무사히 시험을 치르는 데 도움이 될 만한..

2015. 11. 5. 14:00
자신만의 이야기를 출판하는 사람들

자신만의 빛나는 열매를 책을 통해 보여주는 시대 문학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이 쓴 시와 수필 또는 소설, 생활글들을 책으로 출판하고 싶어하는 꿈을 가지고 있습니다. 멋진 표지와 세련된 레이아웃의 본문에 자신의 작품이 실린 채로, 새로 나온 책 특유의 종이와 잉크 냄새를 맡아보는 것. 한번쯤은 자신이 쓴 책을 출판하여 서점이나 도서관에 놓여지는 상상을 합니다. 베스트셀러 매대에 앉혀지면 그보다 좋을 수 없겠지요. 평생 취미로 배우고 즐겨온 가죽공예의 작업 방법과 노하우를 책으로 출판하고 싶어하기도 합니다. 직업 현장에서 경험한 가슴 벅차고 가슴 미어지는 이야기들을 다른 누군가와 공유하고 싶어합니다. 알려지지 않은 오지를 등산을 하면서 찍은 풍경 사진을 자신만의 경험담과 함께 출판하고 싶어합니다. ..

2015. 11. 5. 09:00
내 나이가 어때서~ 키덜트 시티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한 패스트푸트 프렌차이즈에서 어린이 메뉴를 주문하면 인기영화의 캐릭터 피규어를 주는 행사를 진행하자 20대부터 40대까지의 고객이 대거 몰려들어 조기 품절된 사건이 있었습니다. 일명 ‘해피밀 대란’으로 불리우는 이 사건은 한국에서 다소 부정적이거나 소수 문화를 즐기는 사람들로 여겨지던 키덜트족들이 이제는 유력한 소비층으로 급부상했음을 증명한 사건이기도 하지요. 키덜트 문화, 동심의 세계에 열광하는 사람들 과거엔 특이하고 별난 사람들이 즐기는 비주류 문화에서 이젠 대중문화의 한 코드로 자리잡게 된 ‘키덜트 문화’ 란 무엇일까요? 키덜트의 사전적 정의는 아이를 뜻하는 Kid 와 어른을 뜻하는 Adult를 합친 합성어로 사회적 육체적 연령은 어른이지만 어린이 같은 취미를 즐기는 사람 일명 ‘어른아이’ 라는 의..

2015. 11. 4. 14:01
종이 제작 과정과 종이의 종류

종이를 한마디로 정의한다면 식물의 세포벽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성분이 셀룰로오스(cellulose)이며 다른 말로 섬유질이라고 합니다. 종이를 한마디로 정의하라면 섬유질을 물에서 건져내어 철사 체(sieve)에 말려 돗자리 또는 천의 형태로 만든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중국 후한(後漢)의 채륜(蔡倫)이 개발하였습니다. 종이 생산이 기계화되고 자동화되었지만 현재까지도 기본 처리 과정에서는 이 방법이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종이 제작 기술 발달 과정 종이 제작법은 751년에는 중앙 아시아 지역에 그리고 793년에는 바그다드에 전파되었습니다. 더욱이 프랑스 남부 에로(Hérault) 지역의 제지공장에서 한 노동자가 기계적 도구에 의한 의한 초지법을 발명하여, 근대 제지공업이 시작되..

2015. 11. 4. 09:00
1 ··· 17 18 19 20 21 22 23 ··· 9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