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5)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 스마트폰 미디어 책 뉴스읽기뉴스일기 기자 독서 공모전 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뉴스리터러시 다독다독 뉴스 미디어교육 한국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이벤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NIE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언론진흥재단(547)

  • 가족이라는 병_토닥토닥 101가지 이야기

    2015.11.03
  •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11월 1주)

    2015.11.03
  • “행복이 무엇인지 공부하라.” 의학전문기자 조동찬의 독[讀]한 습관

    2015.11.02
  • 한국형 뉴스 리터러시 교육 모델을 제안하다

    2015.11.02
  • [블로그 이벤트] 독(讀)한 습관 '명사들의 저서'를 찾아라 이벤트~!

    2015.10.30
  • 광고주 관점에서 본 네이티브 광고 활용과 효과

    2015.10.30
가족이라는 병_토닥토닥 101가지 이야기

“당신은 가족에 대해 잘 알고 있습니까?” 이 질문을 받았을 때, 저는 순간 ‘멍’해졌습니다. ‘가족이라서’, ‘같이 살기 때문에’ 저는 늘 가족을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거든요. 하지만 엄마, 아빠로서의 그들을 기억할 뿐 가족이 어떤 사람들인지 알고 있지도, 생각해본 적도 없었던 거 같았습니다. 아마 이 질문에 말문이 막히는 건 저뿐만이 아닐 거예요. 가족이 어떤 사람인지 모르니까 우리는 서로에게 기대하고 실망하며 가족끼리 상처를 주고받고 있는 것일 테니까요. 그런 사람이 많다는 것을 방증하듯 서점가에는 가족에 관한 심리학책이 넘쳐납니다. 가족관계에서 상처를 받은 사람들은 그런 책을 한 권쯤은 사본 기억이 있을 거예요. 저 또한 몇 권의 책을 사본 적이 있었지만, 책 속에 등장하는 예시들은 제 상황과 미..

2015. 11. 3. 14:00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11월 1주)

서평 전문기자들이 선정한 새로 나온 책 TOP 3. 날씨가 점점 더 쌀쌀해지는 것 같죠? 차갑게 부는 바람 탓인지 실외 활동은 자제하게 되는 것 같아요~ 실내 활동 중 으뜸은 따뜻한 이불 속에서 재밌는 책 한 권 읽는 것 아닐까요? 이번 한 주 가장 주목받은 책 Best3를 소개해드릴게요~ 1위는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3세기 동안 무수한 성취를 남긴 독일 천재들의 이야기를 담은 “저먼 지니어스”, 2위는 다각도로 음악을 고찰하여 뇌 안의 ‘음악 본능’을 찾아 나서는 “음악 본능”, 3위는 기업의 영리 추구가 곧 빈곤층의 번영으로 이어지는, 이른바 ‘착한 자본주의’를 향한 위대한 실험기 “아프리카의 배터리 킹”입니다. 1위 : 저먼 지니어스 (유럽의 세번째 르네상스, 두번째 과학혁명, 그리고 20세기)..

2015. 11. 3. 09:00
“행복이 무엇인지 공부하라.” 의학전문기자 조동찬의 독[讀]한 습관

“회사 말단이라 회사 일을 처리하느라 늦었습니다.” 대한민국에서 손꼽히는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는 조동찬 기자의 강연은 이 말과 함께 시작하였습니다. 그는 현재 방송사의 말단 기자입니다. 무엇이 전도유망한 신경외과전문의 조동찬을 방송사 말단 기자 조동찬으로 만든 것일까요? 그에 대한 대답으로 조동찬 기자는 ‘행복을 쫓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의대에 다닐 당시 조동찬 기자의 머릿속에는 의사가 되어 살아가는 자신의 미래에 추호의 의심도 없었다고 합니다. 실제로 2000년에 의사가 되어 8년간 병원에서 근무하면서도 의사가 아닌 자신에 대해 생각조차 못했다고 하는데요, 그런 그를 뒤바꿔 버린 것은 바로 한 권의 책이었습니다. 터닝포인트가 된 시오노 나나미의 그는 강북에서 태어나 의대에 입학했는데 그곳에서 만..

2015. 11. 2. 14:00
한국형 뉴스 리터러시 교육 모델을 제안하다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대구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김성해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뉴스는 공동체가 필요로 하는 정보, 기억, 감정과 태도에 개입합니다. 국민이라는 집단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 역시 뉴스를 통해서입니다. 집단의 친구와 적이 누구인지, 집단이 공유해야 할 가치는 무엇인지, 집단으로서 알아야 할 것과 무시할 것을 알려주는 것도 뉴스입니다. 맑은 물, 깨끗한 공기와 안전한 거리만큼이나 중요한 공공재입니다. 자연재해가 발생하거나, 전염병이 생기거나, 교통이나 통신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공동체 누구나 자신의 몫을 해야 하는 것처럼 뉴스에 대한 책임에서 예외는 없습니다. 뉴스 소비자의 권리와 의무는 따라서 동전의 양면입니다. 뉴스 안전(News Security) 또한 간과할 수 없..

2015. 11. 2. 09:00
[블로그 이벤트] 독(讀)한 습관 '명사들의 저서'를 찾아라 이벤트~!

10월 1일 부터 시작된 2015 독[讀]한 습관 강연이 뜨겁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명사들의 강연을 통해 읽기란 무엇이며, 다양한 삶의 지식들을 습득할 수 있는 강연이 한창 진행되고 있는데요~ 명사들의 읽기 경험담과 노하우를 나누는 독[讀]한 습관 강연이 다섯차례만을 남겨두고 있는 지금! 이벤트를 통해 명사들의 강연 일정도 확인하시고 푸짐한 선물도 받아가세요~

2015. 10. 30. 16:00
광고주 관점에서 본 네이티브 광고 활용과 효과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박에델만코리아 박하영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지난 8월 20일 ‘한국형 네이티브 광고의 모색’을 주제로 허핑턴포스트에서 네이티브 애드 미디어 데이를 개최했습니다. ‘네이티브 광고’라고 규정한 매체 상품들이 본격적으로 집행된 지 1년여 남짓한 시점에서 네이티브 광고의 효과에 대한 광고주들의 관심이 드러난 것으로 보입니다. 네이티브 광고를 거론할 때 가장 많이 언급되는 부분은 배너 광고의 몰락입니다. 이로 인한 디지털 매체 물량을 소화하기 위한 광고주들의 고민을 해결해 주기에 급감하는 배너 광고의 클릭률 대비 네이티브 광고의 효율적인 광고 효과, 자연스러운 소비자의 관심 유도 및 긍정적인 태도 형성 등은 분명 매력적으로 느껴집니다. 소비자 반응도 긍정적 일반적으로 네..

2015. 10. 30. 14:13
1 ··· 18 19 20 21 22 23 24 ··· 9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